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5.27(금) 25 . 고치령(야영) - 늦은목이 구간 (산행 25일째 . 소백산 권역 6일차 )
날 씨 = 맑음 . 구름약간 , 오후맑음
어제밤 야영장소 .
오늘산행은 거리는 짧고 수월한 길이다 .
성황당(서낭당)당집 앞에서 산행시작한다 .
미내치(831)
현위치 소백 10 - 11 지점 . (고치령 4 k ) (마구령 4 k ) (늦은맥이 9.9 k . 비로봉 18.1 k )
나무의 변신도 자연스러움 이다 .
마구령 .
경상도에서 충청도 강원도로 통하는 관문으로 장사꾼 들이 말을 몰고 다녓던 고개라 마구령이라 하였으며 ,
경사가 심해서 마치 논을매는 것처럼 힘들다 하여 매기재 라고도 하였다 .
마구령에서 1시간 쉬며 점심을 먹는다 .
좌측 남대리 방향 계곡으로 380 m 내려가면 좌측계곡 바위 사이에서 물이 흐른다 . 왕복 760 m 소요시간은 26 분이다 .
물받고 우측 도로로 접근 포장도 따라 올라가도 된다 .
참고사항 .
백두대간 등산안내도 .
백두대간 개념 = 백두산에서 지리산 까지 약1.400 km ,한반도의 중심 산줄기이며 , 종 다양성의 보고로서 한반도 내 다양한 식물 및 동물상의 보금자리 .
백두대간의 구성 = 1대간 1정맥으로 , 표시된 15개의 강줄기 들은 10개의 큰 강에 물을 대는 젖줄이자 그것을 구획하는 울타리 입니다 .
1 대간 : 백두대간 = 백두산 - 두류산 - 금강산 - 설악산 - 오대산 - 태백산 - 속리산 - 덕유산 - 지리산 .
1 정맥 : 장백정간 = 원산 - 서수리 곶산 .
13정맥 : 청북정맥 = 낭림산 - 미곶산 . 청남정맥 = 낭림산 - 광량진 . 해서정맥 = 개연산 - 장산곶 . 임진북예성남정맥 = 개연산 - 풍덕치 .
한북정맥 = 분수령 - 장명산 . 한남정맥 = 칠현산 - 문수산 . 한남금북정맥 = 속리산 - 칠현산 . 금북정맥 = 칠현산 - 안흥진 .
금남정맥 = 마이산 - 조령산 . 금남호남정맥 = 장안치 - 마이산 . 호남정맥 = 마이산 - 백운산 . 낙동정맥 = 태백산 - 물운대 .
낙남정맥 = 지리산 - 분산 .
백두대간 5 개 권역 : 1. 지리산 권역(101 km) = 지리산 - 거창 . 2. 덕유산 권역(154 km ) = 무주 - 괴산 . 3. 속리산 권역(172 km )= 문경 - 봉화 .
4. 태백산 권역(157 km ) = 태백 - 강릉 . 5. 설악산 권역(100 km ) = 양양 - 향로봉 . 총 거리 계 684 k .
* 권역 구분은 여러가지로 나눌수 있다 .
이번에 나는 7 개 권역으로 세분화 한다 .
1 . 지리산권역 (도상거리 - 84.1 km ) (내 gps 거리 - 84.48 km ) = 중산리탐방지원센타 - 중재 .
2 . 덕유산권역 ( " - 130.85 km) ( " - 131.7 km ) = 중재 - 큰재 .
3 . 속리산권역 ( " - 108.43 km ) ( " - 121.11 km ) = 큰재 - 이화령 .
4 . 소백산권역 ( " - 120.71 km ) ( " - 121.84 km ) = 이화령 - 도리기재 .
5 . 태백산권역 ( " - 99.8 km ) ( " - 102.23 km ) = 도리기재 - 백봉령 .
6 . 오대산권역 ( " - 67.61 km ) ( " - 73.24 km ) = 백봉령 - 진고개 .
7 . 설악산권역 ( " - 107.26 km ) ( " - 112.02 km ) = 진고개 - 진부령 기념탑 .
계 도상거리 - 718.76 km 내 gps거리- 750.52 km (권역상의 오류는 숙영기준으로 하였기 때문이다)
* lsm37 산행거리 기록은 = 실제거리(gps 거리 포함)로 기록하지만 이번 백두대간 거리는 도상거리로 한다 .
그 이유는 내 gps 거리에는 알바거리 + 식수원 확인 거리 + 대간외에 있는 봉우리 탐방거리가 포함되였기 때문이다 . * 그러나 gps거리도 산행중 식수원 다녀오는 거리는 포함되지만 , 산행 마무리 지점에서 gps는 끈후 이후 식수 뜨러가는 거리는 제외된다 .
894봉 헬기장 .
1058봉 .
1058봉 헬기장 . 식수가 확보된다면 헬기장이 야영하기에 좋다 .
갈곶산 (966) 정상 셀프 사진 . (늦은목이 1 k) (비로봉 2.7 k ) (마구령 4.9 k ) (선달산 2.9 k )
늦은목이 . (선달산 1.9 k ) (비로봉 2.8 k ) (마구령 5.9 k )
---------------------------------------------------------------------------------------------------------------------------------------
산행거리 = 고치령 - 2 k - 877봉 - 1.1 k - 미내치 - 3 k - 1096.6 헬기장 - 1.8 k - 마구령 - 1.8 k - 1058봉 - 1.8 k - 934봉 - 1.2 k - 갈곶산 - 1 k -
늦은목이 = 13.7 k . 내 gps 거리 15.29 k .
* 시간당 <실산행기준> 평균거리 2.54 km . 최고속도 36.93 km .
토탈거리 = 431.507 km . gps 토탈거리 450.06 km .
산행시간 = 08.33분41" - 16.30분37" = 7.67분 (이동시간 6.00분 + 기타시간 1.57분)
* 오늘 산행은 거리도 짧고 쉬운 산행이었다 .
---------------------------------------------------------------------------------------------------------------------------------------
여기서 야영하기로 한다 . 식수는 좌측 남대리 방행에 계곡수가 있다 .
좌측 약 250 m 내려가면 좌측에 계곡수 수량도 많고 까끗하다 .
식수 확보하고 저녁먹으면 할일이 없다 . 확보된 물로 수건욕을 하는것이 최선이다 .
잠들기전 나는 다음날 일정과 날씨 와 식수정보 10분 , 오늘 산행에 관한 간략한 기록 10분 총 20분이면 잠자는 일만 남는다 .
'16년백두대간 연속종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29(일) 27 . 백두대간 종주 (lsm 37 80세 및 산행거리 3 만 km기념산행)도래기재-화방재 구간 (0) | 2016.05.27 |
---|---|
05.28(토) 26 . 백두대간 종주 (lsm 37 80세 및 산행거리 3만 km기념 산행)늦은목이-도래기재 구간 (0) | 2016.05.26 |
05.26(목) 24 . 백두대간 종주 (lsm 37 80세 및 산행거리 3만 km기념 산행)죽령-고치령 구간 (0) | 2016.05.24 |
05.25(수) 23 . 백두대간 종주 (lsm 37 80세 및 산행거리 3만 km기념 산행)벌재-죽령 구간 (0) | 2016.05.23 |
05.24(화) 22 . 백두대간 종주 (lsm 37 80세 및 산행거리 3만 km기념 산행)작은차갓재-벌재 구간 (0) | 2016.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