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와 = 불랙야크 유영열 양재점 일행들과 .
산행지 = 밀양<영남알프스>능동산(983)천황산(사자봉,1189)재약산(수미봉,1108) 산행 .
산행코스 = 배내고개 - 능동산 - 하늘정원 - 샘물상회 - 천황산 - 천황재 - 재약산 - 고사리분교터 - 층층폭포 - 홍룡폭포 - 표충사 - 주차장 .
산행거리 = gps거리 16.72 km + 클린거리 1.67 km =계 18.39 km (평균 2.59 km) (최고 7.20 km)
산행시간 = 05.10분06" - 13.03분47" = 7.53분41"(기타시간 1.25분53" 포함)
날 씨 = 맑음 구름약간 . 새벽 8 도 , 낮 15도 . 바람없음 . 산행하기 좋은 날씨 .
기 타 = 디카번호 : 163 - 487 = 325장중 00장으로 구성 .
클린산행 : 산행거리 10% 추가함 /
작성중 ,,,,,
gps 통계 & 트렉 .
배내고개 도착 .
각자 산행준비를 하고 , 산행시작은 05.10분에 gps 작동한다 .
실제 산행 시작은 8분후에 한다 . 능동산 약 1.1 km / 고도300 m를 올라야 한다 .
힘들고 위험한 길은 계단이 설치되어있어 전보다 수월하다 .
출발(고도 671 m) 0.9 km 지점 (고도 940 m)동녘이 밝아온다 .
출발 0.92 km(고도 944m)지점에서 잠시휴식 .
능동산(983.1)정상 . 낙동정맥 인증장소 .
정맥을 하지않는 나 하고는 상관이 없지만 인증사진을 남겨본다 .
정상에서 5분후 선두 출발한다 .
쇠점골 약수터 . 정상에서 370m 전진한 지점 산행로 옆에있다 . 수량도 많고 물맛도 좋다 .
능동산 0.5 km 지점 . (샘물상회 3.6 km . 천황산 5.4 km)
여기서 큰임도와 접하며 샘물상회까지 3.6 km 임도따라 간다 .
임도에서 ,
출발 1.85 km(고도 915)지점에서 동녘이 밝아온다 .
일출을 보기위하여 잠시 쉬며 ,
태양 아직은 능선에 오르지 못했다 .
능동2봉(969.5)아래 임도 . 출발 2.4km(고도 936)지점에서 일출을 본다 .
여기 저기서 탄성을 지르며 일출을 본다 .각자의 사진에 담는다 .
내 눈엔 일출보다도 일행들의 환성이 더 좋다 .
지금 약 7-8도의 기온이다 . 나는 약간 추위를 느끼는데 , 멋쟁이 여성 런닝차림이다 .보는 마음도 후끈하다 .
잠깐 보이던 일출 , 구름에 가린다 .
일출은 끝내 구름을 뚫지 못하고 10분후 다른위치에서 보게된다 .
능선이 갈리는 지점 . 출발 2.48 km(고도 965)지점 . (능동산 1.5 km) (샘물상회 2.6 km . 천황산 4.4 km)
일출을 보며 잠시 휴식중 . 일부는 계속 진행하고 ,
능선에 가려져있다가 나온 일출을 본다 .
하늘전망대 갈림길 . 출발 4.03 km(고도 965)지점 . (능동산 3.1 km) (샘물상회 1 km . 천황산 2.5 km)
여기서 임도따라 직진하면 샘물상회로 가고 , 우측 능선으로 오르면 하늘정원 전망대 방향이다 . 선두 그릅은 우측 하늘전망대로 간다 .
케이불카 상부 승강장 전망대 . 조망이 좋다 .
나도 조망한다 . 중앙에 운문산 우측에 백운산 .
밀양시 산내면 남명리 국도 24호선 터널을 뚫고 우측방향 울산으로 가는 국도 .시야를 우측으로 돌린다 .
