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와 : 불랙야크 . 나홀로 산행 .
산행지 : 강원 원주. 치악산 (1288)
산행코스 : 구룡탐방 지원센터 - 구룡사 - 대곡(400)야영장 - 세렴안전(500)지킴터 - 사다리 병창길 -
치악 01- 06 지점 - 비로봉(1288)정상 - 계곡길 - 치악 02-03 지점 - 세렴안전 지킴터 -
대곡야영장 - 구룡사 - 구룡탐방 지원센터 .
산행거리 : 구룡탐방 지원센터 - (사다리 병창길) - 비로봉 = 5.7 K
비로봉 - (계곡길) - 구룡탐방 지원센터 = 5.8 K 합계 = 11.5 K
소요시간 : 11.09분22" - 14.58분21" = 3.49분 (기타시간 30분 포함)
날 씨 : 약한 운무 . 영하2도 - 영상4도 . 바람없음 . 700고지 이상에 눈 많음 . 아이젠 필수 .
기 타 : 디카시간 정확 .
불랙야크 40명산 인증 산행 . 국립공원 자유산행 . 원 산행계획은 금대분소(치악역 있는줄 알고)
에서 산행시작 - 남대봉 - 향로봉 - 곧은치 - 황골 삼거리 - 비로봉 (인증하고) - 사다리 병창길 -
구룡탐방 지원센터 = 19.2 K 산행을 예정하였으나 ,
1) 금대분소가는 버스 노선을 알수 없고 ,
2) 적설양이 많아서 겨울 장거리 산행 불가하다는 조언으로 ,
반대코스로 산행하기로 하고 산행시작. 정상에서 인증을 하고 공단 직원에게 문의하니 남대봉
에서 성남 공원 지킴터 코스는 출입통제 구역이고 , 남대봉에서 금대분소 산행은 가능하나 ,
눈이 많아서 산행 불가하다고 하며 , 황골 탐방 지원센터로 하산(4.1 K )하라고 권유 ,
결론은 황골 로 하산하는것 보다는 원위치 하산이 교통편이 확실하여 계곡길 구룡사로 하산함 .
각 탐방소 버스 시간표 첨부 합니다 . (공단발행 안내도 )
포인트간 거리 및 시간표 참고 .
용문역에서 중앙선열차로 원주역으로 이동 합니다 .
원주역에 도착 . 역전 버스 정류장에서 41번 , 41 - 1번(일요일만 운행) 버스로 구룡사로 이동 합니다 .
구룡사버스 종점 . 11시가 지났습니다 .
구룡 탐방지원센터 . 산행은 여기서 부터 시작합니다 .
탐방로 안내도 . 나의 포인트간 거리는 이 안내도 로 취합한 거리 입니다 .
원통문 . 구룡사 일주문 입니다 . 나는 잠시 세속을 떠나 산계로 들어 갑니다 .
일주문은 세속과 절의 경계를 나타 내고 있으며, 두 기둥위에 지붕을 얹은 독특한 형식을 하고 있으며 ,
기둥이 한줄로 세워져 있다고 하여 "일주문" 이라고 합니다.
부도 . 도력이 높은 스님들의 사리를 모신 묘탑 입니다 .
처음에는 팔각원단형 이였으나 조선시대에는 석종형으로 변형됩니다 .
구룡사 사대천왕문 .
대웅전은 맨뒤에 있는 건물 .
구룡소는 기암의 차별 침식에 따라 낙석들이 층층으로 쌓여 만들어진 여울형 소입니다 .
전설에 의하면 의상대사가 구룡사 창건당시 용 한마리가 연못 속에 살다가 승천 하였다 하여 용소라 불리기도 합니다 .
대곡 야영장 (400). 넓은 야영장이 있고 화장실과 취사장도 보입니다 .
(구룡사 0.6 ) (세렴폭포 1.5 K ) (비로봉 4.2 K )
치악산 국립공원 안내도 .
세렴안전 지킴터 (500) 거리표 . (세렴폭포 0.1 K ) (구룡사 2.1 K ) (비로봉 2.7 K )
세렴폭포 가는길과 갈리는 철다리 입니다 . 철다리를 건너,,,,,
사다리 병창길과 계곡길이 갈리는 지점 입니다 . 계단길로 ,,,,,
(비로봉 <사다리 병창길>2.6 K ) (비로봉 <계곡길>2.8 K )
치악 01 - 06지점 (659) . (비로봉 2.2 K ) (구룡사 2.6 K ) (세렴폭포 0.5 K )
사다리 (700)병창길 . 병창은 영서 방언으로 "벼랑" 절벽을 뜻함.
치악산 사다리 병창길은 , 거대한 암벽군이 마치 사다리 모양으로 되여 있고 , 암벽 사이에 자라난 ,
나무들과 어우려져 사시사철 독특한 풍광처럼 펼쳐져 있다하여 " 사다리 병창길 " 이라 합니다 .
700고지를 전후로하여 많은 적설양을 보이고 있습니다 .
고도를 높이며 산세의 기를 받아 무아의 경지로 들어 갑니다 . 겨울 산행의 풍미를 만끽 합니다 .
