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19.11.21(목)강송/강원태백,삼척/백병산(1,260.6)육백지맥 분기잠,덕거리봉 연계산행 .

lsm37 산행인 2019. 11. 23. 18:53

누구와 = 강송산악회 회원들과 .

산행지 = 백병산(1,260.6) , 육백지맥분기점 , 덕거리봉 연계 산행 .

산행코스 = 태백 통리재 - 낙동정맥 - 면안등재 - 고비덕재 - 뱍병산 - 큰재 - 육백지맥분기점 - 1065.9봉 - 황개재 - 덕거리 2봉 - 휴양림 삼거리 - 

            덕거리봉 - 토산령 삼거리 - 태백고원자연휴양림 - 대형주차장 .

산행거리 = 총거리 14.97 km(도상거리 14.36 km) (평균 3,22 km) (고도 1,281m . 677m) (오르내림 1,644 m - 1,674 m)

산행시간 = 10.40분18" - 15,07분36" = 4,27분18"(기타시간 00분 포함)

날   시 = 맑고 구름약간 / 영3도 - 영상10도 / 미세먼지 보통 / 바람없음 .

기   타 = 디카번호 = 4861 - 4961 = 101장중 61 장으로 구성  . 클린산행 안함 = 춥다는 예보로 클린을 안하며 후회한다 .


백병산 산행 구간도 .


태백 통리재(720) . 38번도 갈림심거리 . 427번 정선국도 . 우측으로 427번도를 따라가면 1 km 거리에 미인폭포가 있다 .


종주인원만 여기서 하차한다 . 산행시작 . 나도 gps 접속하고 뒤 따른다 .


사방공사지역 .


조림지를 지나  급경사 오름을타며 능선을 찾아간다 .


능선을 찾아 올라가며(790 m) 통리재를 뒤 돌아본다 . 


낙동정맥 능선접속 . gps 출발 1.23 km 지점(956 m) .     (통리재 1 km )     (백병산 3.6 km)

잠시후 총무님을 만난다 . 함께 가실꺼저 묻는다 . 그러마고 한것이 하산까지 함께하게된다 .


낙동정맥 이정표 . gps 출발 1.61 km 지점(968 m) .    (통리재 1.4 km)     (고비덕재 헬기장 2.3 km)

총무님은 산도 잘타고 사진도 찍고 수시로 gps를 들여다보며 길도 잘 찾아간다 . 

반면 , 나는 gps를 켜면 산행종료시까지 보지않는편이다 . 산행개념도(주로 5 만분지1)나침판 고도계만을 보는 편이다 . 그러며 가끔 알바도 한다 . 


낙동정맥길 이정표가 잘 되여있다 . gps 출발 1.89 km 지점(1,086 m) . 

총무님 시그널을 다는데 "청마산악회" 참여하는 산악회가 많은 모양이다 .


gps 출발 2.8 km지점 . 산죽밭이다 . 산죽은 여기뿐이아니라 오늘 산행로 주변에 잘 분포되여있다 . 


면안등재(1070 m) . gps 출발3.29 km 지점 . 


이정표 .     (통리재3.2 km)     (고비덕재 헬기장 0.4 km)


고비덕재 헬기장(1,103 m)


고비덕재 .


고비덕재 이정표 . gps 출발 3.95 km 지점(1103 m)    (통리재 3.6 km)     (백병산 삼거리<휴양림 삼거리> 0.54 km)     (백병산 0.9 km)     


백병산삼거리 산갈대집단 서식지 . 오름길이 계속된다 .


백병산 삼거리 너와 4각 정자 . gps 출발 4.53 km 지점(1,232 m) . 백병산에 다녀온 선두일행 두분을 만난다 . 정상은 0.4 km 거리 다녀와야 한다 .


백병산 삼거리 . 우리는 정상으로간다 .


백병산 (1,260.5 m)정상 . gps 출발 4.94 km 지점 .  총무님은 정상에서 여러장 사진을 찍는다 . 


정상에서 셀프 . 


백병산 안내 . 주변에서는 제일 높은 산이다 . 산꼭대기의 바위가 흰빛깔이라 백자를 달고 산꼭대기 바위절벽이 병풍처럼 생겼다고하여 병자를 붙여 백병산이라고 한다 

.

백병산정상 주변에 흰빛깔바위를 찾아보지만 보이지 않는다 . 정상에서 능선을 따라가면 병풍바위와 촛대바위 0.5 km . 통리재로도 가고 휴양림으로도 갈수있다 . 