좌측 운문산 , 웅앙 백운산(885) 아래 바위산 행운의 백호 . 우측에 보이는 뾰죽한 봉이 가지산이다 . 우측에 케이불 선이 보인다 .
백운산 행운의 백호를 본다 . 하얀바위 모양이 호랑이를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행운의 백호를 당겨서 본다 . 보는 각도에 다라 약간 느낌이 달라진다 .
다음은 케이불카 상부승강장 .
상부 승강장에서 하늘정원으로 가는 계단길 . 발빠른 선두 그릅은 먼저가고 나는 뒤로 처진다 .
하늘정원 . 전에 없던 전망대 시설물이다 . 신불산 방향으로 시선을 돌려서 본다 .
앞에 봉우리가 능동 2봉 좀전에 지나온 봉우리다 .
좌측 언양방면(울산) . 중앙 뾰죽한 봉우리 간월산 , 다음 우측봉 신불산 , 맨 우측봉 영축산 , 우측 능선따라가면 양산방면이다 .
하늘정원 주변 산과 등산로 안내도 . 안내도를 보면 이해가 쉽다 .
이정표 . (천황산 2.3 km) ( 케이불카 250 m )
두번째 하늘정원에서 조망 .
두번째 하늘정원 전망대에서 우측에서부터 본다 . 천황산(사자봉)이 보인다 . 잠시후 지나갈 능선길이다 . 눈을 우측으로 돌린다 .
국도 24호 밀양방면 . 밀양군 산내면 남명리 . 국도24호 우측으로 가면 언양(울산)방면 .
케이불카 전망대에서 바라 보았던 운문산 다음에 백운산 . 백운산밑에 행운의 백호를 다시 본다 .
백운산 우측 끝에 가지산 .
하늘정원 . 전에 없던 전망대 시설물이다 . 설명이 잘 되어있어 알아보기 쉽다 .
다시 본다 . 우측에 운문산 .
백운산과 백호바위 .
운문산 , 백운산 , 가지산이 나란히 조망된다 .
하늘정원을 지나서 샘물상회로 가는길 .바위에 올라서 잠시후에 올라갈 천황산을 조망한다 .
샘물상회 안내도 .
억새 사이에 낮으막한 샘물상회 뒤에 재약산이 보인다 . 이곳도 전과는 많이 달라젔다 .공터에 억새밭도 전보다 많이 늘난듯 하다 .
샘물상회 억새평전 .
많은 우리 일행들이 샘물상회로 들어간다 . 들어가 한잔하는것도 낭만적이다 . 하나 나는 산에서는 술을 먹지 않는다 . 시장하지도 않고 , 슬슬 먼저 떠난다 .
샘물상회(1005) 이정표 . (능동산 3.5 km) (천황산 2.2 km)
산행중 앞뒤 일행들 속에 끼이면 쓰레기 줍는데 지장이 있다 .
앞 서거나 뒤로 처져야 하는데 앞서는 갈수없고 , 처지기 시작하면 산행하기도 바뻐 쓰레기를 다 줏을수 없어 선두 바로 뒤 따라 가는것이 작업하기 제일좋다 .
억새평전 속에 샘물상회가 보인다 . 샘물상회를 뒤로 하고 나홀로 산행을 즐긴다 . 여유가 있는 산행 보이는 쓰레기는 모두 주워 담는다 .
나홀로 산행 , 나는 이때가 산행중 제일 행복한 시간이다 .
하늘 억새길 . (천황산 1.8 km . 천황재 2.8 km) (능동산 4.1 km)
하늘 억새길 . 가을이 오는 소리가 들리며 , 나는 가을을 걷고 있는 것이다 . 바람과 구름과 내 발자국 소리를 듣는다 .구름에 달 가듯이 말이다 .
얼음골 갈림길 . 가지산 도립공원 권역 등산 안내지도 .
얼음골 갈래길 . (샘물상회 0.5 km) (천황산1.3 km . 천황재 2.3 km)
팔지 소나무 .
천황산 정상이 보인다 .
운문산 조망 .운문산 좌측에 직벽으로선 바위봉이 억산 .
