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17.05.04(목)산두레(한백팀)충북보은 ,경북상주.속리산 천왕봉,문수봉 (어게인 22산 인증)산행

lsm37 산행인 2017. 5. 8. 19:07

누구와 : 산두레(한백팀)일행들과 함께 .

산행지 : 충북보은 /경북상주 . 속리산 천왕봉 , 문장대 산행 .

산행코스 : 화북탐방지원센타 - 문장대 - 문수봉 - 청법대 - 신선대휴게소 - 입석대 - 비로봉 - 상고석문 - 천왕봉 - 빽 - 배석대 - 상황암 - 학수대 - 

            세심정 - 법주사 입구 - 법주사탐방지원센타 - 터미널 주차장 .

산행거리 : gps 거리 14.62 km + 클린거리 1.46 km = 계 16.08 km .

산헹시간 : 10.21분33" - 15.15분45" = 4.54분12"(기타시간 20분 포함)

            기타시간 : 4분 늦게 출발 + 문장대 4분 + 천왕봉 9분 + 상환암 학소대 3 분 = 계 20분 

날   씨 : 맑음 (구름약간) 25 - 30 도 . 바람없음 . 더운날씨 .

기   타 : 클린산행 대 1 봉 100% .귀경 휴게소에서 처리 . 디카번호 5906 - 6044 = 139 장중 90 장으로 구성 .

* 산두레 산악회 참여는 지난 4월13일 마이산에 이어 이번이 두번째 산행이다 . 조대장님께 코스를 물어보니 문장대 간다고 한다 . 일단 가는것으로 하고 ,

  천왕봉까지 다녀오는 거리를 계산해보니 추가거리 2.8 km . 약 1 시간의 차이가 난다 . 

속리산 국립공원 . 화북탐방지원센타 . 산행 들머리 . 

속리산 국립공원 자연경관 .

산봉우리 = 천왕봉(1,057) 비로봉(1,032) 문수봉(1,031) 보현봉(690) 관음봉(985) 묘봉(874)태봉(540) 수정봉(580) 길상봉 등 이 있다 . 

기 암 = 문장대 , 입석대 , 청법대 , 신선대 , 경업대 , 배석대 , 볼황대 , 산호대 , 학소대 등 .

계 곡 = 화양동 계곡 , 선유동 계곡 , 쌍곡계곡 , 만수계곡 , 서원계곡 등 .

폭 포 = 오송폭포 , 장각폭포 등 .

화양구곡 = 경천벽 , 운영담 , 읍궁암 , 금사담 , 첨성대 , 능운대 , 와룡암 . 학소대 , 파천 , 

문화재 국보 = 법주사 쌍사자석등 5호 . 팔상전 55호 . 석연지 64호  계 3 점 .

        보물 = 법주사 사천왕석등 15호 . 각연사 비로사나불 좌상 433호 . 상오리 칠층석탑 683호 . 법주사 마애여래의 상 216호 , 봅주사 천문도 848호 .

               법주사 대웅보전 915호 , 법주사 원통보전 916호 , 괴불탱화 1,259호 = 8 점 .

지방유형문화재 17점 . 기념 기념물 = 2 점 .

사찰 사지 및 암자 = 법주사 , 각연사 , 성불사 , 중사자암 . 복천암 , 수정암 , 공림사 , 채운사 , 문장사 , 미타사 , 탈골암 등                                                   이 많은 경관 중 오늘 접할수 있는 것은 얼마가 될지는 알 수 없다 . 산행을 시작합니다 .                                       

gps 접속 , 클린산행 준비 등을 하고 후미대장님과 함께 산행 시작합니다 . 

조 산행대장님 산행시간 5 시간을 줍니다 . 

나의 예정시간은 출발 - 문장대 1.20분 + 문장대 - 천왕봉 1.30분 + 휴식 10분 + 천왕봉 - 하산지점 2.00분 계 5시간 . 지도를 보며 예정시간을 잡아 봅니다 .


화북탐방지원센타 . 속리산 산행 자료를 얻을까 ?  했으나  직원이 없습니다 . 


충북보은(법주사 방향)에서 바라본 속리산 주요능선 봉우리 .

경북상주시 화북면 청화산자락에서 바라본 속리산 주요능선 봉우리 . - 백두대간 북진코스에서 볼수 있습니다 . 


속리산 국립공원 안내도 . 탐방객 첵크대 . 여기서부터 경사도가 급해집니다 . 


경사도를 오르며 뒤 돌아봅니다 . 


