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환종주 27개산 217.3 k 산행

15.02.21 (토) = 서울환종주 5차산행(석수역 - 정릉탐방소)

lsm37 산행인 2015. 2. 23. 13:07

누구와 : 나홀로 서울환종주 5차산행 .

산행지 : 석수역 - 안산 . 인왕산 , 북악산 , 형제봉능선  - 정릉탐방소 .

산행코스 : 석수역 - 안양천 - 성산대교 - 홍제천 - 서대문구청 - 안산 - 인왕상 - 북악산 - 말바위쉼터 - 팔각정 - 하늘

               마루 - 여래사 - 형제봉능선 북한산둘레길 - 정릉탐방소 .

산행거리 : gps 34.04 k + 접속거리 0.1 k = 계 34.14 k .

               ( 총거리 34.14 k - 연계거리<둘레길 - 정릉탐방소>2.17 k = 환종주 연계거리 31.97 k )

산행시간 : 06.58분06" - 15.46분19" = 8.48분 .

날   씨 : 09시부터 산행종료 까지 비 . 영상3-4도 . 바람없음 . 겨울장갑 2벌이 완전히 졋었다 .

기   타 : 디카시간 15"늦음 . 디카번호 9213 - 9285 = 73장중 약45장으로 구성 .

기록분류 : 스크렙 27권 . no 792번 . blog.daum.net/lsm37  전체보기 . 서울환종주 연계산행 . 

 

* 서울환종주 1 - 4 차 코스는 , 서울강동남 16산 종주코스와 동일 합니다 .

들 날머리 를 제외한 1 - 4 차 까지의 연계거리는 , 103.75 k 이며 , 1-4차 전체 산행거리는 114.73 k 입니다 .

(1차는 도상거리이며 , 2,3,4,5차는 gps 거리 입니다 )

* 구간거리는 ,

1차 = 창마루 - 3.8 k - 검단산 - 4 k - 용마산 - 3.46 k - 은고개 - 3.9 k - 남한산 - 3.3 k - 서문 = 계 18.46 k .

2차 = 서문 - 0.64 k - 청량산 - 2.45 k - 검단산 - 10.22 k - 영장산 - 8.33 k - 불곡산 - 5.14 k - 오리역 =계 26.78 k .

3차 = 오리역 - 8.91 k - 광교산 - 1.84 k - 백운산 - 2.37 k - 바라산 - 9.48 k - 청계산매봉 - 7.6 k -

        인능산 - 4.29 k - 4.29 k - 대모산 갈림 = 계 34.49 k .

4차 = 대모산갈림 - 0.66 k - 대모산 - 1.83 k - 구룡산 - 5.67 k - 우면산소망탑 - 7.16 k -

        관악산 - 3.3 k - 삼성산 - 5.4 k - 석수역 = 계 24.02 k .  (합 16개산 거리 계 103.75 k )

5차 = 석수역 - 14.34 k - 성산대교 분기점 - 1.19 k - 성산대교 구간 - 5.22 k - 서대문 구청 - 1.61 k - 안산봉수대 - 

        1.97 k - 인왕산 - 2.37 k - 북악산 - 5.28 k - 명상길 구간 = 계 31.98 k . 

들 날머리를 제외한 1- 5 차 연계거리는 (19개산 ) 계 135.73 k 이며 , 1-5 전체 산행거리는148.87 k 입니다 . 

 

일기예보 서울지역 오후 5-10 mm 비 . 10시간 안에 산행을 마치면 비를 맞지않고 산행할수 있겠다는 예상을 하며 .

며칠미룬 종주산행을 이번주에 마칠수 밖에 없었다 . 강동에서 첫차를 타고 7호선 1호선 환승 . 6.30분 산행 예정이

약 30분정도 늦었다 . 석수역에서 산행을 시작한다 .

석수역에서 가양대교 까지 18.1 k . 성산대교 까지 15 k (gps거리) 약2.48분 소요 . 안양천을 따라가는 길이다 .

 

석수체육공원갈림 .      (석수역 0.2k )       (가양대교 17.9 k )

 

기아대교 .

 

광명대교 .

