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17.05.17(수)나홀로/충남천안/광덕산(699.3)에게인 25산 산행 .

lsm37 산행인 2017. 5. 18. 19:57

누구와 : 나홀로 / 전철산행 / 천안역에서 버스로 이동 .

산행지 : 충남천안/광덕산(699.3)어게인 25산 산행 .

산행코스 : 광덕사 버스종점 - 광덕사 - 팔각정 - 헬기장 - 광덕산 - 장군바위 - 부용묘 갈림 - 공용주차장 - 광덕사 종점 .

산행거리 : gps 거리 7.23 km + 클린거리 0.72 km = 계 7.95 km .

산행시간 : 10.15분 - 13.16분25" = 3.01분25" (기타시간 35분 포함) 

            기타시간= 종점 2분 + 광덕사 6분 + 정상 15분 + 장군바위 7+2=9분 +공용주차장 3분 = 계35분 .

날   씨 : 맑음(구름약간) . 18 - 20 도 . 바람없음 .

기   타 : * 디카번호 6335 - 6411 = 77 장중 52 장으로 구성 . 

          * 클린산행 = 산행거리 10% 추가 . 대 1 봉 40 % . 서울 천호역에서 처리 . 현장에 분리수거대 없고 , 산행로는 비교적 깨끗한편(청결지수 95 %) .

둔촌동역 06.20분 - 종로 3가역 07.54분 승차 - 천안역 09.10분 착 1 번출구 - 동구광장 우측 대로 태극당 앞 .

버스정류장에서 600 , 601 , 603 버스 광덕사 종점 행 . 20분 - 25분 간격으로 있음 . 09.30분 600번 승차 - 광덕사 종점 도착 .

10.15분00" gps 접속 산행 시작합니다 . 


 

이 뭣고 .  스님이 수행중 끊임없이 일어나는 번뇌 . 


백련지 . 광덕사로 가는 길가에 있습니다 . 


광덕산 산악위치 안내 표시판 . 

정상길로 상행하여 / 능선길을 따라오다가 / 부용길로 하행 합니다 . 산행로에 안내표시가 전국산중에서 제일 잘 된듯합니다 . 산행로도 대로 입니다 .

정상길 오르는 가파른길을 지나면 하행길은 숲길로 부드러운 산행로 입니다 . 산행로도 깨끗 합니다 . 


광덕사 두 암자중 안양암 입구(길상암) . 함께 버스타고 온  일행들 중 제일 후미에서 산행준비중인 세분 . 다른 분들은 벌써 다 떠났다 . 


보호수 느티나무 . (고유번호 8  -17 - 342 . 1982년11월1일 보호수로 지정 ) 수령 440년 . 수고 20 m . 나무둘레 55 m .


안양암 정문 .


안양암 .


극락전 .


안양암 입구에 있는 석조불상 . 고려시대 작품이라면 최고의 국보급 이겠지만 ,



광덕사 일주문 . 

광덕사는 신라 선덕여왕(637년) 당시 자장율사가 중국으로부터 전래 하신 부처님 사리 , 치아 , 가사 , 화엄경 등을 봉안 창건하였으며 , 

흥덕왕(836)때 진산조사가 대 가람으로 중창 , 그 규모는 3 층법당 , 9 범각 , 8 금당 , 80칸 장정각 등과 산내에 89 암자가 있었다 하나 임진왜란으로 모두 소실 .

이조 선조대왕시 희목 스님이 중건하고 그후 석심 스님이 보수 , 현재의 대웅전 , 천불전 , 명부전 , 범종각 , 적선당 , 자강단 , 보화루 , 

일주문 화장교는 10여년에 걸처 중건(1974 - 1985) , 산내에는 길상암 , 안양암 두 암자가 있다 .  

지정 문화재 = 고려사경 (묘법 연화경) 10책(보물 390호) . 천안 광덕사 노사나불 괘불탱(보물 1261호)

문화재 자료 = 대웅전 (246호) , 천불전(247호) , 삼층석탑(120호) , 석사자 2 기(152호) , 부도 (253호) 가 조존되여 있다 . 


천안 광덕사 노사나불 괘불탱 . 삼베위에 채색 1,062 x 711 cm . 보물 제 1261호 .

노사나불 =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과 지혜의 빛이 세상을 두루 비추어 가득하다는 뜻으로 부처의 진신을 이르는 말 .


