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19.04.27(토)북알 예행 10회(북한산 종주 마지막)산행 .

lsm37 산행인 2019. 4. 29. 14:10

누구와 = 나홀로 .

산행지 = 북알 예행 10회(북한산 종주 마지막)산행 .

산행코스 = 불광역 - 족두리봉 비봉능선 - 문수암봉 - 산성주능선 - 위문- 백운대 - 하루재 - 도선광장 - 우이분소 - 우이역 .

산행거리 = 14.19 km(평균 2.61 km) (최고 6.30 km)

산행시간 = 06.24분41" - 11.57분46" = 5.33분05"(기타시간 23분 포함)

날   씨 = 맑음 . 10 - 20도 . 미세먼지 좋음 . 바람없음 . 조망좋음 .

기   타 = * 디카번호 = 7943 - 8056 = 114장중 98장으로 구성 .

           * 클린산행 안함 / 가능하면 12시전 하산을 생각하며 ,

gps 통계 & 트렉 .

오늘이 북알예행산행 (남한성성종주 50회/북한산종주10회)종주산행은 마지막 날이다 .남어지는 오산종주만 남는다 . 

5월말까지 예정하였으나 당겨져 4월말로 종주산행을 마무리 한다 . 오산종주는 5월 초 마치기로 한다 .

남한산성종주 50회  총거리 628.06 km(평균거리 12.56 km) / 총시간 212시간 4분(기타시간 포함) / 평균시간 3.108 km .

북한산 종주  10회  총거리 138.38 km(평균거리 13.832 km)/ 총시간  54시간 52분(기타시간 포함) / 평균시간 2.588 km . 

      계      60회   합계  766.38 km                           합계  266시간 56분 (기타시간 포함)

* 북한산종주는 불광역9번출구 - 우이역 2번출구 구간 / 백우대는 첫회와 끝회 만 다녀오고 , 문수봉 암릉은 격일 , 2 회는 반대코스 산행 .

  남한산성 종주는 마천역 에서 서문에 올라 양방향으로 번갈아 산행 .

* 기간은 = 남한산성종주 11.23일-3.25일<약 4개월> / 북한산종주 3.27일 - 4.27일<약 1개월> 상세한 내용은 말미에 기록합니다 .


(포인트 1번) 불광역 9번출구 . 강동역에서 첫차로 출발할 경우 불광역에서 6.20분 - 6.30분 사이에 산행출발하게된다 .


(포인트 2번 / 출발 0.74 km지점) 둘레길 사거리 . 족두리봉 들머리 .


바위앞에 2개의 산소가 있는줄 알았다 . 바위의 모습이다 .


석두 .


(포인트 3번 / 출발 1.56 km 지점) 족두리봉 입구 .

 

지나처온 족두리봉 정상 암석등 조망 . 이 지점에서 7분간 지체한다 . 


(포인트 4번 / 출발 2.61 km 지점) 향로봉 산불초소 .


산불초소에서 암릉으로 올라가는 길을 올려다 본다 . 우회길로 오른다 .


이북5도청 바위 전망대 .

비가 온후 하늘은 맑고 미세먼지는 좋다 . 전망도 좋다 . 안산 , 인왕산 . 멀리 청계산 관악산조망 .

 

향로봉 위 삼거리 . 여기서 향로봉정상은 가깝고 다녀오기 쉬운위치에 있다 .


바위 전망대에 올라간다 . 오늘 마지막 종주하는날 좋은 날씨에 시간의 여유를 갖이고 조망을 즐겨보기로 한다 .


응봉능선 , 의상능선 , 뒤에 삼각산이 조망된다 .


살짝 당겨본다 .


삼각산만을 당겨서 본다 .


비봉 과 사모바위 뒤능선에 보현봉 , 문수봉조망 . 출발지점부터 문수봉까지 비봉능선을 따라간다 .


비봉 . 우측 구름위에 팔당 검단산이 조망된다 . 시선을 우측으로 돌려서 본다 .


롯데타워 뒤 에 남한산성이 보인다 . 청명한날은 남한산성에서 북한산이 잘 조망된다 . 