억산 , 운문산 , 백운산 , 가지산 .
24번 국도 . 밀양(좌측)에서 울산(우측)으로 이어진다 . 우측에 보이는 호박소 터널은 다시 가지산터널을 지나 석남터널로 이어진다 .
천황산에 일행들이 보인다 .영남알프스 하늘 억새길 .
영남알프스 하늘 억새길 .앞을 보고 ,
지나온 뒤를 본다 . 억산 일부분 , 운문산이 조망된다 .
억새 사이에 삼거리에서 좌측능선위로 갈리는 길이 팔봉(3.94 km)으로 가는 길이다 . 올라오면서 가볼까 했는데 거리가 너무 멀어 포기했다 .
백운산 , 가지산 .
천황산에 오르며 좌측에보인다 .간월산 . 신불산 .
정상으로 가는길 .
장상이 코 앞이다 .
정상에 올라 뒤 돌아본다 .
정상에서 좌에서 우측으로 본다 . 구만산 , 북암산 , 문바위 ,
억산 , 운문산 .
백운산 , 가지산 .
장상 .
재약산 과 재약봉 .앞으로 갈 산이다 . 멀리있는능선 ↑ 영축산 ↑ 재약산 . ↑ 재약봉
맨끝 라인 사진중앙 신불산 , ↑ 간월산 . ↑ 신불산 . ↑ 영축산 .
맨 좌측봉우리 능동산 . ↑ 간월산 . ↑ 신불산 .
지나온 능선길을 본다 . ↑ 간월산 .
정상에서 . 먼저온 일행들 사진 촬영을 마치고 하산 직전이다 . 내 정상사진을 찍어준다고 한다 . 감사합니다 .
천황산(사자봉 , 1189)정상에서 .
주로 나홀로 산행을 많이 하다보니 , 내 사진은 셀카 사진이 대부분 이다 .
일행들은 먼저 떠나고 ,
나는 정상에서 조망을 즐긴다 . 셀카사진 .
정상 이정표 . (천황재 1 km . 재약산 1.8 km) (샘물상회 1.8 km)
정상에서 조망한다 .
정상에서 조망한다 .
우선 재약산을 바라보며 , 우측으로 시선을 돌려 한바퀴 돈다 . 1번 .
2번 .
3번 .
4 번 .
5 번 .
6 번 .
7 번 .
8 번 . 원위치 하며 , 하산한다 .
천황재로 내려가며 있는 돌탑 .
여기서 일행을 만난다 . 반갑습니다 . 둘이는 하산까지 함께한다 .산도 잘 타고 걸음도 빠르다 .
재약산을 바라보며 천황재로 내려가는길 .
억새밭길 . 재약산 중턱까지 이어진다 .
표충사 3.7 km(내원암 방향)는 어느방향으로 하산하느냐에 따라 거리는 달라진다 .
천황재가 보인다 .
억새는 은빛으로 빛난다 .
영남알프스 하늘억새길 안내 .
1 , 구간 (억새바람길) = 간월재 - 신불산 - 영축산 = 4.5 km(3.00 시간)
2 , 구간 (단조성터길) = 영축산 - 단조성터 - 휴양림 - 죽전마을 = 6.6 km(2.30분)
3 , 구간 (사자평억새길) = 죽전마을 - 주암삼거리 - 재약산 - 천황산 = 6.8 km(4.00시간)
4 , 구간 (단풍사색길) = 천황산 - 샘물상회 - 능동산 - 배내고개 = 7 km(3.30분)
5 , 구간 (달 오름길) = 배내고개 - 배내봉 , 간월산 - 간월재 = 4.8 km(3.00시간)
계 = 29.7 km(16.00시간) 하늘 억새길은 당일 산행이 가능한 규모이다 .
둘이는 천황재에 도착한다 .우리 일행들도 더러 보인다 .
천황재에서 지나온 길을 뒤 돌아본다 .