전체적인 구도는 머리에 보관을 쓴 노사나불을 다른 형상보다 크게 중앙에 배치하고 주위에 2 대 제자 , 2 대 보살 , 사천왕상을 배치 하였다 . 

본존은 타원형 얼굴을 하고 있으며 머리 광배에는 작은 부처 7 구를 갖추었다 . 

가슴에는 만자가 새겨져 있고 양손은 어깨 높이 정도로 올려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는 손 모양을 취하고 있다 .


채색은 짙은 홍색을 주색으로 하여 녹색 , 희색 , 백색 등 원색을 사용하였으며 여기에 금색으로 더욱 밝고 화려함을 돋보이게 하고 있다 . 

상단의 시방 제불은 서운 사이에 각각 5 구씩 배치되어 있다 . 

화기에 따르면 이 괘불은 사혜 스님의 6 인이 1749년3.21일 - 4.30일 까지 약 40여일에 걸쳐 완성한 것으로 제작 시기를 알수 있다 . 

   

극락교를 지나면 , 


광덕사 종무소 입구에 있는 호두나무(국가 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 제 398호) .

호두나무는 중국이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에서는 황해도 이남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 약 20 m 까지 자란다 . 꽃은 4-5월 , 9 월에 열매를 맺는다 .

이 호두나무 수령은 약 400살 정도로 추정되며 , 높이는 18.2 m 이며 , 지상 60 cm 높이에서 두개 줄기로 갈라져 가슴높이의 둘레 각각 2.62 cm . 2.50m 이다 . 


호도나무 3 m 앞에는 이 나무의 전설과 관련한 " 유청신 선생 호두나무 시식지 " 란 비석이 세워져 있다 . 

전설에 의하면 약 700년 전인 고려 충렬왕 16년(1290)9월에 영밀공 유청신 선생이 중국 원나라에 갔다가 임금의 수레를 모시고 돌아올때 , 

호두나무의 어린나무와 열매를 가져와 어린 나무는 광덕사 안에 심고 , 열매는 유청신 선생의 고향집 들 앞에 심었다고 전해지나 지금의 나무가 그때 심은  

것인지의 정확한 근거자료는 찾지 못하고 있다 . 

이곳 마을에서는 이것이 우리나라에 호두가 전래된 시초가 되었다 하여 이곳을 호두나무 시배지(처음 심은곳)라 부르고 있다 . 

전국에서 천안 호도과자 가 유명한것은 광덕사에 있는 호두나무와 무관하지 않는듯 합니다 .

 

대웅전(문화재 자료 246호) .

대웅전은 불교의 창시자인 석가여래를 주불로 오른쪽에 아미타 여래를 왼쪽으로 약사여래를 모신 전각이다 .

현재의 광덕사 대웅전은 1872년(고종 9년)에 중건 하였던 것을 1983년에 해체하고 전의 모습으로 재현한 것이다 . 

해체시 발견된 대형 주춧돌이 통일 신라의 양식이어서 광덕사의 창건시기를 알 수 있게 하였다 . 


대웅전 앞에 있는 삼층석탑 (문화재 자료 120호)

통일신라 말이나 고려초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3층 석탑이다 . 

본래 탑은 부처님의 사리나 유물을 모시기 위하여  만들어진 건조물이나 , 나중에는 가람배치상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 졌다 . 

1층의 지붕돌이 2층의 몸돌과 하나의 돌로 되어 있으며 , 2 층의 지붕돌도 3층 몸돌과 하나로 되어있다 . 

지붕돌의 낙수면은 경사도가 심하고 , 처마의 곡선이 경쾌하고 , 추녀끝이 반전되어 있다 . 상륜부에는 노반과 복발이 있다 . 

전체적인 양식과 수법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 .   


명부전 .


범종각 .


당간지주 .


광덕사 석사자 (문화재 자료 제 252호) .

대웅전 정면계단 앞 좌우에 1 구씩 서 있다 . 조선시대에 만든것으로 짐작된다 . 

하늘을 보는 형태가 사람의 얼굴과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다 . 입은 약간 벌리고 있고  , 이빨을 조각 했으나 형식적인 표현으로 사실감이 없다 . 

사자의 머리털도 도식화되어 구름 모양으로 표현 되어 있다 . 머리 부분에만 조각이 되어 있고  몸통 부분은 조각이 생략 되었다 . 

앞 다리는 직립하였고 꼬리는 짧게 선으로 표현되었으며 , 뒷발은 돋을 새김으로 받침돌과 하나의 돌로 연결되어 있다 . 