북악산 과 인왕산뒤에 남산타워 . 청계산 관악산 삼성산도 조망된다 . 사진 좌측에 보이는산이 남한산성 . 


북한산은 진달래꽃이 한창이다 . 50년전보다 북한산 진달래꽃 개체수는 늘어난듯 하다 .


포인트 5번 / 출발 3.87 km 지점) 사모바위 . 


승가봉에 올라간다 . 승가봉은 조망이 좋은 장소다 . 

의상능선 나월봉 경사면과 증취봉 사이로 삼각산을 조망한다 .


삼각산을 당겨서 본다 . 백운대 , 인수봉 , 만경대 , 노적봉 . 북한산의 대표적인 암석등이다 .


지나온 길을 뒤 돌아본다 . 사모바위 , 비봉 , 전망바위 , 향로봉 , 


안산 ,  인왕산 뒤에 관악산이 조망된다 . 


나한봉 , 715.5봉 , 문수봉 , 오늘은 보이는 비봉능선을 따라 암봉을 타고 문수봉으로 올라간다 .


석문봉 . 암릉미는 승가봉 보다 좋지만 조망은 승가봉이 압도적이다 . 


석문 사이로 나한봉을 본다 .


석문 지나며 바라보는 문수봉 . 이곳에서 햇빛의 지장을받지않고 잘 보인다 . 


(포인트 6번 / 출발 4.75 km 지점) 청수동 암문과 문수암봉 갈림삼거리 . 오늘은 암봉으로 간다 .


문수암봉 올라가는 시작지점 . 마침 앞서 올라가는 사람을 본다 .


문수암봉 안전지대에올라 의상능선을 조망한다 . 왼편 낮은쪽 봉우리가 의상봉이다 . 다음 용출 , 용혈 , 증취 , 나한봉 .


지나온 비봉능선을 조망한다 . 석문 , 승가봉 , 사모바위 , 비봉 , 바위전망대 , 향로봉 , 비봉왼쪽으로 족두리봉까지 조망된다 . 


마지막 단계 올라가면 문수봉 밑이다 .


다시 비봉능선 조망한다 .

석문봉 , 승가봉 왼쪽아래 둥근바위가 마애여래좌상(보물 제 215호) 아래에 청기와 승가사가 보인다 . 비봉 좌측에 족두리봉 암석등이 보인다 .


문수암봉에서 바라본 바위 조각품들  .



보현봉 .


문수봉 돌 조각품들 .


문수봉 . 

문수봉은 비봉능선 , 의상능선 , 북으로는 산성주능선 , 보현봉으로 사자능선 등으로 능선의 뫼역활을 한다 . 주변에서 제일높은 727 m봉이다 . 

 

(포인트 7번 / 출발 5.24 km 지점<청수동 암문도 포인트 7번사용>) 문수봉 표지목에서 문수봉을 배경으로 셀프 .


보현봉 .


지나온 능선길 조망 .


문수봉에서 조망 . 삼각산을 중심으로 좌 염초봉 우 용암봉 앞 노적봉이 호위하고있다 .


좀더 당겨서 본다 .


백운대 , 인수봉 , 만경대 . 노적봉 . 문수봉에서 백운대까지는 산성주능선으로 이어진다 . 

내가 보기에 삼각산조망이 제일 멋지게 보이는 곳은 나월봉 부근에 있다 .


(포인트 8번 / 출발 5.45 km 지점) 대남문 . 문루 및 여장 공사중 . 문루및 성곽은 완전 개보수한다 .


보국문 . 


현재 20도 . 이곳은 항상 온도가 높다 .



(포인트 9번 / 출발 7.09 km 지점) 대동문 .  현재 09.14분 / 출발 2.50분 경과 . 주력이 좋을때 였으면 이시각 백운대에서 지나온길을 조망중 .


대동문에서 물한잔 마시고 떠난다 .


동장대 .


북한산 대피소 헬기장 .


(포인트 10번 / 출발 8.54 km 지점) 용암문 .

용암문 지나서 노적봉 오르는길은 청수동 암문 오를때와 함께 애추지형으로 대단한 너덜길이다 . 노적봉 오르며 우측급경사길로 우회한다 . 