892고지 거리표 . (구룡사 3.7 K) (세렴폭포 1.6 K ) (비로봉 1.7 K )
고도 900을 넘으며 적설양은 더욱 많아지고 ,,,,,
양발이 아이젠이 미끄러 집니다 . 하산시는 4발이 아이젠으로 바꿔야 할듯 합니다.
장거리가 될경우 하산시는 스틱도 사용하기로 합니다 .
조망대에서 바라본 ,,,,, 천지봉(1086.5)입니다 .
사다리 병창 길은 더욱 가팔라지고 ,,,,,
나는 서서히 오름을 계속 하며,,,,.
수많은 산행인들을 뒤로 보내며 오름은 계속됩니다 .
해발 1.170 M 지점 . (비로봉 0.3 K ) (세렴폭포 2.4 K ) 정상이 가까이 있는듯 합니다 .
자연의 경이는 내몸에 밀착되고 , 수반된 약간의 고통은 무아경 속으로 스며 듭니다 .
지금 황홀한 행복을 느낍니다 .
마지막 고비길 입니다 .
정상 바로밑 전망대에서 ,,,,,
향로봉가는 능선길 중간에 있는 황골 갈림길위에 수많은 산행인들이 보입니다 . 겨울산행의 풍광입니다 .
뒤 돌아봅니다 . 마지막 고비 계단길을 힘겹게 오르는 산행인들 ,,,,,
드디어 비로봉 (1288)정상입니다 .
인증 사진을 찍고 ,,,,,
,,,,,
셀프사진도 남기고 ,,,,,
성남에서오신 산악회 회원님들 ,,,,,
공단 직원을 만나, 금대분소 하산로 정보를 물어봅니다 . 상원사 방향 성남 공원 지킴터는 출입금지구역 .
남대봉에서 금대분소는 산행가능 합니다 . 그러나 지금 이시간에는 눈이 많아서 (추후 확인거리 13.4 K )
갈수 없다며 황골로 하산하시라 합니다 . 황골 하산은 가능하다며 , 황골은 구룡사 원점 하산보다도 짧은거리 . 장거리를 선호하는 나로서는 원점 하산으로 결정 합니다 .
정상에서 12분후 계곡길로 하산 합니다 . 겨울 산행의 위험을 감안하며 ,,,,,
정상에 있는 거리표 . (계곡 갈림 0.3 K ) ( 사다리 병창길 0.1 K )
(상원사 10.5 K ) (금대분소 13.4 K )
계곡 갈림 . 비로봉 삼거리 감시초소 . 아이젠을 4발로 교체 하산 합니다 .
비로봉 삼거리 . (비로봉0.3 K ) (구룡사 4.6 k ) (세렴폭포 2.5 K )
(상원사 10.2 K ) (입석사 2.2 K ) (금대분소 13.1 K )
하산길 ,,,,,
하산길 ,,,,,
치악 02 - 03 지점 (900) . (비로봉 1.2 K ) (구룡사3.7 K ) (세렴폭포 1.6 K )
철 다리도 지나고 ,,,,,
칠석폭포 .
(구룡사 2.3 K ) (비로봉 2.6 K )
사다리 병창 갈림길 . (비로봉<사다리병창길>2.7 K ) (비로봉 <계곡길 >2.8 K )
세렴 안전지킴터 (500) . (세렴폭포 0.1 K ) (구룡사 2.1 K ) (비로봉 2.7 K )
대곡 야영장 (400) . (구룡사 0.6 K ) (비로봉 4.2 K) (세렴폭포 1.5 K )
대곡 야영장 에서 , 하산준비 18분 . 세수하고 신발 ,아이젠 딱고 , 출발 합니다 .
구룡소 .
구룡사 .
200년 된 은행나무 (1982년 지정).
일주문 . 다시 산계를 떠나 세속으로 귀속 합니다 .
구룡 탐방 지원센터 . 오늘 산행 종료 합니다 .
구룡교 .
약 50분간 버스를 기다리며 , 하산주로 ,,,,,
한잔 합니다 .
하산주가 끝나야 진정한 산행이 끝이 남니다 .
원주역으로 가는버스 안에서 , 부부가 등단하시고 시를 쓰시는 이 경 행 시인을 만나 잠시 세속의 이야기를
합니다 . 원주에 사시며 매일 치악산을 찾으시며 시를 쓰시고 , 연세도 80이 넘으쎳습니다 . 반가웠습니다 .
원주 역에서 기차를 기다리며 ,,,,,
치악산을 한번더 바라봅니다 .
l s m 37 산행 . 이 상 목 . 감사합니다 .
'2013년도,불랙야크 40명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03.02 (토) = 불랙야크 12차 = 경북대구 = 팔공산(1193)서봉(1150)동봉(1167) (0) | 2013.03.07 |
---|---|
13.02.28 (목) = 불랙야크 11차 = 강원인제 = 설악산(1708) (0) | 2013.03.01 |
13.02.21 (목) = 불랙야크 9차 = 충남금산 = 서대산(904) (0) | 2013.02.22 |
13.02.16(토) = 불랙야크 8차 = 경남양산 = 천성산(920.7) 천성산 비로봉(859) (0) | 2013.02.17 |
13.02.14 (목) = 불랙야크 7차 = 전남광주 = 무등산(1187)서석대(1.100) (0) | 2013.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