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19.01.14(월)북알예행 20차(남한산성종주,좌행3+3코스)산행 .

lsm37 산행인 2019. 1. 15. 17:46

누구와 = 나홀로 .

산행지 = 북알예행 20차(남한산성종주,좌행3+3코스)산행 .

산행거리 = 12.97 km(평균 3.04 km) (최고 11.70 km) 최고속도 데이타는 알수없다 .

산행시간 = 05.46분10" - 10.02분12" = 4.16분02"(기타시간 00분 포함)

날   씨 = 아침 안개속 약한햇빛 . 영상3도 . 바람없음 .

기타 = 디카번호 = 4239 - 4338 = 100장중 78장으로 구성 .

       * 오늘은 산성 4대문 , 암문 , 옹성 , 옹성치에 대해서 알아본다 .


gps 통계 & 트렉 .


마천역 1번출구에서 산행시작한다 . 


만남의 장소 .


산불초소 .

짖은 안개속이다 .안개가 심할때는 입자가 빛을 반사시켜 주변을 밝게 해준다 . 렌턴없이 산행할수있다 .


출발 2.46 km 지점 . 3코스 야경 조망처 .


서낭당 .


서문(우익문) . 행궁을 중심으로 행궁의 우측에 있다고 하여  우익문이라 한다 .

담배연기같은 것은 습도가 만들어낸 현상이다 . 오늘은 좌행하는 날이다 .


제 5 연주봉 암문 . 연주봉은 한때 봉화대로 잘못 알려졌지만 발굴결과 옹성으로 2기의 포대가 발굴되었다 . 

남한산성에는 16개의 암문이 있는데 , 본성에 11개 외성인 봉암성에 4개 한봉성에 1개가있다 .

암문에는 고유의 암문이름이 있고 , 각 암문에는 장경사신지옹성 암문을 제 1암문으로 시작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돌아가며 번호가 부여되여있다 .


연주봉 옹성 성치 . 연주봉 옹성 포대끝부분이 보이지만 야간에는 잡히지 않는다 .

치는 성벽의 일부를 밖으로 돌출시켜 성벽으로 접근하는 적을 입체적으로 공격할 수 있도록 한 시설물중 하나로 남한산성에는 무두 5개의 치가 

설치되여 있으며 , 이중 본성에 4개 봉암성에 1개가 설치되여있다 . 하지만 제2남옹성성치를 제외하면 나머지 성치는 형식적인 모습일 뿐이다 .

상기에 설명된 치 외에 장군대앞에 있는 치 는 북장대앞에도 설치되여있다 . 

추가로 설명하자면 성치 또는 치는 지휘관이 옹성치 또는 장군대에서 지휘하는 장대라고도 할수있다 .  

말하자면 옹치는 옹성 포대를 지휘하는 지휘소이며 성치는 장군이 지휘하는 장군대라고 할수있다 . 

서문에서 시계방향으로 , 연주봉 옹성치 , 북장대에 장군대 성치 , 제3남옹성치 , 제2 남장대 옹치 , 제1 남옹성치 와 봉암성에 옹성치 1개가 있다 .

 

북장대앞에 있는 장군대치 . 


북장대터 .


북문 .


북문 (전승문) .

북문으로 침입하는 적을 크게 무찔러 승전하였다하여 전승문이라 하였다 .


제 4 암문 . 옥정사 암문 또는 북암문 .


제4 암문 . 급한 경사도와 은밀항곳에 설치되여있다 . 


4암문 주변에 군포지 수구통도있다 . 북문과 옥정사지와 가까운 거리에 있으며 은밀한 소규모 작전과 보급품 조달에 유리한 지형에 있다 .

 

제3 동장대 암문 . 봉암성과 한봉성으로 통하는 제 12 암문 과 통한다 .

암문중에서는 동암문다음으로 큰 암문이다 . 봉암성으로 물자와 화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크게 만들었을 것이다 .

 

봉암성으로 통하는 12암문과 우측 동장대 .


동장대 . 남한산성 여장 옛고증을 위하여 복원하지 않은 상태로 보존하고있다 . 

남한산성내에서 제일 높은곳(495)에 위치한다 . 봉암성 외동장대옆에 있는 남한산(522)이 제일 높다 .

 

조존하고있는 여장과 봉암성일대조망 .


제2암문 . 장경사 신지 옹성 통로 .



장경사 신지옹성 끝부분에 2기의 포대가 있다 . 

이곳에는 옹성치가 없다 . 성이 완성된후 옹치를 설치한 연유도 있겠지만 옹성치의 필요성이 없는지점이기 때문일 것이다 .


장경사 앞에 있는 제1 암문 


장경사.


장경사 암문에서 장경사 수구통을 본다 . 남한산성은 서고 동저산세로 산성내에서 외부로 빠져나가는 물이 동수문 다음으로 많은 곳이다 . 


제 1암문 . 이곳을 기점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암문 번호가 시작된다 .

장경사 암문<홍예식>은 출입구 안밖이 이중의 잔돌로 되여있어 성수구통으로 다 빠지지 못하는 물은 이암문을 통하여 배출하도록 설계되였음

을 본다 . 이 암문은 산봉성 제16암문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외부로 통할려면 16암문을 통하여야 한다 . 한봉성 암문은 16암문 하나뿐이다 .



