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와 : 이산 팀 (이산님 , 임고문님 , 나 3인) .
산행지 : 경기 양평/백운봉,함왕봉,장군봉,상원사,용문사 연계산행 .
산행코스 : 양평역 - 휴양림 - 새수골 입구 - 두리봉 - 헬기장 - 백운봉 - 함왕봉 - 장군봉 - 상원사 - 용문사 - 관광단지 - 버스종점 .
산행거리 : gps 거리(임고문님 폰 인용) 16.31 k (평균속력 2.23 km . 최고속도 5.85 k . 고도<고.저>1.068 m . 15 m . 오르내림 1.627 - 1.424 m )
산행시간 : 08.47분59" - 18.31분55" = 9.43분56"(기타시간2.25분38" 포함시간)
날 씨 : 맑음 . 10 - 15도 . 바람없음 . 산행하기 약간 더움 .
기 타 : 디카 50" 늦음 . 디카번호 3461 - 3553 = 93장중 57장으로 구성 .
* 이산 팀 5차 산행 .
* 백두대간 종주 예행 산행으로 베낭 16 kg 꾸미고 산행 함 . 점심은 산행식으로 누룽지 미역곰탕을 이산님이 준비하여 잘 먹었습니다 .
양평역에서 산행 시작합니다 . 이산 님과 내 베낭은 빵빵 합니다 .
백운산 산행 들머리 . (양평역 1.1 k ) (백운봉<계곡길> 6.4 k ) (용문산9.6 k ) 여기서 산행 준비를 합니다 .
덕평육교 막 지나며 , 백운산 가는길 .
현위치 . (양평역 3 k ) (백운봉 4.5 k ) (용문산 7.1 k ) (용문산 자연휴양림 1.7 k ) (숲길 입구 1.9 k )
양평군 농업기술센타 .
용문산 자영휴양림 별장지 .
새수골 입구 . 계곡길과 능선길 (두리봉) 갈림 .
전번주 수요일은 계곡길로 진행 , 오늘은 능선 두리봉 길로 진행 합니다 . 능선길이 거리도 멀고 힘든 길입니다 .
두리봉 오르는글 약0.7 k 급 경사길 입니다 . 용문산 산행중 제일 어려운 구간으로 생각됩니다 .
두리봉(543)정상 에서 양평시내를 조망합니다 . 높은 건물이 양평역이 있는 지점 입니다 . 새수골 까지 야산으로 이어져 있습니다 .
두리봉(543)정상에서 셀프 사진 . 백운산이 배경입니다 .
임고문 님과 이산 님 . 잠시 휴식시간 입니다 .
헬기장 에서 백운산 정상을 조망합니다 . 정상 우측에 용문산이 보입니다 .
계곡길과 만나는 갈림길 . (헬기장 0.05 k ) (두리봉 정상 1.6 k ) (백운봉 1.1 k ) (용문산 4.3 k ) (양평역 <계곡길>6.4 k )
백운봉 (940)정상 에서 셀프 사진 .
정상에서 조망합니다 . 중앙에 헬기장 . 헬기장 뒤에 두 봉우리 중 우측이 두리봉 .
정상에서 조망합니다 . 연수리 방향 입니다 .
정상에서 임고문 님 . 용문산 배경 .
이산님 과 임고문님 .
나 와 이산 님 .
정상에서 이산님이 준비해온 누룽지미역 곰탕으로 맛있는 점심 식사를 합니다 . 수고 하셨습니다 . 1시간 5분후 출발 합니다 .
능선 정상 사나사 갈림 . 현위치 5.5 지점 . (사나사 2.31 k ) (백운봉 0.65 k ) (장군봉 2.13 k ) (용문산 3.64 k )
함왕봉 가기전에 있는 첫암봉 에서 테크전망대가 있는 암봉뒤에 용문산이 조망됩니다 .
테크암봉 전망대 에서 지나온 백운봉을 조망합니다 .
전번주 이곳에 올라와서 이곳이 문필암이라 생각했었습니다 만 , 아니였습니다 . 문필암은 장군봉 부근 문필암 터를 일컷는 것 입니다 . 수정 합니다 .
전망대에서 봅니다 . 함왕봉 , 장군봉 , 용문산 정상 .
무너진 함왕성터 .