불랙야크 어게인100 명산 인증을 해본다 . 아니면 말고다 . 또 요즘은 하지도 않는다 . 우리는 빽 한다 .


백병산 삼거리 원위치 .     (백병산 0.4 km)     (통리재<백병산 하산길> 4.2 km)     ( 면산방면 8.5 km)


백병산삼거리를 떠난다 . 


청마산악회 시그널 . 총무님이 항상 앞서간다 .


산죽밭에서 총무님과 함께 150여 m 알바도 한다 . 알바도 산행의 일부분이다 .


작은 봉우리 쉼터 . 통나무에 걸터앉아 쉴수있다 . 


큰재(1,087 m) . gps 출발 6.61 km 지점 . 

이곳은 인근 고비덕재와 더불어 옛날 대통리 주민들이 동해로 소금을 구하기 위해 넘나들던 길이며 무거운 소금가마니를 지고 다니느라 힘이들어 "큰재"라 하였다 . 

인근 골짜기중에 통리쪽으로 "소금골"이라는 골짜기가 존재하며 우리의 조상들이 귀중한 소금을 구하기 위하여 높고 험한 산길을 다니던 흔적들이다 . 


바위위에 뿌리내린 소나무 .



능선위(1,073.6 m) 쉼터 . 육백지맥 분기점 .


육백지맥 분기점 . 많은 시그널이 붙어있다 .


1,061 고지 . gps 출발 7.77 km 지점 . 


철탑고지(1,049 m) . gps 출발 7.91 km 지점 .


좌측급경사지 지난다 . 지형은 휴양림 삼거리까지 계속된다 .


1,100 고지 . gps 출발 8.89 km 지점 .


이정표 .      gps 출발 8.92 km 지점 .    (백병산 3.8 km)     (면산<두리봉> 5.9 km)


gps 출발 8.95 km 지점 . 앞에 보이는 소나무봉은 우회한다 .


쉼터 . (덕거리봉 15분 소요표시 ) gps 출발 9.13 km 지점 .


소나무봉 우회하는중 .


휴양림 삼거리(1,065 m) . gps 출발 9.70 km 지점 .     (면산 4.8 km)     (고비덕재 4.2 km)


휴양림 내려가는길 . 하산중 임도를 다라가면 통골재에서 내려오는 임도와 만난다 .


우측에 있는 봉우리 우회하며 지나간다 . 강송띠지가 보인다 .


1,082 고지 쉼터 .gps 출발 9.97 km 지점 . 


바위를 돌아서 로프잡고 통과한다 . gps 출발 10.43 km 지점 .



1,032 봉 gps 출발 10.81 km 지점 .


토산령(950 m) . gps 출발 11.33 km 지점 .    (백병산 6.2 km)      (면산<두리봉>3.5 km)

이곳은 신리재로 이어지는 도로가 나기전에 삼척시 풍곡리주민들이 태백시 철암으로 넘나들던 주요 산길이 였다 . 

지금은 사람들이 다니지 않는 작은 오솔길이 되었으나 옛날에는 큰길이였다 . 당시 이곳에 유난히 토끼가 많아서 "토산령"이라 불려왔다 . 


토산령에서 일행들 . 총무님과 는 계속 함께 산행을 한다 . 나는 면산에 가지않고 정해진 코스대로 토산령에서 하산한다 .


잠시후 임도를 만나 하산한다 . gps 출발 11.64 km 지점 .


임도 삼거리 . gps 출발 11.84 km 지점 . 휴양림삼거리에서 하산하는 임도와 만난다 . 


계곡에 얼음이 얼어있다 . 현재 영 3 도 .


사방공사가 잘 되여있다 . 


사방공사 .


임도삼거리 . gps 출발 12.79 km 지점 . 덕거리봉 가는길  .


계곡물이 넘처 우회한다 .


임도 통제 차단시설 . gps 출발 13.38 km 지점 .


태백고원자연 숙소 .



산림문화 휴양관 . 숲속의 집 3 단지 .


태백자연휴양림 버스 주차장 . 화장실도 있다 . 하산지점 산행종료 .

함께한 일행들과 하산주식 . 산행도 즐겁지만 하산주 시간은 더욱 행복한 시간이다 . 회장님과 집행부 모든분에게 감사합니다 . 총무님 수고 많았습니다 . 

                                                                        l  s  m  3 7  산 행 인   이 상 목  항상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