남한산성에 딱 하나 뿐인 2개의 포구 . 이포구는 한봉성을 향하고 있다 . 항전시 한봉성을 점령한 청군이쏜 포탄이 행궁주변에 덜어졌다고 한다 . 

한봉에서 행궁은 보이지 않는다 . 다른고지에서 관측하며 포탄을 쏘았을 것이다 . 행궁부근에 적의 포탄이 떨어진것은 큰 위협이었을 것이다 .  

아마도 이 포구는 한참후에 설치한것으로 보인다 .


현위치 2:1 지점 . 동문과 송암정 중간쯤에 있다 . 서문에서 중간지점에 위치 한다 . 평균 한바퀴가 7.20 km 반으로 나누면 3.6 km 지점이다 .

동문 <좌익문> 행궁 좌측에 있어 좌익문이라 한다 .

동문은 들어오는 입구가 돌투성이다 . 계곡지점에 있어 계곡에 큰돌을 높이쌓고 그위에 도로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 

물자와 구루마 민간인 출입은 동암문 <시구문>를 이용하였을 것이다 . 


복원한 수구문 통이다 . 내 기억으로는 위치와 이모양하고는 다르다 . 

오래전에 내가본 수문은 높이가 2 m 이상이였고 쇠창살로 사람출입을 막았던 시설 얼개를 보았다 . 그때도 도로밑에 별개의 계곡수로가 있었다 .

해발 370 - 400 m정도의 산능선을 따라 축성된 남한산성은 지세가 서쪽이 높고 동쪽이 낮아 대부분의 물이 이 수문을 통해 밖으로 흘러나간다 .

산성내에는 80개의 우물과 45개의 연못이있을 정도로 수원이 풍부하였다니 원래 수문은 더 크거나 한개 이상으로 유수 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


동암문 . 폭 2.86 m / 높이 3.07 m / 길이 5.6 m . 암문중에서는 제일크다 .


동암문 . 밖으로 나가본다 .


신유박해(1801) 기해박해 (1839) 병인박해(1866) 박해시기에 남한산성에서 순교한 천주교인 300여명이 시구문을 통해 이 계곡에 버려졌습니다 .

이곳은 천주교 성지순례지 이기도 하다. 얼마전에 새로 보수하였다 .


형식적인 수구문 과 도로밑 계곡수 .


짖은 안개로 늦게 떠 오른 태양 . 볼수있어 다행이다 . 일출시간은 07.46분이다 .


첫해를 보며 , 10분후 제10암문 일출명소에서 태양을 당겨서 본다 . 



숨을 멈추어야 찍을수 있는 태양이다 . 요즈음 일출시간 07.46분이다 .


제 10암문 .


제10암문 밖으로 나가본다 .


제3남옹성 성치 . 치는 형식적이지만 여기서 제3남옹성 포대를 지휘하였을 것으로 본다 . 


제 3남 옹성 . 전면에 3기의 포대 / 좌우측면에 각 1기의 포대가 있다 .


제 9 암문 . 3남옹성 암문 .


암문 밖으로 나가본다 .


제 2 남옹성 옹치 . 남장대 .

남옹성 옹치에서 검단산 <신남성>을 본다 .


제2 남옹성  .

제2 남옹성은 남쪽의 완만한 지형을 보완하고 신남성으로 부터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하여 설치되었으며 , 

둘레가 318 m 이며 다른 옹성과는 달리 이중으로 되어있는것이 특색이다 . 옹성끝에는 포대가 있는데 , 포대로 들어가는 홍예문이 있으며 , 

포대는 동 , 서 , 남 3 방향으로 설치되여있다 . 

 


남장대에서 바라본 , 제1남옹성 좌측 옹성포대와 우측 옹성치가 보인다 .


남장대 터 .



제 8암문 . 제2남옹성 암문으로 남한산성에 설치된 옹성암문중 규모가 가장크다 . 

제 8암문 밖으로 나간다 . 제2암문 옹성치 .


제 8암문 . 밖에서 본다 .



검단산 통신부대로 통하는 포장도로 문 .


제 7암문 . 제1남옹성암문 . 

밖으로 나가서 본다 . 



나 셀프 사진 .


제1 남옹성 성치 .


성치에서 바라본 제1남옹성 .


남문 <지화문>


남한산성 . 사적 제 57호 .


제 6암문 . 서암문 .


장군대 . 성벽쪽으로 청량산 삼각점이있다 . 소삼각점은 수어장대 안 서쪽에 있다 .


수어장대 입구 .


서문 . 남한산성 옛길 종합안내 .


서문 .

마천역 1번출구(05.45분37") - 서문(06.45분01") = 2.72 km( 소요시간 0.59분) 3코스 .

서문(06.45분01") - 서문 원위치   ( 09.17분20") = 7.52 km(소요시간 2.32분) 좌행 .

서문 (09.17분20") - 마천역 2번출구(10.02분12") = 2.73 km(소요시간 0.45분) 3코스 .

                                                 계   = 12.97 km(소요시간 4.16분)베낭무게 8 kg .




서문 밖으로 나간다 . 오늘은 물도 받지 않는다 . 산행거리도 약 400여 m 늘어났다 .


서낭당 .


끝집 .


산불초소 .


만남의 장소 .


마천역 2번출구에서 산행 마무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