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와 : 한백팀 . 홍성주 대장님 , 임상녕 님 , 최희동 님 , 나 . 4명 .
산행지 : 인왕산 , 탕춘대능선 , 비봉 , 응봉능선 , 진관사 .
산행코스 : 사직터널 - 인왕산 - 기차바위 - 홍지문 - 탕춘대능선 - 향로봉 - 비봉 - 사모바위 -
응봉능선 - 응봉 - 진관사 .
산행거리 : 14 k (임상녕 님 gps 거리) + 1.4 k = 총 15.4 k
소요시간 : 09.41분43" - 16.24분59" = 6.43분 (기타시간 1.24분 포함)
기타시간 : 식사 31분 + 알탕30분 + 조망23분 = 124분 .
날 씨 ; 늦 더위 날씨 .
기 타 : 디카시간 2분 빠름 . 디카번호 9824 - 9914 = 91장중 61장 .
쓰레기 줍기 겸 , 2차 27회 산행 거리 10 % + 1.4 k 추가 함 .
지도 별첨 .
사직터널 앞 .
경복궁역 하차 도보로 이동 .
서울 성곽길 .
서울의 내사산 (북악산 , 낙산 , 남산 , 인왕산 ) 을 잇고 ,
4대문 (숙정문 , 홍인지문 , 숭례문 , 돈의문터 )과 4 소문 (혜화문 , 광화문 , 소의문 , 창의문 )을 지나는 ,
21 k 성곽길은 성곽을 따라 걸으며 서울의 역사와 문화를 배우고 체험하는 "역사 문화 탐방로" 입니다 .
한양 도성 탐방로 앞에서 , 임상녕 님 .
한양도성 은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조선 시대의 도성으로 ,
태조가 서울로 도성을 옮기면서 건립한 것으로 사적 제 10호로 지장 되였다 .
총 18.5 k 중 인왕산 구간은 1.75 k 로 탐방로 주변으로 기차바위 , 치마바위 , 범바위 등 기이한 바위들이 즐비하여 , 인왕산에서는 서울의 전경을 한눈에 감상 할수 있다 .
오늘 우리는 서울성곽 길 한양도성 탐방로 일부 구간을 탐방 하게 된다 .
서울도성 탐방로 . (서대문 독립공원 700 m ) (선바위 750 m ) (인왕산 도시자연공원 1.000 m )
성너머 초소 . (서대문 독립공원 700 m ) (인왕산 도시자연공원 700 m ) (북악산 2 k )
한양도성 탐방로 인왕산 구간 도 .
선너머 인왕산 입구 거리표 . (정상 0.99 k ) (독립문 공원 1.2 k ) (인왕산 길 0.2 k )
인왕산 오르는길 선바위 위에 있는 바위들 ,
부대 초소 .
선바위 위에 있는 바위 ,,,,,
무었을 닮았나 ?
현위치 A 5 지점 . (정상 0.45 k ) (인왕산 길 0.65 k )
갈림길 거리표 . (정상0.3 k ) (창의<자하문>문 1.9 k ) (사직공원 1.54 k ) (인왕천 약수터 0.19 k )
범바위를 지나며 ,,,,,
정상으로 오르는 서울성곽 길 .
현위치 A 3 지점 . (정상 0.05 k )
(범바위 0.45 k ) (창의문 1.6 k ) (독립문 공원 2.14 k ) (사직공원 1.79 k )
인왕산 정상에 우뚝선 , 임상녕 님 . 서울 전역을 동영상에 담고 있습니다 .
그사이 나도 셀프로 ,,,,,
동영상은 계속되고 ,,,,,
정상에서 조망한 , 안산 봉화대 .
정상에서 조망한 , 족두리봉에서 비봉능선을 따라 보현봉 까지 이어지고 ,,,,,
정상에서 조망한 , 북악산 .
정상에서 ,,,,,
기차바위 방향 , 잠시후 서울 성곽따라 홍지문 지나서 탕춘대 능선으로 - 향로봉 으로 진행 합니다 .
기차바위 갈림 . (정상0.22 k ) (사직공원 1.96k ) (창의문 1.43 k )
기차바위 . 멀리 비봉 능선을 바라보며 ,,,,,
소능선 위 전망대 설치중 ,,,,,
홍은동 방향 . 고가도 옆 가운대 다리 건너서 슈퍼를 끼고 탕춘대 능선을 따라 갑니다 .
홍은동 일대를 조망하며 ,,,,,
디카 공간이 없음 신호 , 중간에 사진이 없음 .
11.36분 . 상명대앞 4거리 도로접 .
11.42분 . 홍지문 밑 통과 .
11.57분 . 능선 만남 .
12.04분 . 상명대 후문 성벽 .
12.15분 - 12.41분 = 26분간 . 중식 .
13.15분 . 향로봉 밑 위험표시 .
13.21분 . 향로봉 위 능선 .
진흥왕 순수비 .
원래 이 비는 오랜 세월이 흘러 사람들에게 잊혀지고 글자도 읽기 힘들게 되어 ,
무학대사 가 조선왕조 의 도읍지 를 찾아 다닐때 비봉에 올라와 보니 ,
"무학이 잘못 찾아 여기에 왔다 " 라고 쓰여 있어 급히 내려 갔다는 전설이 전해져 ,
"진흥왕 순수비" 라는 사실 자체를 모르게 되고 , 무학대사 비로 잘못 알려지게 되였다 .
