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17.11.28(화)경기파주 / 감악산 산행 .

lsm37 산행인 2017. 11. 29. 18:27

누구와 :한백팀 일행들과 .홍대장님 , 임고문님 , 최고문님 나 4명 .

산행지 : 경기파주 / 감악산 (100명산) 산행 . 불랙야크 100명산 어게인 56차 인증산행 . 날씨가 따스해 오랫만에 클린산행도 겸한다 . 

산행코스 : 법륜사입구 정류장 - 거북바위휴게소 - 능선길 - 보리암 돌탑 - 장군봉 - 임꺽정봉 - 감악산정상 - 까치봉 - 법륜사 갈림길 - 6-2헬기장 - 

            선고개 - 도가도로 - 손마중길능선 - 운계전망대 - 법륜사 탐방 -출렁다리 - 팔각정전망대 - 출렁다리입구(버스정류장)

산행거리 :gps거리 8.55 km + 클린거리 0.86 km = 계 9.41 km(평균속력 1.83 km) (최고속도 4.50 km) (오르내림 1,213 m - 1,224 m)

산행시간 :10.50분16" - 16.00분08" = 5.09분52"(기타시간 29분 포함)

날   씨 : 오전 맑고 .오후 흐림(안개많음) 12도 . 바람없음 . 산행하기 좋은날씨 .

기   타 : 디카번호 3112 - 3265 = 154장중 00장으로 구성 .

          클린산행 = 대1봉 85%수거 / 현지 에서 처리 / 산행로 청결지수 보통 2.5급 .


통계 & 트렉정보 .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원산 , 낭림산 , 금강산을 거쳐 태백산까지 내려와 소백산 , 지리산까지 뻗은 우리나라에서 제일큰 산줄기가 백두대간이다 . 

대간이 금강산을향해  달리다가 분수령에서  서남쪽으로 뻗은것이 한북정맥이며 , 한북정맥 양주에서 갈라져 적성쪽으로 뻗어간 산줄기가 감악산이다 . 


감악산(675)은 파주시 적성면 , 양주시 남면 , 연천군 전곡읍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 지역에서는 감박산 으로도 부르며 , 

고려사 나 동국여지승람 에는 감악 으로 표기되어있다 . 조선조 도성을 중심으로 북악 , 송악 , 관악 , 삼악 과 함께 경기 5악으로 부른다 .


산중에는 지금은 없어진 감악사터 절의 뒷산 서쪽 봉우리에 용지가 있었는데 가물거나 장마에도 물이 변하지 않고 기도에 감응이 있었다고 한다 . 

산의 정상에 감악산 신라고비(속칭빗돌대왕비.설인귀 사적비)가 있는데 일대는 삼국시대 삼국간의 혈투장이였고 거란침입과 한국전쟁때 고랑포 격전지 였다 . 

임진강을 가로지른 고랑포(다리)전투(북진중)는 6.25전쟁때 직접 전투를 관전한 아련한 기억이 있다 .


양주역에서 만나 역전에서 25번 버스로 이동 - 법륜사 입구 하차 . 산행준비를 하고 산행시작 .


감악산 관리소 . 조금 올라가면 거북바위휴게소를 지나 ,


법륜사로 가는길.


 출렁다리와 법륜사 갈림지점에서 우측 능선으로 오른다 . 이길은 감악능선 계곡길이다 .


보리암 돌탑 탐방 .




감악산 돌 할배 .

이루고자 하는 소원을 간절히 기도하고 돌할배를 들어 올린다 . 임 고문님 무슨 소원을 빌었는지 소원성취된다 . 

나도 들어 올려보지만 소원을 기원하지는 않는다 . 


보리암에서는 막걸리도 판다 . 


소원성취를 빌며 임고문님 돌탑도 한바퀴  돈다 . 


보리암 용궁당 . 안에는 촛불을켜고 기도처가 있다 .


갈림길 . 감악능선 계곡길은 정상까지 이어진다 . 


바위 전망대에 올라 신망저수지를 조망한다 . 안개가 많다 .


바위 전망대에서 홍대장님 조망한다 . 장군봉과 임꺽정봉을 배경으로 .