둘이서 천황재(980m)를 지나 재약산으로 오른다 . 재약산0.8 km 고도 140 m 올라야 한다 . 약 600 m 구간이 가파르다 .
천황재를 당겨서 본다 . 뒤 따라오는 일행들이 없는것을 보니 천황재에서 간식을 하는가 보다 .
억새는 고도 1050 m에서 서서히 줄어들고 잡목들이 정상부근을 차지하고있다 .
정상 가기전에 보이는 바위들 . 저 바위들을 넘어가야 한다 .
정상 갈림길 삼거리 . 뒤돌아 샘물상회를 본다 . 능선따라 1018봉 , 능동2봉 , 능동산이 차례로 보인다 . 샘물 상회뒤에 가지산이 조망된다 .
삼거리 이정표 . 좌측 주암계곡 갈림 . (천황산 1.9 km) (고사리 분교터 1.4 km) 우리 하산로는 고사리분교터로 간다 .
재약산 테크 전망대에서 천황산 조망한다 .
재약산 테크 전망대에서 사자평 억새밭을 조망한다 .억새밭 우측에 고사리 분교터가 있다 .
재약산 테크 전망대에서 주변 조망을 하고 간식후 정상으로 간다 .
재약산(1,108)정상 . 100명산 어게인 인증 .
재약산(1,108)정상 . 100명산 어게인 인증 .
정상에서 전망대를 본다 . 뒤에 사자평 억새밭 . 맨뒤 능선이 간월산 신불산 영축산으로 이어지는 능선길이다 .
성상에서 셀프 .
정상을 떠나며 , 전망대에서 일행들이 오기를 기다린다 .
정상에서 조망 . 내원암 표충사로 내려가는 암릉길 .
이 코스가 위험하여 고사리분교 - 사자평 억새밭 - 층층폭포 - 홍룡폭포 - 표충사로 돌아서 간다 .
내 gps 거리 = 재약산 - 표충사 = 5.46 km . 표충사 - 주차장 = 1.93 km(표충사 경내/유물관등 소요거리 0.26 km 포함)
잠시후 일행들이 오기 시작한다 .인증시간이다 .
두분 . 연세가 있는데 산을 잘 탄다 .
모든인원이 테크 전망대에서 식사를 하며 단체 사진을 찍는다고 한다 . 마침 유대장님이 있어 먼저온 우리는 밥도먹었고 춥다고 하니 먼저 출발하라고 한다 .
땡큐 . 이 하산로는 두번정도 와본 코스로 알바할 일은 없다 .
사자평 억새밭으로 내려가는길 . 전부 계단이 설치돼있다 .
둘이는 하산지점까지 함께 간다 .
계단끝 지점에 억새밭 임도 .
임도따라 10여 m 내려가니 우측숲으로 고사리분교 방향표시가 나온다 .숲길로 10여분 내려간다 .
고사리분교 갈림길 . (재약산 1.33 km . 천황산 3.2km) 고사리분교 0.12 km 억새밭은 좌측 아래로 내려가야하는데 , 분교는 올라간다 .
고사리 분교터 재약산 정상에서 보면 큰나무로 둘러쌓여 성 처럼 보인다 . 주변에 학교울타리 나무가 크게 자라고있고 가운대 공지에 잡초가 자라고있다 .
2006.10.20-21일 무박으로 표충사 출발 ,
경남 알프스 종주(고사리분교 - 재약산,천황산,능동산,배내봉,간월산,신불산,취서산-청수골)때는 분교 건물이 있었다 .거리 32.9 km / 소요시간9.31분 .
교적비 .
고사리 분교 터 이정표 . (표충사 2.9 km) (재약산 1.3 km) (사자평 0.9 km)
여기서 가는 표충사는 능선길로 거리는 가깝지만 폭포를 볼수없다 . 폭포를 볼려면 사자평 방향으로 가야한다 . 사자평 방향으로 550 m 가면 임도 갈림길 .
임도 갈림길 . 현위치 안내지도 . 사자평은 위로 하산은 우측 임도를 따라가면 된다 .