바위가 있는 전망대 겸 휴식처 .


두번쩨 바위 전망대 .     (화북분소 2.3 km )     (문장대 1 km )


바위 쉼터가 있는곳 . 계속 통과 합니다 . 


문장대 초소 . 현위치 속리 91 - 07 지점 .     (문장대 0.2 km )     (천왕봉 3.2 km )


문장대 초소 쉼터에 많은 탐방객들이 쉬며 간식시간 입니다 . 


문장대 . 

문장대는 원래 큰 암봉이 하늘 높이 치솟아 구름속에 감추어져 있다하여 운장대라 하였으나 ,

세조가 속리산에서 요양을 하고 있을때 꿈속에서 귀공자가 나타나  " 인근의 영봉에 올라서 기도를 하면 신상에 밝음이 있을껏 " 이라는 말을듯고 ,

운장대를 찾았는데 정상에 오륜삼강을 명시한 책 한권이 있어 세조가 그 자리에서 하루종일 글을 읽었다하여 문장대라 불리게 되었다 한다 . 


문장대(1,054) 정상 .


문장대에서 . 옛 강송맨  반갑습니다 . 


반갑습니다 .


문장대에서 천왕봉에 이르는 능선을 조망합니다 . 문수봉 , 청법대 , 신선봉 , 입석대 , 비로봉 , 상고석문 , 천왕봉 .

 

4 분후 천왕봉으로 가는길 .

 

문장대 초소 쉼터 .


문수봉을 스치며 뒤돌아 문장대를 봅니다 . 


바위와 나무 뿌리의 기 싸움 . 퇴화 하고있는 바위 와 살아있는 나무 뿌리의 영토 분쟁의 결과는 , 대 자연이 심판 합니다 .


청법대 바위봉  .


청법대에 올라 천왕봉 방향 조망 합니다 . 


신선대 휴게소 .     (문장대 1.1 km )     (경업대 0.6 km )     (천왕봉 2.3 km )


신선대 휴게소 . 간단한 음식을 팝니다 . 


신선대 휴게소에서 바라본 주변의 신선바위 . 


신선대 바위 .


현위치 속리 02 - 05 지점 . 경업대 / 관음사 갈림 삼거리 .     (경업대 0.4 km )     (법주사 5.1 km )문장대 1.3 km )     (천왕봉 2.1 km )


무슨 바위인지 알수가 없다 .


입석대 뒤에 있는 바위 . 입석대는 나무에 가려 잘 보이지 않는다 .


현위치 속리 04 - 09(968) 지점 .     (문장대 1.9 km )     (천왕봉 1.5 km ) 입석대 약간 지난 지점이다 . 


입석대를 지나서 바위에 올라 , 우측에 보이는 입석대를 본다 . 


좁은 바위 사잇길 .


비로봉(1032) . 고릴라 바위 .


고릴라 형상을 닮은 이 바위는 , 자세히 보면 어미와 새끼 고릴라 두마리가 나란히 앉아 경관을 감상하고있는 듯한 모양 입니다 . 


새끼 고릴라를 자세히 봅니다 . 새끼도 우람합니다 . 


우측에 우뚝선 바위와 함께 천왕봉을 봅니다 . 


우측에 거북이 처럼 생긴 바위 입니다 . 


산행로 앞에 나타나 산행로가 우측으로 꺽이며 좌측으로 놓이게 되는 바위 .

 

천왕봉이 가까이 닥아 옵니다 . 


다시본 거북이 닮은 바위 .


현위치 속리 04 - 07 지점 (963) . 상고석문 거리표 .     (입석대 0.7 km )     (천왕봉 0.9 km )


상고석문 (963)


상고석문을 지나 뒤 돌아 봅니다 . 


상고암 /배석대 갈림 .     (경업대 갈림 <대장님 일행 하산길> 1.5 km )     (문장대 2.8 km )     (천왕봉 0.6 km )     (법주사 5.1 km )

나도 여기서 법주사로 하산할 것입니다 .


장각동 갈림(헬기장) .     (천왕봉 0.3 km )     (문장대 3.1 km )     (장각동 4 km )


천왕봉(1058)정상 . 인증 사진 .


정상 인증 사진 .


정상에서 조망한 , 지나온 능선길 . 좌측에 관음봉 과 문장대 가 보입니다 . 


당겨서 봅니다 . 관음봉 ,  문장대 , 문수봉 , 비로봉  .


정상에서 조망 . 동남방향으로 뻗은 형제봉 방향 . 백두대간 길입니다 . 


