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와 = 한백팀 일행들과 . 홍대장님 , 임고문님 , 최고문님 , 홍고문님 , 황 후미대장님 , 나 6 명 .
산행지 = 광교산(582) , 백운산(567) , 모락산(385) 연계 산행 .
산행코스 = 신분당선 동천역 2 번출 - 만남의 교회 - 멧돌바위 - 철탑 - 광교산 - 억새삼거리 - 백운산 - 의왕시 수목장공원 - 모락산 - 보리밥집 .
산행거리 = 16.53 km . (평균 2.54 km) (최고 3.6 km) (고도 1,079 m . 1,046 m)
산행시간 = 09.57분28" - 16.36분39" = 6.39분(기타 00분 포함)
* 상기 기록은 황 후미대장님 헨드폰 기록이다 . 내 헨드폰 기록은 날아가고 없다 .
날 씨 = 맑음 . 5 - 1 2 도 . 미세먼지 보통 . 바람없음 . 산행하기 좋은날씨 .
기 타 = 헨드폰 사진 113 장중 71 장으로 구성 . 클린산행 / 대 1 봉 90 % 수거 / 하산지점 보리밥집에서 처리 .
실행 . 오늘 산행은 강동남 16 산 종주 산행로중 만남의 교회 - 광교산 - 백운산 이 접속되며 , 백운산에서 모락산으로 연계되는 산행이다 .
광교산 - 백운산 산행로 (동천역 - 백운산 정상 = 10.16 km + 백운산 - 모락산 - 보리밥집 6.37 km = 총계 16.53 km)
동천역 2 번출구 - 만남의 교회 - 1,행복언덕(수지성당 갈림) - 2 , 증손고개 - 3 ,성지바위 - 4 , 맷돌바위 - 5 , 소말구리 - 6 , 바람의 언덕 - 7 ,
하늘터 - 전망대 바위 - 시루봉 정상 - 노루목산장 - 백운산 정상 - 모락산 방향으로 ,
참고 구간별 등산로(붉은색으로 표시) 안내 .
1 코스 = 조광조묘(상현동) - 1.7 km - 매봉약수 - 0.5 km - 버둘치고개 - 1.8 km - 천년약수 - 1.3 km - 형제봉 정상 = 5.3 km .
2 코스 = LG 빌리지 1 차 - 2.2 km - 도마치고개 - 2.3 km - 형제봉 정상 = 4.5 km.
3 코스 = 형제봉 정상 - 1.2 km - 종루봉쉼터 - 1.1 km - 시루봉 = 2.3 km .
4 코스 = 수지성당 - 2.8 km - 맷돌바위 - 0.8 km - 소말구리 고개 - 2.2 km - 광교산 헬기장 - 0.4 km - 시루봉(광교산)정상 = 6.2 km .
5 코스 = 광교산 체육공원 - 1.7 km - 시루봉 = 1.7 km .
6 코스 = 광교산 기도원 - 1.7 km - 노루목 - 0.9 km - 시루봉정상 = 2.6 km .
7 코스 = 관음사 - 1.2 km - 바라산 - 2.2 km - 백운산 - 0.9 km - 노루목 - 0.9 km - 시루봉 정상 = 5.2 km .
8 코스 = 법륜사 - 2.2 km - 시루봉 정상 = 2.2 km .
9 코스 = 동문 아파트 - 4.5 km - 미륵사 = 4.5 km .
산 너울길 = 심골서원 - 0.8 km - 조광조 묘역 - 4 km - 천년약수터 - 2.6 km - 서봉사지 - 5.2 km - 손골성지 = 12.6 km .
모락산 안내도 . (백운산 - 모락산 - 보리밥집 = 6.37 km)
백운산 - 371 m - 모락 5 - 716 m - 모락 4 - 1,155 m - 모락 3 (백운동산 포장도) - 940 m - 모락 2 - 1,006 m - 모락 1 (경일암) - 170 m - 갈림길 - 291 m -
국기봉 빽 - 291 m - 원위치 - 207 m - 모락산성 - 145 m - 34번(갈미공원갈림) - 254 m - 33번 - 230 m - 32번 - 293 m - 31번 - 200 m - 계원예대 주차장 -
100 m - 보리밥집 .
신분당선 동천역 2 번출구 . 산행은 여기서 부터 시작된다 .
만남의 교회 . 광교산 들산로 입구 . 산행준비를 하고 본격적인 산행이 시작된다 . 클린산행도 여기서부터 시작한다 .
광교산 등산로 안내 .
힘들면 쉬어가고 간식도 먹으며 간다 .
맷돌바위 .
맷돌바위 쉼터 .
소말구리 고개 .
바람의 언덕 . 물마시고 잠시 쉬어간다 .
철탑 밑으로 통하는길 . 계단수리중 우회한다 .
하늘터 헬기장 .