방향표시를 따라가면 된다 .
층층폭포로 간다 . 폭포 가는길은 계단공사가 한창이다 . 층층폭포 출렁다리에서 폭포를본다 . 나무가 가린다 .
폭포로 내려간다 . 와 장관이다 . 옛날 종주때는 폭포소리만 들었다 .
층층폭포의 쉬원한 물줄기를 본다 .
소를 넘치며 흐르는 물줄기는 출렁다리밑에서 또 하나의 폭포를 만들었다 .아래폭포도 본다 .
아래폭포를 보는 출렁다리는 현재 공사중이다 .출렁다리의 난간이 미 완성이다 . 층층이 폭포가 있어 층층폭포라 부르는 모양이다 .
아래에 또 작은 폭포도 있다 .
이 다리가 미완성 출렁다리다 . 신나게 사진을 찍는다 . 오래 머물수가 없어 얼른 나온다 .
계곡따라 내려가는길 . 계곡 한쪽벽은 절벽이다 .
거대한 바위 절벽이다 .
홍룡폭포 .
이곳 옥류동 계곡은 산이높고 골이깊고 크다 . 곳곳에 절벽위에 테크 전망대를 설치하는 중이다 . 공사가 끝나면 더좋은 경치를 볼 수 있을 것이다 .
재약산 수행 산문 . 뒤에 천황봉과 재약산이 보인다 .
자하문 ? 인지 가운대 글자가 확실치 않다 .
표충사 경내로 들어간다 .
표충사에서 궁굼한것은 표충사(사당)와 표충사 .
유물관을 찾는다 .
박물관 입구에 전시된 유물 .
엣날 표충사에서 쓰던 발우(유뮬 1) 밥통(유물 2)이다 .
옛 표충사에서 쓰던 밥솟 . 발우와 밥솟의 규모로 엣 표충사의 규모를 짐작할수 있다 .
------------------------------------------------------------------------------------------------------------------------ ---
표충사 소장유물(경남 유형문화재 제 293호)
표충사는 임진왜란때 승병장으로 큰 활약을 펼쳤던 사명대사의 충정과 깊은 관련이 있는 절 이다 .
사명대사와 관련된 16건 79점의 유물 .
임진왜란이 끝난 뒤인 1604년(선조37년)에 사명대사가 강화사절로 일본에 갈때 그 호송문제에 관한 문서와
임진왜란때 일본에 잡혀간 조선 포로의 송환문제에 관한 문서를 다룬 문서 .
서산대사와 사명대사의 비명을 새긴 목판 .
서산대사의 사적을 새긴 목판 .다라니경 목판 과 , 금강 반야바라 밀경 .
불설아미타경 등이 포함되어있다 .
불설 아미타경 . 경남 유형뮨화재 제 293호 . 목판에 새셔진 불설아미타경 실물 .
---------------------------------------------------------------------------------------------------------------------------
다음은 법고 , 법고대 , 바라 .
---------------------------------------------------------------------------------------------------------------------------
다음은 ,
청동은입사향완 (국보 제 75호 )실물 .
---------------------------------------------------------------------------------------------------------------------------
다음은 ,
표충사 삼층석탑 소장유물 들을 관람한다 .
좌 = 석조 지장보살 반가상(경남 유형문화재 461호) . 중앙 = 목조 관음보살 좌상(460호) . 우 = 석조 관음보살 좌상(427호) .
중앙 앞 = 사리 .
석조 관음보살 좌상(427호) .
조선시대 18세기 / 석조높이 39.8 cm . 폭 33 cm .
옥돌로 만든 석조 불상이다 . 수인은 항마촉지인이며 , 머리에는 원통형 보관을 썻다 . 양식적으로 17세기 전통과 19세기변화의 과도기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
석조 지장보살 반가상(461호) .
조선시대 18세기 전반 . 석조 높이 44.9 cm . 폭 23.5 cm 로 옥돌로 만든 불상으로 수려한 법의 의 표현과 단단한 상호가 인상적이다 .
