2008년도

09.01.13 = 서울근교 = 북한산씨리즈(9)백화사-중성문-부왕동-용암문-소귀천계곡-대동문-

lsm37 산행인 2010. 6. 22. 14:56
09.1.13=북한산씨리즈(9)백화사-중성문-부왕동암문-행궁지-용암문-백운교-소귀천계곡-대동문-아카데미탐방소|●…─ 산행후기 글
lsm37 | 조회150 | 09.01.17 20:26 http://cafe.daum.net/gangsong/DFwr/264 

언제     :09.01.13(화)

누구와  : 산 과 나

어느곳  :백화사-가사당암문-중성문-부왕동암문-상원봉-행궁지-북한산대피소-용암문-기도원-진달래능선-사거리이정표-

           소귀천계곡-용담수-대동문-구천폭포계곡-아카데미탐방소.  

           (소귀천계곡입구에서  예정코스가 약간변경됩니다 .  원인은=할랠루야기도원 내에서  계곡입구를 못찾고 , 빽하여 

             진달래능선으로 진입 1. 3K 올라온 사거리에서 소귀천계곡으로 내려갑니다 .  이과정에서 11분 알바를 합니다 . 

 

  거리     :19.2 K

소요시간:5.26분 (기타시간 19분포함)      (예정시간 = 5.21분)

날씨     :새벽 영8.7도  현장 : 영5도 에서 산행함.

 

머리글  :오늘의 산행코스는 예고한대로 굴곡 S 자코스로 진행됩니다 . .  그동안 큰능선 및 긴계곡 따라  산행코스를 잡다보니 ,

            중간에 작은길  또는 끊어진  토막길들이 있어  부득이하게 ,  오르고 내리고  돌고도는 코스가 되였습니다 .   다음주 코스는

            도봉산 방향의 코스입니다 .

 

실  행   :07.16분에  둔촌역출발 -  08.16분 구파발역 도착 , 송추행버스로  은하교에하차  08. 32분 산행을 시작합니다 .

 

           

                    (백화사입구 은하교 .  뒤에 응봉(333)이보입니다 .)

 

 

 백화사입니다 .  계곡 따라 올라갑니다 .

 

 

탐방소 삼거리입니다 .  우측 계곡따라 올라가면  좌측에는 의상봉과 ,  우측에는  용출봉을 바라보며  진행합니다 .  약 8부능선 까지

  계곡을 끼고 오르다 보면 계곡은 끝나고 ,  좌측으로 약간 꺽이며  숲사이로 가사당암문이 보입니다 .

 

 

                     (가사당암문.  백화사 2.8 K  . 북한동 0.8 K  .산성탐방소 2.4 K  .대남문 2.5 K )

가사당암문을  통과하여  급경사 내리막을  타면 국녕사입니다 .  가사당암문은 씨리즈중 몇번을 지나간 길입니다 .

 

 

 국녕사의 거대한  청동좌불상 입니다 . 불력이 대단합니다 .  비하여 대웅전이 초라한 느낌입니다 .

거대한 청동 좌불상을 넉없이 바라보며  오늘산행에 보람을 찾고  나의마음을 다스리며  내려옵니다 .

 

내려오며  불공드리러 오는 불자들을  자주봅니다 .

국녕사삼거리에 도착하여  산성계곡을 따라 잠시 오르면 중성문입니다 .

 

 

이정표을 보며 산행에 참고합니다 .

 

 

 중성문 바로옆 계곡쪽으로  수문이 있습니다 . 씨리즈(8)에서도  사진과 함께  확인하지만  1915.8월 소실된 수문은 아니라는

 확신을 합니다 . 그러나 오늘 한번더 살펴보며 계곡을 오릅니다 .

 

 

노적사입구 지나  노적교를 건너면  우측에 정자가 있고  좌측바로 위가  용학사 입니다 .

 

합수삼거리 이정표 에서  부왕동암문 방향으로 오릅니다 .  계곡따라  양쪽으로 등로가 보입니다 . 지형상 우측으로 암문이 있으리라는

생각으로  희미한 우측등로를  따라올라갑니다 .  오르기 10여분 이쯤에 부왕사지가 있으려니 예상하며 주변을 살핍니다 .