헬기장 .
사나사 갈림 . (사나사 2.8 k ) (백운봉 1.6 k ) (장군봉 1.6 k ) (상원사 3.3 k ) 이곳도 무너진 함왕성터가 잘 보입니다 .
사나사 갈림 . 함왕봉 전위봉 .
함왕봉(966 . 947 고도 확인은 각자가) (사나사 3.6 k ) (백운봉 2.18 k ) (장군봉 0.6 k ) (용문산 2.11 k )
잠시 쉬어 갑니다 . 오늘은 많이 쉬며 가는 편입니다 . 날씨도 덥고 베낭무게 때문 입니다 .
장군봉 (1065) . 정상석은 가섭봉에 밀리고 군 시설물에 밀려 이곳으로 내려와 있습니다 .
임 고문 님 .
이산 님 과 .
이산 님 과 나 .
장군봉에서 상원사로 내려가는길 . 험 합니다 .
함부로 생긴 바윗길 , 위험합니다.
거리는 짧지만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
어려운 길은 지났습니다 . 상원사 입구 . (용문사 1.9 k ) (장군봉 2.19 k ) (백운봉 5.39 k )
상원사 . 용문산 가섭봉이 잘 보입니다 . (용문사 2.06 k ) (용문산 3.64 k ) (용문역 8.3 k )
거리가 일정하지 않는것은 가는 코스따라 거리가 다르기 때문 입니다 . 감안하고 보아야 합니다 .
쉼터 거리표 . (상원사 0.8 k ) (용문산 2.8 k ) (용문사 1.3 k )
계곡물이 맑아 잠시 씻고 갑니다 .
정상에서 내려오는길과 만나는 삼거리 . (상원사 1 k . 장군봉 3.1 k ) (용문산 2.6 k ) (용문사 1.1 k ) (용문역 8.3 k )
상원사 부터 대각선길로된 몇개의 능선을 가로 질러 왔습니다 . 마당바위에서 내려오는 갈림길 능선도 가로 지릅니다 .
현위치 1.2 지점 . 상원사 갈림길 . (상원사 1.78 k ) (용문산 3.13 k ) (용문사 280 m )
용문산 등산 안내도 .
용문사 은행나무 .
용문사 은행나무 . 천연기념물 제 30호 .
동양 최대 나무 유래 . 신라의 마지막 경순왕의 세자 마의태자 가 나라잃은 설음을 안고 금강산 으로 가다가 심었다고도 하고 ,
신라의 고승 의상대사 가 짚고 다니던 지팡이를 꽂았더니 뿌리가 내려 성장한 것 이라고도 한다 .
이 나무는 오래 살고 영험하여 천왕목 이라고도 불렸으며 , 조선 세종때에는 정3품 벼슬을 하사 받기도 하였으며 ,
나라에 큰 변고가 있을 때에는 소리를 내어 알렸다고 합니다 .
볼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나무가 이렇게까지 클수 있을 까 . 우람한 나무 경이롭다 .
은행나무 와 용문사 그리고 용문봉을 뫃아서 본다 .
용문사 사천왕문 . 신장들의 모습이 절마다 약간씩 다르다 .
사천왕상 . 남방 증장천왕 칼을 들고 있다 . 서방 광목천왕 여의주를 들고 있다 .
북방 다문천왕 탑을 들고 있다 . 동방 지국천왕 거문고를 들고 있다 .
동서남북 에서 불법을 수호하는 신장들 이다 .
용문사 일주문 . 용이 드나드는 문 . 용이 사는 집 대문이다 .
독립운동 기념비 .
용문사 매표소 .
버스종점 바로앞에 황해식당 . 단골집이 된다 . 오리 불고기 와 식사 그리고 일병 두명과 이병 한명 즐거운 하산주가 된다 .
이산 님이 백두대간 종주 산행계획과 준비물 목록을 작성해 갖이고 왔다 . 내가 작성한 일정과 거의 같다 . 야영 경험이 없어 배울것이 너무 많다 .
4월 달 예행 산행을 통하여 이산님에게 많이 배워야 겠다 . 오늘 함께한 임고문님 과 이산 님 감사합니다 . 즐겁고 행복한 산행이 였습니다 .
l s m 3 7 산 행 이 상 목 항상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