천왕봉에서 셀프 .

13 정맥의 한가닥인 한남금북정맥이 천왕봉에서 분기하며 , 한강과 금강유역의 분수령이 되는 곳이다 . 

또한 천왕봉을 삼파수라고 하는데 , 천왕봉에서 떨어진 빗물이 백두대간  한남금북 정맥을 기준으로 , 

동쪽은 낙동강 , 남쪽은 금강 , 서쪽은 남한강으로 흐르는데 이를 가르켜 삼파수라 합니다 . 천왕봉에서 9 분후 출발합니다 .


* 2016년 5.1 - 6,14(80 세및 산행거리 3 만km 기념 산행) 백두대간(42일) 종주시 5.15일 천왕봉 통과 . 문장대에서 야영 . 기억이 생생 합니다 . 

  형제봉 지나며 점심먹는중 역류성 식도증상으로 약 3 시간을 고생했습니다 . 지나간 잊을수 없는 추억입니다 . 

 

 

장강동 갈림  .


하산 하기로 한 지점 .     (법주사 5.1 km )     (천왕봉 0.6 km )     (문장대 2.8 km )


자연에서 생하고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는 나무의 윤희과정 입니다 . 모든 우주의 만물은 별수없이 똑 깥은 과정을 따라 합니다 . 

 

상고암 갈림 .     (상고암 0.2 km )     (천왕봉 1.2 km )     (법주사 4.5 km )


배석대(898) . 고개 숙이고 있는 바위 .

덕만공주(선덕여왕)가 나라의 번창과 왕실의 평온을 기도하고 , 아버지(진평왕)가 있는 경주쪽을 향하여 매일 절을 올렸다고 하여 " 배석대 " 라 부르며 ,

하루는 옆에 있는 우람한 바위가 덕만공주를 따라 고개를 숙였는데 그 후로 현재까지 고개를 들지 않는다고 합니다 . 

그래서 사람들은 남쪽 천왕봉을 향해 절하는 모양을 하고 있다하여 "배례석" 이라고도 부릅니다 . 


상환석문 . 상환석문은 상환암 위에 있어 암자와 연관이 있는듯 합니다 . 


석문은 크고 넓어 여러 사람이 이용할수 있는 공간 입니다 .


상환석문을 이루고 있는 이 바위는 , 거대한 바위로 삼각형으로 생겼는데 , 삼각형의 뽀죽한 밑 부분이 살짝 지면에 고정되여있으며 , 삼변이 공중에 떠 있고 ,


상환석문 좌측 일면 한 부분만 , 좌측 바위에 걸쳐 있습니다 . 신기하여 다시 들어가서 보고 나옵니다 . 


상환석문 거리표 .     (천왕봉 2.1 km )     (법주사 3.6 km )


산행로 좌측 위로 오르는 돌계단을 올라가 보니 , 바위 사이로 비경이 열립니다 . 

상환암을 새로 조성하는중인가 ? 공사중인 건물이 보이고 암벽이 보이는데 학소대 입니다 . 공사중이라 탐방을 포기하고 빽 합니다 . 


현위치 속리 03 - 01 지점(612) . 상환암 입구 .     (상환암 0.1 km )     (천왕봉 2.4 km ) 

상환암은 신라 문무왕 19년(720)에 신라의 고승 혜우가 지었다고 전 한다 . 맞은편 절벽 바위가 학이 둥지를 틀었다는 학로대 이다 . 

학로대 아래 계곡에는 바위 아래에서 물 떨어지는 소리가 너무 크고 요란하여 , 혜우스님의 수행에 방해가 되었는데 ,

별안간 바위가 무너져 폭포를 덮고 폭포가 바위속에 숨었다고 하여 은폭동 이라 한다 . 물 소리는 들리는데 물은 보이지 않는다 . 

물론 물 소리도 줄어들어 수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 


잠시 상환암으로 올라가 봅니다 . 학소대가 보입니다 . 나무숲에 가려 학소대 전체를 디카에 담을수가 없습니다 . 

다시 빽하여 상환암 입구에 오니 , 좌측 계곡에 큰 바위가 있어 은폭동은 보이지 않고 은폭동 까지 가기가 수월치 않아 가 보는것은 포기 합니다 . 


탐방로 안내 . 관음암 갈림 .     (상고암 1.5 km . 경업대 1.6 km)     (상환암 0.6 km . 천왕봉 2.8 km )


다리를 지나면 ,


태실 가는길 . 태봉(540)입구 .    (태실 0.2 km ) 


세심정 . 돌 절구의 유래 .