 

안양천 따라가는길은 , 뚝방길 과 뚝방아래 도보,자전거 길 과 중간에 있는 뚝방 중간길이 있다 .

2년전 환종주길에서는 뚝방길로 진행하며 이번에는 , 뚝방아래 인도, 자전거길을 이용하기로 한다 .

뚝방길은 포장도도 있지만 흙길도 많다 . 쉼터와 화장실이 잘되여 있어 좋다 . 거리표도 많다 .

중간에 있는 푹신한 보도길은 최고로 좋다 . 하지만 전구간에 있지 않다 .

바닥 인도와 자전거 길은 시멘트 포장길이 많다 . 뚝방길과 중간길을 잘 활용하면 좋다 .

 

구일역 부근에 있는 돔 경기장이 보인다 . 08.20분이 지나며 부슬비가 나린다 .

 

도림천 합류지점 . 우산쓴 산책객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 계속 비를 맞고 갈수는없다 . 우비를 걸친다 .

 

성산대교 갈림길 . 대로변 서부간선도로 로 나간다 .

 

성산대로 .

 

성산대교 .  gps 약1.2 k 거리가  된다 .

 

성산대교 북쪽 . 한강공원 으로 내려가며 , 홍제천을 따라간다 .

 

홍제천 한강합류지점 .

 

불광천 합류지점 .

 

홍제천을 따라간다 .

 

홍연2교 지나서 잠시후  서대문 구청으로 빠진다 .

 

서대문 구청에서 안산 올라가는길 , 산행로 주변에 원두막이 있다 . 비가 올때는 최고의 식사장소가 된다 .

 

모악정 .

 

안산 봉수대 . 셀프사진 .

안산은 무악(母岳)이라고 불리우며 기산 , 봉화뚝 , 봉우재 , 봉우뚝 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

안산은 동봉과 서봉의 두 봉우리로 이루어져 모양이 말의 안장같이 생겨서 안산(鞍山)이라고 부릅니다 .

동봉은 군부대가 자리하고 서봉에 봉화대가 복원되여 있습니다 .

 

봉수대에서 바라본 인왕산 . 지금 이순간에 빗속에서도 잘 보인다 .

 

악재 고개 . 육교를 건너간다 . 육교지나서 청구아파트 우측 비탈길을 올라가면 공터가 있고 인왕산 들머리가 나온다 .

 

독립문이 있는 현저동에서 홍제동으로 넘나드는 이곳 고개를 무악재 또는 길마재 즉 안현이라 하였습니다 .

불과 100여년 전만해도 혼자서는 넘어가지 못할 정도로 무서운 고개였습니다 .

한양에서 가장 험난한 고개로 이름나 있었고  가끔 호랑이가 나타나서 행인을 해쳤다 합니다 .

조선 시대에는 유인막을 설치해 10여명씩 군사들의 호송을 받고 넘는 고개였습니다 .

 

인호약수 . 바로위에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간다 . 좌측으로 가면 성 넘어가는 길이없어 인왕산에 오를수 없습니다 .

 

성벽 넘어가는 계단길 에서 바라본 안산 .

 

범바위 와 군부대 시설물 .

며칠전 2월 17일 한백팀과 함께 사직공원 - 인왕산 -  홍지문 - 탕춘대능선 - 비봉 - 승가사를 탐방한 적이 있다 . 

 

인왕산도 조망합니다 .

비오는 날의 토요일 오후  ,  이곳에서 단체 산행인들을 많이 만납니다 .

 

그 틈새에 끼어 나도 인왕산을 오릅니다 .

 

인왕산 정상에서 바라본 , 기차바위 갈림길 초소가 보이고  , 멀리 구름을 안은 북악산이 보입니다 .

 

기차바위 갈림길 초소에서 기차바위를 봅니다 . 멀리 북한산 향로봉이 조망됩니다 .

 

윤동주 시인의 언덕 .

 

창의문 안내소에서 명찰을 받고 , 창의문과 윤동주 시인의언덕 을 뒤 돌아봅니다 .

돌고래쉼터 , 백악쉼터 정자에는 비를 피해 쉬고있는 산행인들로 만원 입니다 .

 

북악산 (白岳山 342 m )정상 셀프 사진 .

 

백악산 (342) . 북악산의 또 다른이름 .