무학대사 와 추사 김정희 의 인연은 연결 된다 .
진흥왕 순수비 . 는
신라 진흥왕 (제위540 - 576)이 새로히 확보한 영토의 국경을 직접 둘러본 사실을 기념하여 세운 것이다 .
진흥왕 순수비가 세워진 곳은 ,
현재 경남 창녕 , 함경남도 이원의 마운령 , 길주의 황초령 , 경기도 북한산 비봉 등 4곳으로 알려저 있다 .
이 비의 건립연대는 진흥왕 29년 (568)에 새워진 마운령 , 황초령 ,비와 비슷한 시기로 추정 된다 .
1816년 당대의 금석학자인 추사 김정희는 이 비문을 탁본하여 68자를 읽어냈고 진흥왕 순수비임을 밝혔다 . 이듬해 김정희는 비석 옆면에 이 비를 찾은 날자와 진흥왕 순수비 임을 확인 하였다는 사실을 새겨 놓았다 .
1972년 이곳에서 국립중앙 박물관 으로 이전 전시 보전 되어 오고 있으며 ,
2006년 10월에는 원래의 자리에 현재의 복제비석을 세워 역사적 현장을 보존해 오고 있다 .
* 복제 비석이 실물과 흡사한 (확인된 글씨는 명확히) 자질과 규모로 제작 되였으면 하는 바람 이다 .
세번째 올라본 지금 에서야 "진흥왕 순수비"의 의미를 되 새겨 봅니다 .
비봉 정상에서 조망한 , 향로봉 ,족두리봉 ,
정상에서 조망한 , 나월봉 , 나한봉 , 715.5봉 , 문수봉 , 우측 끝 보현봉 .
가슴아픈 상처 입니다 .
비봉을 내려가며 , 승가사 일부가 보입니다 .
동물의 형상을 닮은 바위 .
최희동 님 비봉을 내려가며 ,,,,,
동물의 형상을 닮은 바위를 , 다른 각도에서 바라 봅니다 .
각도를 달리하면 다른 형상이 됩니다 . 사람과 바위도 꼭 닮은 면이 있습니다 .
비봉 지나온 길 . 전면으로 올라오서 후면으로 내려 옵니다 .
실은 전후면 출입제한 구역 입니다 . 약간은 위험한 구간도 있습니다 .
사모바위 . 왜 사모바위 인지 ? 조각 작품은 각자의 느낌으로 보는 것이 좋습니다 .
더군다나 작가 미상 일때는 ,,,,,
사모바위 에서 바라본 비봉 .
사모바위 다시한번 감상 합니다 .
사모바위 거리표 . (향로봉 1.25 k ) (대남문 1.7 k ) (응봉능선 진관사 2.6 k . 응봉능선 삼천사 2.5 k )
응봉능선은 여기서 갈립니다 .
우측에서 , 보현봉 , 문수봉 , 715.5봉 , 나한봉 , 나월봉 , 부왕동 암문으로 떨어지며 뒤로 삼각산 .
삼각산을 가운대 두고 , 의상능선 을 조망 합니다 .
현위치 북한 59 - 03 (516)지점 . (응봉능선 0.4 k ) (삼천사 계곡 하단 1.8 k )
현위치 59 - 02 (434)지점 . (응봉능선 1 k ) (삼천사 계곡 하단 1.2 k )
철주 하행로 ,,,,,
,,,,,
,,,,,
응봉에서 바라본 진관사 전경 .
응봉 정상 .
현위치 북한 59 - 01 (276)지점 . (응봉능선 1.7 k ) (삼천사 하단 0.5 k )
진관사 갈림 . (사모바위 2.9 k ) (진관사 0.5 k ) 삼천사 0.5 k 갈림길 은 막아 놓았다 .
진관사 해탈 문 .
진관사 . 계곡위로 올라간다 .
계곡에 맑은 물이 있다 . 알탕 하기 좋다 .
진관사 대웅전앞 , 대웅전뒤에 응봉이 보이고 우측은 응봉 능선이 보인다 .
삼각산 진관사 일주문 . 일주문 을 나가며 선계를 지나 사파의 세계로 뛰어든다 .
l s m 3 7 산 행 . 이 상 목 감사 합니다 .
'2013년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09.26 (목) = 새마포 751차 = 강원,영월 = 검각산(505.3)국지산(625.6)신선봉(443) (0) | 2013.09.27 |
---|---|
13.09.21 (토) = 삼토회 = 백화사 - 북한산 - 부왕동 암문 - 삼천사 . (0) | 2013.09.23 |
13.09.05 (목) = 새마포749차 , 강원태백 , 연화산(1172.1)대조봉(1135.5) (0) | 2013.09.06 |
13.08.29 (목) = 새마포,제748차 = 조봉(1182.3) (0) | 2013.08.30 |
13.08.22 (목) = 새마포747차 = 경남거창함양,칼날봉,수리덤(1167)월봉산(1279) (0) | 2013.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