이 절구가 실제로 사용되었던 시기는 13 - 14 c 로 추정되며 , 이곳 지형을 이용한 물레방아 형태로 곡식을 빻아서 밥과 떡과 곡주가 만들어 졌다고 한다 .

이 절구가 만들어졋던 시기에는 약 400여개의 작은 암자와 많은 토굴이 있어 , 속리산의 비범한 기운을 받아 공부하길 원하는 많은 고승과 도인 학자들이 ,

이곳에서 제공되는 음식을 먹고 또한 그들을 찾아오는 손님들에게  제공되었는데 , 

손님중에는 아주 특별한 신분도 있어 이곳에서 나라의 중대사를 논하다 가는 곳이기도 하여 , 곡식은 국가에서 제공되었다고 한다 . 


이곳에 두 기가 남아 물받는 통으로 사용되고 있다 . 



세심정 삼거리 .     (복천암 0.5 km . 중사자암 2.9 km . 문장대 3.3 km )     (상환암 0.8 km . 상고암 2.4 km . 신선대 2.7 km . 천왕봉 3 km )


목욕소 안내 .


목욕소 .


목욕소 부터 세조의 사은 순례길이 조성되여 있다 . 

이 길은 노년의 세조가 지난날 왕위와 권력을 얻기 위해 저질렀던 모든 악행과 잘못에 대해 참회했던 길로 ,

스승인 신미대사를 만나 마음의 안정을 얻고 미래의 강국 조선을 꿈꾸고자 다짐했던 길이다 .


신미대사 는 세조가 수양대군시절 세종의 명으로 석보상절 편찬 작업에 함께 참여 하면서 인연을 맺었다 . 

그 당시 편찬된 책자들은 초기 한글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로 사용되었다 . 현재 복천암에 신미대사 부도탑이 있다 .

  

목욕소 부터 세조의 사은 순행길을 따라 간다 . 순행길은 포장도로 계곡 건너편에 나무로 만든 숲길로 조성되였다 . 



상수도 지 . 수원도 풍부하고 수질도 1급수로 깨끗하다 . 풍광도 좋다 . 호수를 바라보며 잠시 쉬어간들 어떻하리 , 시원한 춘풍도 사알랑 불어준다 . 

 


나무위에 올라와 있는 남생이 . 우리나라 토종으로 멸종위기 남생이 보호종 이다 . 햇볓을 쬐고 있다 . 



눈섭바위 .

세조가 바위아래 그늘에 앉아 생각에 잠겼던 바위로 , 비 바람과 한낮의 더위를 피하던 장소로 , 생긴 모습이 사람의 속 눈섭을 닮았다 하여 눈섭바위라 한다 . 


세조의 뉘우침 .


속리산 입구 .

법주사 탐방시간 약 25 분은 필요하다 . 우측 법주사 방향으로 잠시 가다가 빽 한다 . 

아무래도 시간이 여의치 않다 . 내 뒤에 홍대장님이 오는것을 알지만 , 만약 5 시간을 초과할 경우 모든분께 피해를 줄수있다 . 법주사 탐방을 포기한다 .


일주문으로 가는길 . 관리소 직원들이다 . 


서호 제일 가람 . 법주사 일주문 . 법주사 매표소도 함께 있다 . 


법주사 탐방지원센타 .


속리산 국립공원 안내도 . 속리산에 들어가는것은 속세를 잠시 떠나는 선도 행위로 나도 다시 세속으로 원위치 하는 중이다 .

 

인공폭포 . 시원함을 느끼지만 별 감흥은 없다 .


상가지 . 막걸리 냄세가 난다 . 달콤한 속세의 냄세다 .


하산지점 . 속리산 공용 터미널 . 산행 종료 한다 . 10.21분 33" - 15.16분04" = 4.54분 소요 . 많은 회원들이 기다리고 있다 . 다행이 시간전에 도착한다 . 

잠시후 하산주 식당으로 이동 , 돌솥밥에 푸짐한 안주거리  막걸리 & 담근술 즐거운 하산주로 피로를 푼다 . 

오늘 함께 산행을 한 모든 회원님들과 집행부 여러분 감사 합니다 .      l  s  m  3 7  산 행 인  이 상 목  항상 감사합니다 . 


예정시간 = 출발지점 -  문수봉 1.20분 (실행 1.19분) . 천왕봉 1.30분 (실행 1.26분) . 하산지점 2.00분(실행 2.06분) = 예정계 5.00분 (실행 4.54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