 

청운대에서 뒤 돌아본 북악산 .

 

잠시 산행로는 성 밖으로 나갑니다 .

숙종30년(1704)의 성벽으로 2자 2자 석재를 규격화 하여 쌓은 성으로 장정 4명이 들수있는 무개의 돌이다 .

시대별로 성 쌓는 방법을 달리 하였음을 불수있다 .

다시 성 안으로 들어가면 성의 돌출부분인 석장에 조망터가 있지만 흐린날씨에 별 볼일이없습니다 .

 

숙정문 에서 어데로 나가는가 근무자에게 물으니 곧장 가란다 . 하여 약600 m 돌아 나간다 .

 

빤히 아는길에서 실수를 한다 .

말바위 안내소에서 표찰을 반납하고 성벽넘는 전망대를 넘어 와룡공원 200 m 지점까지 산행거리를 늘리고있다 .

 

계속되는 나무 계단갈을 따라 다시 숙정문 안내소에 도착한다 .

여기서 김신조 루트를 따라 호경암 전망대로 가야 하는데 ,

팔각정으로 가면 시간 단축이 될까하는 기대에 팔각정으로 간다 .

 

팔각정에 올라간다 . 능선길은 없고 포장도 길뿐이다 .

 

포장도 따라간다 . 전에 여러번 다녀 본 길이지만 어느길이 빠른 코스인지는 알수 없다 .

하늘교 다리다 . 호경암으로 가면 저 다리를 넘는다 .

 

하늘마루에 올라 하늘교를 본다 . 영상의 날씨지만 계속 비를 맞으면 6시간을 오니 겨울 장갑이 물탱이 되어 있다 .

손이 시리다 . 아니 손이 얼어있다 . 스틱을 사용하니 장갑을 낄수 밖에 없다 .

 

하늘마루(정자) 안내도 . 붉은색 김신조 루트를 타야 하는데 , 노란색에 포장길로 왔다 .

14.52분 여래사 일주문 .

15.05분 북악터널위 산행로 . 형제봉 가는길로 계속 진행한다 .

 

북한산 둘레길 사거리 .    (북악하늘길 1.5 k )     (형제봉 정상 0.9 k )     (정릉탐방소 2 k )    (평창공원 지킴터 1.5 k )

번갯불 같은 통박을 재며 , 여기서 정릉탐방소로 하산하기로 한다 . 시간과 체력은 되는데 추워서 못 견디겠다 .

원 예정은 형제봉 - 대성문 - 정릉탐방소로 하산 . 

그래야 6차 산행시 오산종주를 하며 연계지점을 대성문에서 포인트 할수있다 .

 

그래도 문제는 있다 .

지금은 해가 짧은 겨울철 . 첫차를 타도 06.40- 50분 불광동 출발 - 오산종주 - 상계역 하산이 너무 늦은 시간이 된다 . 오산종주 15시간을 예상하면 . 밤 10시에 하산하게 된다 . 늦어도 오후9시 전에 하산 하여야 한다 . 아직은 겨울이다 .

이 고민을 풀려면 시간이 필요하다 . 이제는 오산종주 출발은 정릉탐방소에서 하여야 한다 . 이경우 약 1 k 단축된다 . 

고민하면 방법은 도출된다 . 

 

정릉 탐방소 주차장 . 북한산 둘레길 명상길 5구간 .

 

북한산 국립공원 탐방안내소 .

 

110 A 버스 종점얖 식당 . 올갱이 탕  하산주 중이다 .

 

들 날머리를 제외한 1- 5 차 연계거리는 (19개산 ) 계 135.73 k 이며 , 1-5차 전체 산행거리는116.89 k 입니다 .

오늘도 즐거운 산행이다 . 즐겁게 산행을 할수 있어 모든 분께 감사드립니다 .          

                                                         l  s  m  3 7  산  행    이 상 목   감사합니다 .

6차 서울환종주 산행은 오산종주<백운대 , 신선봉 , 사패산 , 수락산 , 불암산>로 예정 합니다 .

다만 들머리를 정릉 탐방소에서 합니다 . 들머리를 불관동에서  할경우보다 총 거리가 1 k 짧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