 

 

옛절터로 보이는 돌과 기초석을 보지만   이곳이 부왕사지라는 확신이 서지않습니다 .  3분을 소비하며 주위를 살펴보지만 , 결국

오늘은  부왕사지 답사는 뒤로미루고  우측능선으로 오릅니다 .

 

능선에 올라보니  증취봉 바로밑  대석입구입니다 .  지나첬습니다 . 지나고 생각해보니  합수삼거리에서 우측길로 올라야했습니다 .

아쉬움을 남기며 성길따라 내려갑니다 .

 

 

 부왕동암문입니다 . (부왕사지0.3 K . 삼천탐방소 2.9 K .의상봉 1 K .  대남문 1.6 K )

 

나월봉 가는길  급한오르막입니다 . 하나의 봉우리를 오르고 잠시 지나가면  위험구간 우회로 표시가 있습니다 .

나월봉입니다 . 마지막 큰바위 넘는것이  부담스러워  오늘도 우회합니다

 

 

 나월봉 정상 바위입니다 .  우회하며 올려다 봅니다 .

 

 

 나한봉 정상에서 나월봉 방향을 봅니다 . 문수봉과 비봉방향도 보지만  나무가지가 시야를 가립니다 .

 

 

 715.5 상원봉입니다 .  그동안 715.5봉으로 만 기록, 상원봉 이라는것은 2일전에 알았습니다 .

남장대지 와 행궁지를 찾아갑니다 .  상원봉에서 북동으로  능선따라갑니다 . 약간 암릉입니다 .

 

 

 다시보자 삼각산 .  보아도 보아도  멋있는 산입니다 .

 

 

 남장대지 에 봉우리삼각점이 있습니다 . 동장대와 북장대지 서로 잘보이는 위치에  설치되 있습니다 .

정북에 위치한  북장대지는 나무에가려  시계청소를 하여야  잘보일것입니다 .

 

 

 남장대지에서 행궁지를 내려가는  길도 경사가 급합니다 .  능선따라 잠시가면 계곡으로 떨어지는 길을 버리고 직진합니다 .

다시나오는 삼거리에서 우측길을  따라  계단길을 내려가면,   남장대에서  약 6-700M  하행후 행궁지입니다 . 행궁지설명이 상세합니다 .

 

 

 행궁지 삼거리입니다 .  위로올라가면  대남문 , 보국문 , 대동문으로 갑니다 .  북한산성  계곡따라 약500 M 내려가면  .

 

 

 태고사앞 . 북한산대피소 삼거리입니다 .  태고사-봉성암 북동방향으로 올라갑니다 . 올라가는길에 2개의 이정표가  길을 안내합니다 .

 

 

 북한산대피소 입니다 .  수량은 풍부한 불용수가 있습니다 .

 

이곳이 용암사지입니다 (일출봉아래 위치 87칸 규모로,  용암문 일대의  산성수비와  승병들의 훈련장으로 사용, 19세기말에

소멸된 절터로 ,  지금은  대피소로 사용중입니다 . )

 

이정표=백운대 1.7 K . 용암문 0.2 K .  북한산탐방소 4.4 K . 보국문 1.9 K .  대동문 1.3 K .

 

 

 용암문입니다 . 성따라 오르면 용암봉 이고 , 좌측 솔밭길로 가면 노적봉 삼거리지나 백운대 방향입니다 .

용암문을  넘으면 길은 외길, 도선사로 갑니다 . (용암탐방소1.1 K . 백운대1.5 . 대동문 1.5 . 북한산대피소 0.2 )

 

 

 도선사 가는길- 김상궁 사리탑이 있읍니다 .

 

 

 용암문 공원지킴터.  도선사 경내입구에 있읍니다 .

 

 

 

 

 

 지장보살상.

 

 

 포대화상.  바로옆에 도선사문입니다 .

 도선사 를 지나  용암탐방소입구  대형주차장에 도착,  포장도로를 따라1.2K내려갑니다 .

