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년백두대간 연속종주

05.18(수) 17 . 백두대간 종주 (lsm 37 80세 및 산행거리 3만 km기념 산행)늘재-버리기미재 구간

lsm37 산행인 2016. 5. 17. 11:58

16.05.18(수) 17 . 늘재 - 버리기미재 지킴터 구간 (산행17 일째 . 속리산권역 5 일차)

날   씨 : 맑음 .

* 그간 산행중 제일 위험한 암릉구간으로 본다 . 하지만 조심하면 안전하다 . 


청화산 불루베리농장 가공공장 옆으로 간다 . 


불루베리 밭 .


늘재 산신각 . 산행 시작한다 . 


늘재 산신각(성황당)유래비 .

백두대간의 정기를 받은 영역 늘재에 당 이 있으니 백두대간 성황당 이다 . 

이 당은 원래 탑의 신앙과 산신신앙을 혼성한 서낭신당에서 유래하여 , 

신라 고구려 때는 힁액 질병을 막고 길손의 무사 여행을 기원하는 소박한 민간 토속 었고 , 조선에 이르러 동제로 발전하여 오다가 ,  

잦은 국난을 당하면서 국태민안을 위해 성황신을 백신의 장으로 모시고 관 민이 신봉하는 전통 신앙으로 승화되었다 . 

 

정국기원단 에서 조망한 속리산 천왕봉 능선 .


비로봉 , 문장대 , 관음봉 조망 .


청국 기원단 . 의미는 알수 없다 . 외래의 냄새가 풍긴다 . 조망은 좋다 .


암릉은 계속된다 . 


청화산 휴게소 갈림 헬기장 .     (늘재 2.6 K )     (조항산 4.2 K )


청화산 (970 . 987.7) 정상에서 셀프 .


858봉 갈림 .     (늘재 2.6 K )     (시루봉 3.1 K )     (화란봉 6.9 K )     (조항산 3.7 K )


암릉 전망대에서 바라본 조항산 , 대야산 .

 

801봉 전망대에서 바라본 조항산 , 우측  대야산 .


801봉 전망대에서 바라본 갓바위재 조항산 멀리 대야산 .


갓바위재에 올라가며 본 조항산 과 갓바위봉 , 좌측 멀리 바위산이 대야산 .


갓바위재 올라가며 바라본 조항산 과 갓바위봉 .


갓바위재(769) .     (펑화산 3.5 K )     (조항산 1.1 K )


암봉 에서 바라본 조항산 .


조항산 오르기전 암릉에서 지나온 능선길을 조망합니다 . 갓바위재 , 우측으로 돌아 887암봉 , 좌측 맨뒤에 뾰죽한 청화산 이 한눈에 조망됩니다 . 


조항산 정상 오르는길 . 


조항산 (953.6)정상에서 셀프 .



조항산 정상에서 조망 합니다 . 대야산으로 가는 험한길 .


대야산 으로 가는 암봉들 . 채석장과 고모치폐광지 산지에 들어난 큰 상처로 빨리 치유되어야 합니다 . 


의상 저수지 갈림 .     (조항산 0.5 K )     (고모치 0.9 K )     (의상 저수지 3.8 K )


고모치 . 어제밤에 야영하기로 한 지점이다 .    (조항산 1.2 K )     (대야산 3.8 K )     (고모샘 10 M )

고모샘은 우측계곡으로 약 50 M 쯤 내려갑니다 . 야영도 가능합니다 . 


식수도 받고 점심식사도 합니다 . 


고모샘 . 내려가며 좌측 바위틈에서 졸졸 흐르는 석간수 양호 합니다 . 나무잎을 이용 쉽게 받을수 있습니다 . 물맛도 좋습니다 . 


통시바위 갈림길 조망 .


통시바위 가는 길 전망대 바위 .


통시바위 갈림길 삼거리 .


고질라 (854)바위 전망대에서 바라본 대야산 .


집채바위 . 구멍바위(849)굴바위 .


밀재 (701) 현위치 21 - 08 지점 .     (통시바위 2.6 K )     (대야산 1.1 K )     (영월대 1.8 K )     (송면 5.2 K )


대문바위 .


큰대문이라 디카가 한컷에 담아내지 못합니다 . 


대야산 정상으로 가는길 .


한계단 한계단 접근 합니다 . 


대야산 (930.7)정상 셀프 사진 . 조망도 최고 암봉 입니다 . 대야산은 명산입니다 . 


좌로 부터 .  둔덕산 ,    조항산 (953.6) , 청화산(987.7) , 천왕봉 (1058.4) , 문장대 (1054) , 묘봉 , 백악산 , 도명산  , 화양계곡 .



앞에 월령대 떡바위 .  대간외 봉  .


대야산에서 조망 . 하얀 바위가 보이는 산이 희양산  . 희양산도 대간외 산이지만 , 내일은 잠깐 보고 갑니다 .


대야산에서 내려가는길 통제구역 입니다 . 100 M 절벽 밧줄구간이 있습니다 . 위험합니다 . 조심해야 합니다 . 내려가는길 또 다른길도 있습니다 . 

암벽등반 전문인 이팀장 선호하는 코스 입니다 . 


암벽 전문 이팀장 . 물 만난 물고기 .


거침이 없습니다 . 


촛대봉(668) .


촛대봉에서 바라본 대야산 . 촛대봉에서 불란치재를 넘어 암릉을 따라 곰넘이봉을 넘어간다 . 통제된 길에는 리본도 이정표도 , 산행로도 불확실 하다 . 


계곡에는 맑은물이 흐른다 . 신발도 벗고 반목을 한다 . 물이 차다 . 식수도 준비한다 . 


버리미기재 . 오늘 산행종료 한다 . 지킴터가 보인다 . 922 지방 포장도 . 충청북도와 경상북도 경계지점이다 . 오늘은 여기서 야영한다 . 

어제 못다한 산행 보충을 못한다 . 

---------------------------------------------------------------------------------------------------------------------------------------

산행거리 = 늘재 - 2.4 K - 청화산 - 3.5 K - 갓바위재 - 1.1 K - 조항산 - 1.3 K - 고모치 - 0.95 K - 할미통시바위 갈림길 - 1.9 K - 밀재 - 1.1 K -

            대야산 - 1.3 K - 촛대봉 - 1.8 K - 곰넘이봉 - 1 K -  버리미기재 = 도상거리 16.35 km .        내 gps 거리 16.76 km 

           * 시간당<실시간기준>평균거리 1.64 km . 오늘 산행도 만만치 않은 산행이다 .    

토탈거리 = 도상거리 = 294.977 km .     내gps거리 308.49 km .

산행시간 = 06.33분56" - 19.16분35" = 12.43분 (이동시간 10.10분 + 기타시간 2.33분 )

---------------------------------------------------------------------------------------------------------------------------------------


출입통제 구역 . 목적 : 야생동물 , 식물 서식지 및 자연자원 보호 구간 . 대야산 - 장성봉 - 악휘봉 13.8 k 일원 .

                 위반시 자연공원법 제86조에 의거 과태료 30만원내 부과 .


버리기미재 주변에서 야영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