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와 : 임상녕님 과 둘이서 .
산행지 : 도봉산 - 북한산 연계 산행 .
산행코스 : 도봉산역 - 도봉탐방지원센타 - 은석암 - 다락능선 - 앙릉 위험지대 - 418 안전쉼터 - 포대정상 - Y 계곡 - 신선봉 -
도봉주능선 - 오봉샘갈림 - 우이령 - 왕관봉 - 육모정 고개 - 영봉 - 하루재 - 백운대 - 위문 - 산성주능선 - 대동문 -
대남문 - 문수봉 - 비봉능선 - 향로봉 - 족두리봉 - 둘레길구름정원길 합류지점 - 대호 A 앞 상가 (산행종료)
산행거리 : gps 거리 22.71 k .
산행시간 : 06.35분57" - 18.34분37" = 11.59분(기타시간 1.36분 포함)
기타시간 : 식사시간 + 30분 간식시간 + 20분 + 쉰시간 46분 = 계 96분 .
날 씨 : 구름 . 안개 . 5 - 8도 . 습도 87 % . 바람없음 . 새벽엔 약간추음 . 백운대 약간비 .
기 타 : 디카시간 50 초 빠름 . 디카번호 8983 - 9200 = 218장중 약 100장으로 구성 .
클린 안함 .
개 념 : 11.5일 북한산 - 도봉산 나홀로종주산행을 한후 / 며칠후 반대방향 산행 예고를 하니 임고문님이 함께 하자고 하여 ,
약간 코스를 변경하여 산행을 하게된다 . 다음은 일주일 후로 콜이 있거나 나홀로 예정을 한다 .
첫차로 둔촌동역 출발 - 군자역 7호선 - 임상녕님과 함께 산행 합니다 .
도봉탐방소 가는길 마로니에 보도길 . 순두부 차량을 지나서 ,,,,,
도봉탐방지원센타 .
광륜사 를 지나고 119구조대 지나 숲길에서 5분간 산행준비를 하고 다락능선길을 향하여 ,,,,,
은석암 .
현위치 도봉 33 - 03(288 m )지점 . 망월탐방지원센타 갈림 다락능선길 . * 출발 2.89 k 지점 .
다락능선 암릉길 .
바위 조망대에서 , 안개구름이 피어 오르고 수락산 능선이 조망됩니다 .
바위 조망대에서 , 연이어 불암산이 구름위로 부상합니다 .
바위 조망대에서 , 수락산 과 불암산을 배경으로 ,,,,,
테크 전망대 에서 , 선인봉에서 포대능선 조망중 엷은 구름이 지나갑니다 .
망월사 와 포대능선 .
테크전망대 암봉뒤에 수락산 능선이 ,,,,,
석문을 지나며 ,,,,,
10휴식처 갈림 . (자운봉 1.4 k ) (도봉탐방센타 2.6 k ) (10휴식처 0.4 k . 도봉탐방센타 2.2 k ) * 출발 3.65 k 지점 . 2분 지체 .
선인봉 , 만장봉 , 자운봉 , 신선봉 .
포대정상 까지 .
큰 바위 전망대에서 , 지나온 전망바위 와 멀리 수락산과 불암산 조망 .
선인봉 과 만장봉 .
선인 , 만장 , 자운봉 .
자운 , 신선 , 포대정상 .
위험지대 오르는중 ,,,,,
도봉산 사람바위가 수락산 기차바위를 보며 웃고 있습니다 . 우리형님은 자운님이다 라고 . 기 죽은 목소리로 ,,,,,기차바위는 대꾸도 안한다 .
위험지대를 오르며 , 조망 합니다 .
불암산을 배경으로 .
운해를 바라보며 , 임고문님 동영상 촬영중 ,,,,,
418 안전 쉼터 . 현위치 도봉33 - 06 (667 m )지점 . 1분 지체 .