불상내부에서 다양한 복장물이 나왔는데 , 1796년 중수기록과 양식적 특징으로 보아 적어도 18세기 전반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
목조 관음보살 좌상(460호) .
조선시대 17세기 . 목조높이 50.5 cm . 폭 30 cm . 구전에 의하면 사명대사가 직접 원불로 모셨다고 전해진다 . 불격이 높고 제작 기법이 매우 뛰어나다 .
수인은 아미타인이며 왼손에는 파란 정병을 들고 있다 . 보관이 아름답고 마치 선정에 든 듯 조용하고 평온한 표정이 특징적이다 .
표충사 삼층석탑 사리 . 5과 의 작은 사리와 1과의 큰 사리 실물 .
표충사 삼층석탑과 사리 봉안의 기원은 삼국시대까지 올라가며 ,
신라흥덕왕 4년(829년)에 황면선사가 재악산 기슭에 상서로운 기운을 보고 삼층석탑을 세우고 진실사리를 봉안했다고 전해진다 .
하지만 1995년 삼층석탑에 대한 해체보수 과정에서 많은 유물과 함께 백자로 만든 사리함이 출토되었으나 사리함은 비어있는 상태였다 .
그러던중 표충사의 사리가 임진왜란때 화마를 피해 진주 법륜사로 , 다시 인근의 두방사로 옮겨졌다는 전언이 있었고 ,
두방사의 다층석탑에서는 총 23과의 사리가 출토 되었다 .이에 표충사는 그 중 6 과의 사리를 모셔와 다시 봉안하게 되었다 .
그중 큰 사리 1과 .
---------------------------------------------------------------------------------------------------------------------------
사명대사의 친필시문 .
당나라 시인 이백 이 지은 "강하별송지제" 시문중 "골짜기의 새들이 맑은 대낮에 울어대고" 라는 내용이다 .
당시 수많은 일본인들이 사명대사의 글을 받기 원하였다 .
--------------------------------------------------------------------------------------------------------------------------
사명대사의 금란가사 와 장삼(29호) .
표충사 유물관 에 전시되고있는 금란가사와 장삼 .
가사 는 <스님들이 장삼위에 왼쪽어께에서 오른쪽 겨드랑이 밑으로 걸쳐 입는 의복 > 장삼 은 <스님들이 평상시에 입는길이가 길고 소매를 넓게 만든 웃옷>으로
임진왜란 때 승병 대장으로서 나라를 구하기 위하여 헌신한 사명대사 임유정(1544 - 1610)스님이 친히 입으시던 옷이다 .
옷의 규격은 가사가 260 cm , 세로 80 cm 이며 / 장삼은 기장 103 cm , 길이 122 cm이다 .
재질은 직조에 무늬가 있는 비단으로 자연부식과 탈색으로 ,
훼손이 심하여 1983년에 문화재 관리국에서 유물의 원형을 일부 보수하고 오물을 제거하는 한편 탈취와 훈중처리 등으로 보전 처리를 하였다 .
장삼 .
--------------------------------------------------------------------------------------------------------------------------
삼층석탑 개수탑기비 .
1995년 표충사 삼층석탑을 해체수리하던 중 기단 적심부에서 다수의 유물과 함께 발견된 비석이다 . 마모가 심하여 정확한 내용은 알수없으나 ,
재악산 영정사(표충사 이전이름)에서 1491년(홍치4년) 2월에 탑이 기울고 위태로워 많은 스님과 사대부중들이 시주하여 보수하였다는 내용이다 .
표충사 삼층석탑(높이 68 cm) 개수탑기비 .
신라 흥덕왕 4년(829년)에 황면선사가 세운 삼층석탑을 조선시대 홍치 4년(1491년)에 개보수하였다는 내용으로 ,
탑이 세워진후 660여년지난 조선시대에도 석탑을 해체하여 보수하였음을 알 수 있다 . 국내에서 유일하게 탑속에서 발견된 비석이다 .
작성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