바위 전망대에서 .



장군봉과 임꺽정봉을 배경으로 .


돌문을 통과하면 전망처 .


바위 전망처 뒤 돌아본다 .


장군봉 오르는길 . 신앙저수지 조망 .


장군봉 조망 .


안부 법륜사 갈림 .


장군봉에 오른다 . 


장군봉((640)정상 .



장군봉에서 임꺽정 봉을 본다 .


장군봉 밑 . 의자 쉼터에서 중식 . 최고문님 사과 배급받는다 .


식사후 출발한다 .


임꺽정봉(670) 산세가 매를 닮았다하여 매봉이라고도 부른다 . 


임꺽정(670)정상 .


임꺽정봉은 일명 응암봉(매봉)이라고도 부르는데 생긴보양이 매와 비슷하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임꺽정 봉밑에 있는 굴에 대해서는 설인귀굴 도는 임꺽정굴 이라고 부르는데 ,일설은 고려말 충신 남을진 선생이 은거한 남선굴이 바로 이굴이라고 전해진다 . 

 


돌아본 장군봉 .


임꺽정봉 .


임꺽정 봉에서 ,




임꺽정봉 내려가는길 눈이 얼어 미그럽다 .


정자를 지나면 정상이다 . 감악능선 계곡길은 정상가지 이어진다 .


감악산(675)정상에서 홍대장님 .


인증사진 .


인증사진 .


인증사진 .



감악산비(파주시 향토유적 제8호)

감악산 정상에 우뚝서 있는 이고비는 기단부 , 비신 , 개석을 갖춘 화강암비로 높이 1.70 m , 너비 70 - 70cm . 

이 비는 글씨가 마모되여 몰자비라 부른다 . 구전으로는 설인귀비 , 빗돌대왕비 등으로 부른다 . 

지금까지 이비에대한 실체는 밝혀진바 없고 속전에 의한 기록만이 존재한다 .

1982년 동국대학교 감악산비 조사단에서 2차례에 걸쳐 이 비를 조사한 결과 , 그 형태가 북한산의 진흥왕순수비와 흡사하고적성지역이 전략적 요충지로서 

진흥왕대에 영토확장 정책에 따라 세력이 미쳤던 곳이라는 점을 들어 제5의 진흥왕순수비의 가능성을 제기 했으나 , 

그 역시 결론을 낼만한 확실한 증거는 발견되지 못했다 . 앞으로 이 비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어야만 한다 .


연천군 상징 케릭터 . 고롱이 와 미롱이 과거와 현재 미래를 상징 합니다 . 

고봉이 는 고대 , 구석기 , 고인돌 과거 등을 상징하는 고(과거)자를 의미하며 , 미룡이는 미래 지향적  희망을 상징하는 미 자를 의미 합니다 .

임고문님 은 과거와 미래를 현재의 위치에서 연결하고 있습니다 . 

 

그러나 과거 현재 미래는 떨어져 있어도 잇고 붙어있어도 이어져 있습니다 . 영원히 한 축으로 돌고 있습니다 . 


감악산 둘레길 4코스 20.5 km . (1코스 천둥계곡길=4.8 km.2코스 하늘동네길=4.8 km. 3코스 천둥바위길=5.6 km.4코스 손마중길 5.3 km)

                                   ( 추가 임꺽정길= 3.5 km)

감악산 마을길 7코스 30.4 km . (1코스 설마치길=4.2 km. 2코스 물구름길=5.8 km. 3코스 초록지기길=3 km. 4코스 늘목길=5 km.5코스 아미성길=4.7 km .

                                   6코스 옛탕광길=4.3 km. 7코스 담장안뜰길=3.4 km)

설마천 산책길 1코스 나라사랑길 3 km .

이상과 같이 다양한 길을 만들엇으나 , 아직은 정비가 미숙하다 .


오늘 우리는 감악산 능선계곡길 을 따라 상행 정상에서 , 

운계능선길을따라 하행 - 선고개 갈림길에서 직진 -선고개 - 손마중길 따라 하행중 (고가도로밑)- 운계능선길 합류 - 운계전망대 - 법륜사 - 출렁다리 하행 .