418 안전쉼터 삼거리 . (자운봉 0.4 k ) (도봉탐방지원센타 3.6 k ) (도봉탐방지원센타 <석굴암방향> 3.1 k )
입산 시간제 는 2015.05.16일부터 = 하절기 (3 - 11월) 04.00 - 17.00시 / 동절기 (12 - 2월) 04.00 - 16.00 시 까지 .
포대정상 오르는 테크 계단길 . 중간에서 볼수있는 장면 / 사패산 정상과 <사패능선>산불초소 <포대능선> / 의정부 시내는 안개구름속에 잠기고 ,
나는 깊은사색에 잠긴다 .
포대정상 오르는 테크 계단길 . 중간에서 볼수있는 장면 / 산불초소에서 우측으로 눈길을 돌리며 ,,,,,
우 측으로 .
우 측으로 .
다락능선에서 멈춘다 . 잠시후 ,,,,,
포대정상 . 다시 지나온 다락능선길 조망 . 수락 과 불암산 은 안개구름위에 떠 있다 . * 출발 4.37 k 지점 .
포대정상에서 2 .
포대정상 에서 3 . (선인봉 708 m ) (만장봉 718 m ) (자운봉 739.5 m ) (신선봉 725 m )
포대정상 탐방로 안내 .
포대정상 거리표 . (자운봉 0.3 k ) (도봉탐방지원센타 3.7 k ) (망월사 1.6 k . 사패산 3.4 k ) * 5 분 지체 .
포대정상 위에 우뚝선 임 고문 님 . 동 남쪽 모든 산 이 발 아래에 있다 .
포대정상에서 , 바위 와 소나무 사이로 / 북한산을 본다 .
Y 계곡으로 가는길 , 바위 와 소나무 사이에 구름위에 떠 있는 불암산을 배경으로 임고문님이 있다 .
Y 계곡입구 . 주말과 공휴일에는 이쪽 방향에서만 갈수 있습니다 . 혼잡하기 때문 입니다 .
Y 계곡입구에서 조망 .
Y 계곡암릉길 .
임 고문님 .
암릉계곡을 지나며 ,,,,,
암릉계곡 지나는 길 , 면장갑을 낀 주먹을 쥐니 물이 짜진다 . 지금 4 도 바람이 차고 춥다 .
암릉계곡 지주봉 위에서 병풍바위와 칼바위 . 가운대 북한산을 배경으로 ,
암릉계곡 통제소 .
이곳 온도 4.6도 . 장갑낀 젖은손이 차다 .
잠시후 신선봉에 오른다 . * 출발 4.71 k 지점 / 시간 2.29분 소요 . 2분 지체 .
경찰구조대 방향 오름보다 / 다락능선 Y 계곡오름이 약 30분 도 소요된다 .
정상에서 자운봉을 기점으로 우측으로 360도 돈다 . 1 )
2 )
3 )
4 )
5 )
6 )
7 ) 원위치 한다 .
자운봉을 배경으로 임 고문님 .
만장봉을 배경으로 . 셀프 사진 .
주봉 . 도봉주능선길을 간다 .
마당바위 갈림 . (마당바위 0.6 k ) (자운봉 0.3 k )
신선봉에서 나는 먼져 떠난다 . 8 분간 볼일이 있다 . 병풍바위를 우회하여 지나면 ,
오봉 갈림길 . (오봉 1 k . 여성봉 2.2 k ) (자운봉 0.8 k ) (우이암 1.4 k ) * 2분 지체 .
오봉능선은 우측으로 갈리고 / 도봉주능선길을 계속 간다 .
오봉 갈림길에서 칼바위 정상을 본다 .
바위 위에 전망처가 있다 . 칼바위 와 오봉갈리는 물개바위암봉을 배경으로 임 고문님 .
도봉주능선길에 오봉 조망처에서 . 임 고문님 .
오봉 갈림길 . (오봉 1.2 k ) (자운봉 1.4 k ) (우이암 0.8 k ) (도봉탐방지원센타 3.5 k )
보문능선 갈림 . (우이암 0.2 k )
이 지점에서 , 우이동방향 진행 코스를 수정한다 . 우이령길 로 가자는 임고문님의 의견에 나도 동의한다 .