 

 

 백운 2통제소 입구, 백운교입니다 .   길건너 할랠루야기도원  주차장안으로 들어와    계곡따라 올라갑니다 . 이정표참고.

 

 

 기도원 안입니다 .   이건물에서 다리를 건너 계곡으로  진입하며   11분을 알바합니다

. 다리를 건너가니  길은 계곡따라 내려가는길입니다 . 

 

 되돌아 다리옆 건물에 들려  길을 물어보지만 ,  의사소통이 불가 하여  다시다리를 건너 내려오다가 능선을 탑니다

진달래능선입니다 .

 

도중확인한 바로는 ,  기도원내 다리옆 건물 위로  더올라가면   백색으로 칠한 건물 바라보며  좌측계곡으로 산행로가 있답니다 .

 

 

 진달래능선 입구에서 0.7 K 올라와 있는 지점입니다 . 대동문 2.2 K 입니다 .

 

 

 능선입구 에서 1.3 K 올라온, 사거리 이정표입니다 .  우측 소귀천계곡으로 내려갑니다 . (백련탐방소 1.1 K .  대동문 1.6 K)

 

 

 기도원에서 올라오는  계단길입니다 .  소귀천계곡   일명 홀아비계곡 이라고도 합니다 . 이제 코스를 찾았읍니다 .

 

 

 용천수 지나와 , 용담수입니다 . 가물어 수량이 적습니다 .

 

 

 대동문 1.3 K ---소귀천탐방소 1 K  지점.

 

 

 잠시후 다시통과할 지점입니다 .

 

 

 대동문입니다 .  하산은 구천계곡, 구천폭포 방향으로 갑니다 .

 

 

 북한산씨리즈 중 수량이 많은 삼천사계곡보다  현재까지는 이곳의 수량이 제일 많습니다 .  구천폭포 가는계곡입니다 .

 

 

 

 

 

 

 

 

 은주봉 이정표 입니다 .

 

 

 

 

 

 얼음 아래쪽에 구천폭포 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

 

 

 등로에서는 나무에 가려  폭포가 잘보이지 않습니다 .  결국은 폭포구경을 못했습니다 .

 

 

 칼바위 삼거리 이정표 .  지도상 위치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읍니다 . 이런일은 종종  있습니다 .

 

 

 오늘산행의  날머리 끝입니다 .  아카데미탐방소 입니다 .

바로옆에 열사묘역 입구,  아카데미하우스  그리고  통일연수원  건물들이 보입니다 .

마을버스 1번을 타고 3호선 수유역으로 갑니다 .

 

마무리  :     (1)구간별소요시간

                     1구간  : 08.32분  은하교          -11.32분 북한산대피소 =  10.5 K   =   3.00분 ( 예정시간:2 .52분)

                     2구간  : 11.32분 북한산대피소-13.58분 아카데미탐방소=   8.7  K   =   2.26분 (      :      :2 .29분)

                                                              계                              19.2 K          5.26분   (예정시간:5.21분)

 

                 (2)디카    :362 -426 =64장중    43   장      누적=  1.626  회       11.866 K           

                 (3)다음주 북한산씨리즈 (10)

 

                   송추골입구-(송추계곡)-총추탐방소-삼거리-공터-회룡능선4거리-산불초소-전망바위-(원효사)-지장암-쌍용사-

                   ( 원도봉계곡)-도깨비바위-덕재샘-민초샘-포대능선-(다락능선)-심원사-서부사무소-원도봉통제소

                                                  13.2 K           예정시간  : (3.47분 + 10) =  3.57분 

 

 

 
저작자 표시컨텐츠변경비영리
 
고문님~~존경스럽습니다~~ 시간될때 틈틈히 다녀보게 산행지도 같이 올려 주셧으면 ~~^ㄴ^ 09.01.20 23:16
lsm37
삼만분지-일 북한산(고산자의후예들2.500원)지도 한장입니다 . 신문지 반절지 크기입니다 . 2월첫주 목요산행시 직접말씀해주십시요. 북한산지도 한장드리겠습니다 (2만5천지도) 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