운계능선길로 하행한다 . 정자 .



까치봉에서 지나온 길을 뒤 돌아본다 .

쌍소나무쉼터에서 쉬며 사과먹고 좌측으로 하행하여야 하는데 선고개 방향으로 계속진행하며 알바를 한다 . 

 

현위치 6 - 2 헬기장 .


헬기장 바로밑에 벙커에서 또 선고개 방향으로 알바를 한다 .


선고개 . 여기서도 고가도로까지 또 알바를 한다 . 



알바하며 거리를 늘리고 있다 . 


충혼탑이 가까이에 있다 . 좌측능선으로 오른다 . 


손마중길능선을 만나 두번째 이정표  .


손마중길 세번째 이정표 . 운계전망대 갈림길 . 운계전망대러 간다 .


운계전망대 .페인트 칠을하여 출입통제 . 우리 일행은 바위로만 올라간다 . 


다시 빽 원위치 . 법륜사로 잔행한다 . 


법륜사 경내 . 십이지 상 .


임고문님은 돼지띠 . 자기 띠 앞에서 .


극락보전 .


동양 최초 백옥석 관음상 . 화려한 모습이다 . 





나는 정축년 소띠 . 

12간지도 부처님 수호신이다 . 소띠 손도끼를 들었다 .



목화석 . 큰 나무 화석이다 . 1억5천만년전 중생대 주라기 .


이 비석은 이조  제7대 세조대왕이 당시 운계사(지금은 폐사) 불사에 하사한 공덕비 .

내용은 글씨가 마모되여 알아볼수 없으나 , 세조실록 3년 정축년 .


범종각 .


법륜사 대웅전 .


법륜사 삼층석탑 . 이 탑은 1993년 발굴된 것으로 탑의 양식으로 보아 고려때의 탑으로 추정되며 운계사 3층석탑이라고 고증됩니다 . 



법륜사를 떠나며 ,


운계폭포 .




감악산 둘레길 및 등산 안내도 .



출렁다리로 가는길 . 오전에 상행시 이곳에서 감악산능산계곡길로 갈라졌습니다 . 


감악산 출렁다리 . 나는 이 다리설치후 에는 처음왔습니다 . 다행이 오늘은 사람이 많지 않습니다 .

 


감악산 출렁다리 .이 다리는 글로스터 영웅의 다리라는 별명이 있다 . 

감악산 출렁다리는 국내최초 연장 150 m x 폭 1.5 m 로 국내 산악에 설치된 현수교 중 가장긴 보도 교량이다 .

출렁다리의 제원 .

주케이불 장력 25t덤프트럭 27.5 대를 매달수 있는 장력으로 , 70 kg성인 900명이 동시에 통행할수있으며 , 초속 30 m바람 / 진도7의 내진걸계 . 


출렁다리 앞에서 셀프 .



출렁다리에서 주변 경관이 잘 조망된다 . 


좌로부터 운계전망대 , 법륜사 관음상  , 감악산 정상 .



아래 도로는 오전에 법륜사입구 정류장에서 하차한 지점이다 . 


최고문님 과 임고문님 .




팔각정 전망데에서 출렁다리를 본다 . 




출렁다리 임구 주차장 . 하산종료한다 . 


오늘 클린 산행 / 수집 대1봉 85 % / 처리는 분류하지 못하고 정류장에 비치된 대형 쓰레기 봉지에 처리 / 산행로 청결지수 보통 2.5 급 .

오늘 클린은 예정에 없던 것으로 출발 약 1 km 지점에서 쓰레기가 자주 보여 클린 산행을 겸한다 . 날씨가 춥지 않고 거리가 잛아 쉽게 할수 있엇다 . 


이곳에서 처리 합니다 .


출렁다리 입구 정류장 . 양주역가지 약 50분 소요 . 20분 간격 . 25번 버스타고 왔습니다 . 


참고 . 

불랙야크 100명산 어게인 인증 산행으로 한백팀 홍대장님이 산행지를 잡아주어 고맙습니다 . 함께한 산행 그리고 하산주 행복한 산행이 됩니다 . 

                                                                    l  s  m   3 7   산 행 인  이 산 목  항상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