노적봉 동 서봉 . 동봉에 사람들이 올라와 있다 . 

대동문에서 앞길러 치고 나가는사람이있었다 . 노적봉을 우회하다보니 내가 앞서가고있었다 . 잠시후 따라오는 숨소리가 들린다 .


원효봉 과 염초봉 . 중간에 북문터가있고 계곡아래에 상운사가 보인다 . 상운사 아래에 대동사도 보인다 .


백운대 조망하기 좋은 장소 .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바라본다 . 어떻게 보아도 백운대 멋진 암릉이다 . 

사진을 찍는데 거친숨소리가나며 누군가 지나간다 . 노적봉에서 처진 젊은 분이다 . 숨소리가 크면 고생한다는 것이다 . 오버페이스는 금물이다 . 

위문 오르는 계단길 . 북한산성 계곡길에서 오르는길과 만난다 . 급한 계단길에서 서두르면 힘들어진다 . 오히려 약간 속도를 늦추면 수월하다 .


위문 (백운봉 암문) . 이 쯤에서 거친 숨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


(포인트 11번 / 출발 9.60 km 지점) 위문 산불초소 . 사방에서 올라오는 등산객이많이 뫃이는곳이다 . 아 오늘이 토요일이다 . 

백운대로 오르려는데 , 숨소리큰 분이 위문에 올라오시며 힘들게 쫒아왔다고 한다 . 가끔은 이런사람들도 있다 . 나하고는 무관한 일이다 .

북한산 종주가 쉬운 산은 아니다 . 서둘면 힘들고 힘들면 빨리 지친다 . 나이가 들며 배워야 할것은 천천히 힘들이지 않고 산행하는것이다 . 


백운대 올라가는중 .


사람들이 많다 . 금요일 날잡았는데 새벽에 일어나니 비가 와서 하루 늦춘 결과다 .

 

만경대 조망 .


만경대와 백운대 중앙에 노적봉을 놓고 맨뒤에 문수 보현봉이 조망된다 .문수봉에서 여기까지 오는데 1.38분이 소요된다 . 


백운대 올라가는중 ,


백운대 올라가는중 ,


백운대(836.5)정상 . 출발지점에서 9.86 km / 3.56분 소요 . 오늘은 컨디션이 좋은가 생각보다 빨리 온것같다 . 


하늘은 맑고 미세먼지도 좋다 . 하니 조망도 참 좋다 . 노적봉 뒤에 보현 문수봉이 보인다 .


만경대 조망 . 앞바위 좀전에 갈라진 바위위에 사람이 서있었는데 보이지 않는다 . 눈 깜짝할사이에 사라젔다 .


인수봉 조망한다 . 배경은 왕관바위 상장능선이 이어지고 오봉 뒤에 사패산도 조망된다 , 도봉산 주능선 그리고 도봉산 . 인수봉 우측 수락산 .


당겨서 본다 . 왕관바위는 상장능선으로 이어지고 , 사진왼쪽 독수리바위 뒤에 관음봉 뒤에 오봉 . 뒤에 사패산 정상 . 오른쪽에 도봉산 조망 .


오늘 정상사진 단독촬영은 어렵다 . 태국기만 나오면 좋다 .

 

한번더 .


백운대를 내려가며 , 한번 더 . 정상을 찾이하고 계속 사진을 찍는 분들도 많다 .


백운대 하산중 ,


백운대 하산중 .


백운대 하산중 .


만경대 , 노적봉 , 문수봉 .


공휴일날은 사람이 많아서 일장 일단이 있다 . 서울근교산행은 보통은 공휴일을피해서 산행을 한다 . 

 

위문에도 사람들로 북적인다 . 앵글을 하늘로 올린다 . 백운대 왕복 거리 0.51 km / 소요시간 26분 .


암벽 등반대 . 나하고는 종목이 다르다 . 

산행도 운동이다 . 선수도 있고 관객들도있다 . 여타운동과 다른점은 선수와 관객이 혼재한다는 것이다 . 

정해진 그라운드가 없고 선수 , 관객 , 신판 구분이 없이 원하는 포지션으로 참여하면된다 . 그 과정에 분명한 룰은 있다 . 