시루봉 가기전 바위봉에 태크 전망대가 있다 . 지나온 능선길을 조망한다 . 뒤에 형제봉과 능선이 보인다 .
태크 전망대 . 보통은 바위봉을 건너뛰고 시루봉으로 직행한다 .
태크 전망대에서 시루봉 가기전에 암봉이있다 . 암봉으로 오른다 . 전망도 좋고 점심 시간이다 .
전망이 좋은곳에서 식사를 하면 소화도 잘되고 밥맛도 좋다 . 모두에게 동일 원칙이 적용된다 . 하여 여기서 식사하는사람들이 많다 .
우리도 그중 에 포함된다 .
식사장소에서 조망한다 . 시루봉 능선과 뒤 형제봉 능선 . 두개의 봉우리 형제봉 능선과 종루봉 . 수원에서 올라오는 능선 길 이다 .
식사장소에서 시루봉 조망 . 오른편 뒤에 백운산이 보인다 .
식사 바위를 지나며 뒤 돌아본다 . 식사장소는 물론 주변을 깨끗이 청소한다 . 내 기분도 좋다 .
광교산 정상 .
광교산(시루봉 582)정상 . 일행들은 보이지 않는다 .
노루목 산장 . 야간 산행중 이곳에서 사람을 만나면 반갑다 .
억새밭 갈림 삼거리 .
억새밭 면적이 넓어지는것 같다 . 부지런히 앞서간 일행들을 따라간다 . 잠시후 일행들과 조우한다 .
백운산 (567)정상 . 정상석을 나눠서 쓴다 .
백운산 전망대 .
높이는 567 m 로 백운저수지 뒤편에 솟아있다 . 바라산 (428) 광교산(582) 과 능선으로 연결되어있다 .
정상에서 조망 , 중앙에 의왕시청이 자리하고 , 그 우측에 오봉상 과 수리산이 도심속에 끼어있다 .
사진 오른편에 모락산이보이고 그 우측 안양시청 뒤 에 관악산이 조그마게 보인다 . 우리는 모락산으로 간다 .
정상에 일행들이 보인다 .
한남정맥 개요 . 한눈에 볼수있게 잘 정리 되여있다 .
우리나라 1 대간 1 정간 13 정맥 중 하나이다 . 한강을 축으로 하여 강줄기의 남쪽을 따라가는 산 줄기라 하여 한남정맥이라 불린다 .
13 정맥 중에서 고도가 가장낮은 산줄기를 형성하며 , 속리산에서 백두대간으로 부터 분기된 한남금북 정맥이 ,
안성 칠장산에서 금북정맥 과 한남정맥으로 나뉘어 김포 보구곶까지 178 km 에 걸쳐 한강 유역과 경기 서해안 지역을 나누고 있는 산 줄기이다 .
한남정맥을 이루는 중요 27 개 산은 금북정맥과 갈리는 안성 칠장산(492) , 도덕산(365.3) , 국사봉(450) , 담기봉(415) , 구봉산(463.9) , 운수봉(403.2) ,
함박산349.3) , 부아산(402.7) , 소실산(188) , 석성산(471.3) , 버들치고개 , 형제봉(448.1) , 광교산(582) , 백운산((567) , 오봉산(205.4) , 수리산(415) ,
수암산(398) , 운흥산(204.1) , 양지산(151) , 성주산(210) ,만수산(202) , 원적산(164.9) , 천마산(276) , 계양산(394.7) , 가현산(215) , 학운산(112.4) ,
수안산146.8) , 문수산(376.1)에 이르러 맥을 다 한다 ,
백운산에서 모락산으로 간다 . 우측은 바라산으로 가고 , 좌측 정맥길을따라 급한경사를 내려간다 . 잠시 내려가면 한남정맥길과 갈리는
백운 모락 5 지점에서 , 우측길 모락산으로 간다 . 멀리 모락산이 보여 길 찾아가는 것은 별 어려움이 없다 . 이후 완만한 숲길을 25 분정도 내려가면 ,
백운 모락 4 지점 . 오전저수지 갈림 / 의왕시 수목장공원 . (모락산 3.2 km) (백운산 1.3 km)
수목장 공원 . 앞서 가는 일행들 .
수목장 공원 . 맨뒤능선이 모락산이다 . 능선을 따라 연결이 되여있다 .
수목장공원 . 공동묘지의 형태로 일정 간격을 뛰고 나무를 심고 나무밑에 유골을 모신다 . 자연에서 와서 자연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
안부 .
송전탑 .
모락산 백운산 명품 등산안내도 . 백운 모락 3 지점 .
백운 모락 3 지점 백운동산 . 백운호수에서 경수대로로 통하는 길이다 . 포장도를 가로질러 간다 .