우이령으로 가는 낙옆쌓인 숲길 / 푸근하고 낭만적이다 .
우이령에 도착 한다 .
왕관바위로 오르는 길 . 오봉을 조망한다 . 북한산의 암릉 수백번을 보아도 실증 나지 않는다 . 우리나라 산의 아름다움이다 .
왕관바위 당겨서 본다 . 신라 금관 처럼 생겼다 .
독수리 바위 이바위를 넘어가야 한다 .
하늘이 어두워 진다 . 약간 비를 머금은 구름이다 . 왕관바위를 다시 본다 .
상장능선에 오른다 .
바위 전망처가 있다 . 지나온 도봉주능선길과 우이암에서 시작되는 우이남능선이 우이동으로 떨어진다 .
도봉산을 모듬으로 잘 볼수있는 지점 이다 . 오봉 과 683봉 / 칼바위 , 병풍바위 , 도봉산 이 조망된다 .
도봉산 모듬을 배경으로 임고문님 .
이 장소에서는 북한산도 잘 조망된다 .
좀전의 조망처를 약간 지난지점 / 큰 바위위에서 우이동을 바라보며 / 중식시간 . 셀프사진 .
최고의 식당이다 . 도봉산도 보고 북한산도 본다 . 곁들여 우이동 일대도 발 아래 있다 .
왕관바위 .
북한산 . 북한산에 비가 지나가는가 ? 비 구름이다 .
오봉도 본다 . 약30분간의 맛있는 식사시간이 된다 .
왕관바위를 지나 내려가는 길 양지바른곳에서 진달래가 웃고 있다 . 나도 웃는다 .
육모정 고개 . (육모정 지킴터 1.1 k ) (영봉 1.5 k ) 3분간 쉼 . * 여기까지 도봉지구 = 출발 10.16 k / 시간 5.44분 소요 .
헬기장에서 본 코끼리 바위 .
바위위 조망대가 있다 . 북한산 과 도봉산 중간에 상장능선이 경계역활을 하고있다 . 3분간 조망 .
임 고문님 .
영봉(604) . (하루재 0.2 k ) (육모정고개 1.3 k . 지킴터 2.6 k ) 2분간 쉼 .
영봉정상에서 ,
하루재 쉼터 .
하루재 . (영봉 0.2 k . 육모정 1.5 k . 지킴터 2.8 k ) (백운대 1.4 k ) (백운봉 탐방지원센타 0.7 k ) 1분간 쉼 .
인수암과 인수봉 .
인수봉 배경으로 .
백운산장 . 8 분간 쉬어간다 .
백운봉 암문 . (백운대 0.3 k ) (북한산 경찰산악구조대 1.1 k . 백운봉탐방지원센타 1.8 k ) (용암문 1.2 k) (북한산 탐방소 3.8 k )
백운대 올라가는길 . 평일에도 사람이 많다 .
백운대(836)정상 . 셀프 사진 . * 출발 13.01 k 지점 .
만경재 조망 .
3분후 하산 .
오리바위 .
백운봉 암문 원위치 . 3분 쉬어간다 .
산성 갈림길 .
용암문으로 가며 백운대 조망 .
용암문 .
북한산 대피소 . (용암문 0.2 k . 백운대 1.7 k ) (대동문 1.3 k . 보국문 1.9 k ) (산성탐방지원센타 4.4 k )
대동문 .
대동문 거리표 . (백운대 3.1 k . 용암문 1.5 k . 북한산 대피소 1.3 k ) (대남문 1.6 k . 대성문 1.2 k . 보국문 0.6 k ) 1분지체 .
(산성탐방지원센타 4.5 k ) (아카데미 탐방소 1.9 k )
보국문 (567). (대성문 0.6 k ) (대동문 0.6 k ) (정릉탐방지원센타 2.5 k ) (산성탐방지원센타 4.5 k )
현위치 북한 09 - 04 지점 .