자연스럽게 그 룰을 지켜야 한다 . 관객은 환호하고 선수들은 땀을 흘리며 최선을 다하고 심판을 할때는 공정해야한다 . 나는 항상 관객이다 .


백운산장 . 누렁이 6 마리가 있다. 나눠먹기는 누렁이가 산행인들에게 실천력을 키워준다 . 

그 눈빛을 보면 적당한 간식은 나눔의 실천으로 공편하다 . 가축과 야생동물하고는 다르다 . 


물한잔 마시고 계란을 까는데 누렁이가 처다본다 .반씩 나누자는 것이다 . 나누는것이 자연스럽다 . 적게 먹으면 체할 염려가 없는 덕을 본다 .


인수봉 암벽타는 준비지점 . 화장실도 있다 . 내 눈엔 수십명이 암벽을 타는데 , 사진에서는 볼수가 없다 . 


그래서 다시 한번 크게 본다 . 잘 안 보인다 . 


인수암에서 바라본다 . 음 보인다 . 수 백명은 돼겠다 . 암벽등반도 오묘한 재미가 있겠지 ? 

일반산행에서는 무아의 경지에 가끔 들락이며 넉을 놓고 자연경관을 즐기는데 ,  암벽타면서는 위험해서 안되겠지 ? 그래서 나는 산행이 더 좋다 . 


(포인트 12 번 / 출발 11.15 km 지점) 하루재 . 현재 시간 11.10분 어쩌면 12시전 하산지점에 도착할수있겠다는 생각을 한다 .

 

나는 만나는 사람마다 먼저 인사를 한다 . 90% 이상은 내가먼저 한다 . 혼자 다니다 보니 반가워서 하는것이다 . 0.5 % 는 먼저 하는분도 있다 .  

0.5 %는 인사를 받지 않는분들도 있다 . 대부분 양쪽귀에 레시바를 끼고있다 . 인사가 음악감상과 명상을 방해할수도 있음이다 . 

각자의 모든 행동들은 다 자연스러움이다 . 인사를 하는것도 받는것도 안 받는것도 개의할 이유도 없다 . 하지만 반가운 인사는 산행의 어려움에 청량감을 준다 . 산행에 도움을 주는 행위들이다 . 


(포인트 13번 / 출발 11.52 km 지점) 능선갈림 . 능선으로 2공원지킴터로 가는길과 도선사광장에서 도로따라 하행하는 갈림길 .

시간을 보며  도선사 방향으로 간다 . 


백운대 가는길 입구 .


백운대 탐방지원센타 . 화장실방문 그리고 세수까지 하고나면 상쾌한 기분이 든다 . 


북한산의 지형자원 . 알고보면 관전에 도움이된다 .



족두리봉의 다양한 지형자원 .



애추지형 .


산지타포니 지형 .


토어지형 .


도선사 입구 . 쉬원한 느티나무 .


도선사 광장 부처님 .


붙임바위 .


제2공원지킴터 입구 . 백운교 . 선운교라고도 한다 .


(포인트 14번 / 출발 13.60 km 지점) 우이분소 . 봉황각입구 까지를 우이분소로 기록한다 .


(포인트 15번 / 출발 14.19 km 지점 / 하산지점) 북한산 우이전철역 2번출구 . 산행 마무리 . 북알 예행산행 마무리하여 기쁘다 .

                                                    l  s  m  3 7   산 행 인   이 상 목  항상 감사합니다 .

* 기록 (남한산성 종주 = 마천역-서문-성일주-서문-마천역) (북한산종주 = 불광역-비봉능선-주능선-백운대-우이역<백운대 2회>)  

1) 남한산성종주 50회 = 총 거리 628.06 km / 총 소요시간 212시간 4분 / 거리평균 12.56 km / 시간평균 3.108 km .

2) 북한산 종주  10회 = 총 거리 138.32 km / 총 소요시간  54시간52분 / 거리평군 13.832 km/ 시간평균 2.588 km .

         계    60회 = 합계거리 766.38 km .  합계 소요시간 266시간 56분 .

3) 오산종주 미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