보호수 . 광덕사 뒤 경사진 약간 높은곳에 있다 . 


약 545년 된 느티나무 보호수  .

 

광덕사 뒷들로 나와 산행로에 접한다 . 


장군바위 갈림길 .    (광덕산 정상<정상길> 1.8 km )     (장군바위<장군바위길> 1.8 km )     (광덕쉼터 1.8 km )


숲은 뜨거워지는 지구를 식힙니다 .


팔각정으로 오르는 계단길 .


팔각정 쉼터 .


                                                         산악인의 선서 . 

산악인은 무궁한 세계를 탐색한다 .   목적지에 이르기 까지 정열과 협동으로 온갖 고난을 극복할뿐 언제나 절망도 포기도 없다 .

산악인은 대 자연에 동화 되어야 한다 . 아무런 속임도 꾸밈도 없이  다만 자유 평화 사랑의 참 셰계를 향한 행진이 있을 따름이다 .

                                  2000년 2 월 20일  노은 이은상 짓고  후학 김진상 쓰고 , 천안 우둥불 산악회 세우다 . 


광덕산 정상길 11 지점 . 국가 지점번호 . 다 바 5821 5424 .


광덕산(699.3)정상 . 출발 1. 04분에 정상에 도착 . 조망은 탁 티였지만 별로다 .


정상 거리표 .     (광덕사 2.3 km . 광덕쉼터 3.6 km)     (광덕산 임도 1 km . 강당골 주차장 3.2 km)

                   (망경산 정상 4.3 km . 넙티고개 5.8 km)     (배방산 정상 1.3 km . 설화산 8.7 km )     (외암마을 8.8 km )

외암마을은  우리집안 원적지 이다 .


정상에서 인증사진 .


정상에서 인증 사진 .  청산은 나를 보고 말 없이 살라하고  창공은 나를 보고 티 없이 살라하네 . 나웅선사 시 .


정상에서 셀프 사진 . 정상에서 10분후 능선길 따라 장군바위로 하행 한다 . 


정상 밑 안내도 .


이마당 약수터 갈림길 .     (광덕산 정상 0.3 km )     (장군바위 0.9 km )     (멱시마을 2.2 km )


장군바위로 가는길 . 11.52분 7분간 볼일이 생긴다 .


장군바위 . 나도 물좀 마셔볼려고 하지만 지금은 장군바위에 물 나오는 곳이 없다 . 이곳에서 임도 방향으로 약 300 m 밑에 장군약수터가 있다 . 


장군바위 거리표 .     


장군바위 . 

    

장군바위밑 . 장군바위 길 갈림 .     (광덕사<장군바위길> 2.3 km )     (광덕쉼터<능선길/부용묘 길> 3 km )


능선길 제 9 지점 .


능선길 제 12 지점 .


꺽기는(부용묘길)갈림길 .     (장군바위 1.3 km . 정상 2.5 km )     (광덕쉼터 1.7 km )


전 산행로에 쉼터가 마련되어 있다 . 


부용묘길 .     (광덕사 0.8 km )     (장군바위 1.8 km . 정상 3 km )     (광덕쉼터 1.2 km )


부용묘 길 . 공용주차장 갈림 .    (공용주차장 0.6 km )     (광덕쉼터 0.7 km )     (장군바위 2.3 km . 정상 3.5 km ) 나는 공용주차자으로 간다 . 


능선 끝 지점 . 


공용주차장 . 24시 편의점 . 주변에 음식점이 보인다 . 주차장 화장실에서 딱고 머리도 감는다 . 


반사경에 비친 내 몰골 . 광덕산은 매우 깨끗한 산 이다 . 대 1 봉 40 % 물병은 전무 하고 전차표 쓰레기 뿐이다 .


광덕사 버스종점 . 산행 마무리 한다 . 

광덕산이 100대 명산인것이 궁굼하다 . 아마도 광덕사가 있어서 일까 ? 

우선 중식겸 하산주 장소를 찾지만 시간이 없다 . 오후 1.25분 발차 버스를 탄다 . 천안역 주변에서 하산주를 겸한다 .

광덕산 산행도 쉽고 비용도 별로 들지 않는다 . 하지만 1호선 타고가는 전철 너무 지루하다 . 지루한 열차를 타고 생각해 본다 . 산행은 행복한 시간으로만 남는다 .

                                                           l  s  m  3 7  산 행 인  이 상 목  항상 감사합니다 . 

참고 : 천안역 가는 버스 . 약 20 - 30분 간격으로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