쉼터에서 잠시휴식중 ,
백운 모락 2 지점 . (백운동산0.52 km) (모락산정상 1.3 km) (임영대군 묘역 1.68 km) (모락산 둘레길10.60 km)
여기서부터 서서히 경사도가 높아진다 .
모락 백운 1 지점 경일암 .
15.12분01" 모락백운 1 지점 . (백운동산 1,946 m) (백운산 4.188 m)
모락산성 과 국기봉 중간지점 능선위 . 모락산 전투요도 .
모락산성 과 국기봉 중간지점 능선위 . (국기봉<정상> 291 m) (모락산성 207 m) (모락중교 1,732 m) (내손배수지 2,398 m)
능선위에서 정상 국기봉은 291 m 좌측으로 가고 , 산성터 중심부는 우측 207 m . 국기봉을 간다 .
국기봉으로 가는길 뒤 돌아본다 . 배경은 산성터 중심부가 보인다 .
국기봉으로 가는길 .
국기봉으로 가는길 .
국기봉으로 가는길 . 중앙에 백운산이 보이고 왼쪽 아파트 뒤에 바라산 . 백운산에서 백운 모락 5, 4, 3, 2, 1, 따라 능선이 조망된다 .
좀더 확대해 본다 . 백운산 제일 조망처 다 .
국기봉 올라가는 계단길 .
모락산정상(385) 국기봉 .
정상에서 셀프 .
정상에서 바라본 백운산 . 백운 모락 능선 . 까마귀가 축하 날개짓을 한다 . 반갑다 .
국기봉 정상은 바위봉이다 .
모락산성 중심부 . 국기봉에서 498 m 거리에 있다 .
모락산성 안내 . 경기도 지정 기념물 제 216 호 .
慕洛山城 은 해발 385 m 로 모락산 정상에 축조된 백제 한성기시대 석축산성이다 . 산 정상부를 감싸고 있는 데뫼식 산성으로 성벽의 전체 길이는 878 m 이다 .
모락산성은 도성인 풍납토성에서 서남부지방으로 통하는 교통로이며 ,
배후에서 적의 침투로 를 견제하는등 도성방어를 위한 경기 서남부 지역 주요 거검 성 이었다 .
34 지점(모락산성145 m) . 갈미문화공원 갈림 .
4 월의 진달래 꽃이 한창이다 . 아름드리 따다가 가는길에 뿌려줄 필요가없다 . 곧 시들기 때문이다 . 있는 그대로 눈이 찾아가면 봄내 계속 볼수있다 .
미운사람이나 고운사람이나 이렇게 모두가 바라볼수 있다 . 꽃은 낫을 가리지 않는다 . 나도 가릴 필요가 없다 .
자연에서 보는 도심은 매연을 품어내고 있었다 .그래서 내 산행기록엔 도심은 잘 나오지 않는다 .
바위틈새에서 잠시휴식중 .
바위 .
33 지점(모락산성 399 m지점) . 모락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 백운호수뒤 우담산 바라산 백운산 조망 .
모락산 전망대 . 임 고문님 .
모락산에서 바라본 전경은 백운산(567),바라산(428),국사봉(540),이수봉(545),망경대(618),매봉(369),으로 이어지는 의왕대간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
맑은 날에는 서울 강남,아차산,수락산,불암산를 볼 수 있다 . 오늘은 맑은 날이 아니다 .
모락산 전망대 .
불암산 , 아차 용마산 , 청계산 , 이수봉 , 국사봉 , 우담산 , 바라산 , 백운산 조망 .
32 지점(모락산성 629 m 지점) . 능선에서 좌측 으로 꺽이는 지점 .
클린산행 대 1 봉 90 % 수거 . 더 이상 담을수 없어 마무리 한다 . 이후 클린을 못해 아쉽다 .
계원예술대학교 앞 주차장 .
산행을 마무리 한다 . 수고 했습니다 .
내 헨드폰 gps 불통상태 . 내 기록이 없다 . 황 후미대장 기록으로 한다 . 손 딱고 세수하고 ,
벚나무 꽃길 . 포장도를 건너가면 보리밥집이다 . 일행들 모두 뫃였다 .
모락산 둘레길 종합안내판 . 산행인은 둘레길에 관심이 없다 .
옛 보리밥집 . 송골전통 집 . 홍대장님 단골집 .
오곡밥 과 보리밥 . 술은 막걸리로 통일한다 .
언제나 하산주는 산행의 꽃 이다 . 꽃 은 맑고 아름답고 깨끗해야 한다 . 이 맛에 산행은 즐겁고 행복한 길이다 . 산행을 지속하는 힘 이다 .
나의 꿈이기도 하다 . 나는 항상 꿈을 꾸며 산다 .
전철 타러가는길 . 모락산을 본다 .
전철타러 가는길 . 오늘 함께한 모든이에게 감사합니다 . l s m 3 7 산 행 인 이 상 목 항상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