보국문 . 우회길로 간다 .
우회 하는길 .
대남문 .
문수봉 (732)표지봉에서 . * 출발 17.73 k 지점 . 4분후 출발한다 .
문수봉에서 백운대 배경으로 임 고문님 .
문수봉 주변 보수공사중 .
문수봉 암릉길 하산중 .
석문바위에서 석문 사이로 나한봉과 715.5봉을 본다 .
승가봉 (567)정상 . 문수봉 일대를 동영상 찍는 임고문님 .
석문바위 뒤에 나한 , 715.5봉 , 문수봉 , 대남문 , 보현봉 조망 .
사모바위 .
사모바위에서 , 비봉 조망 . 1분 쉬어감 .
전망바위에서 뒤 돌아본 비봉 .
향로봉 능선 위 . * 출발 19.99 k 지점 ./ 시간 10.36분 소요 .
도봉산을 지나며 둘이서 상의한 결과 / 하산주는 제주흑돼지로 하기로 하였다 . 6호선 독바위역으러 가자면 . 여기서 갈리는 길이 있다 .
우측 불광통제소 방향 과 좌측 족두리봉 방향 . 임 고문님이 족두리봉 방향으로 진행한다 .
나도 렌턴이 없어 족두리봉 방향이 유리하다고 생각되어 / 잘 됐다고 뒤 따른다 .
향로봉 내려가는 길 .
향로봉 산불초소 . (비봉 1.1 k ) (족두리봉 1.2 k ) (탕춘대 지킴터 0.8 k . 상명대 2 k )
현위치 알림판 . 야광빛을 낸다 .
탕춘대 갈림 . (족두리봉 0.9 k ) 향로봉 0.8 k ) (불관지킴터 1.3 k ) (구기터널 지킴터 1.3 k . 탕춘대 지킴터 0.7 k )
족두리봉(370) 입구 . 대호통제소 방향으로 하산한다 . 오후 6시경 완전히 어둡다 . * 출발 21.47 k 지점 / 시간 11.23분 .
임고문님이 갖이고 온 예비 렌턴으로 무사히 하산할수 있었다 . 조구두리봉에서 대호 A 하산길은 몇번인가 렌턴없이 밤에 하산한적이 있엇다 .
도심의 불빛이 반사해서 계곡 하산로보다는 좋다 . 어둠에 익숙하기 까지 기다려야 한다 . 다음엔 렌턴을 꼭 준비하여야 한다 .
북한산 둘레길 구름정원구간 과 만나는 사거리 . (불광역 0.7 k ) (족두리봉 0.8 k ) (불광중학교 1.6 k )
하산로는 삼환 그린파크 주택 사이로 나온다 .
대호 아파트 대로 . 하산주 제주흑돼지 먹으러 가려면 6호선을 타야한다 . 이 지점에서는 독바위역이 가깝다 . 독바위역으러 올라가는중 ,
길건너 "할매 순대국" 집이 새로 생겼다 . 환하게 불을 밝히고 우리를 기다린다 . 흑돼지집은 40분은 더 가야하고 피곤도 하다 .
순간에 하산주가 바뀐다 . 제주 흑돼지가 아니고 돼지순대국 이다 . 염색(검은) 안한 돼지로 바뀐것이다 .
간단히 딱고 / 뜨건 순대국에 막걸리 2병 / 임고문님과 나는 막걸리 잔을 딱 마주치며 하산을 축하한다 . 임 고문님 수고했습니다 .
* 출발 gps 거리 22.71 k /시간 11.59분 (기타시간 1.36분 포함)
l s m 3 7 산 행 이 상 목 항상 감사합니다 .
추기 : 금요일 종합검사받고 지방가면 월요일 늦게 집에 도착 한다 . 12월 첫주에 북한산 - 도봉산 (사패산) 종주계획이 있다 .
함께 하면 코스를 줄이거나 늘일수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