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 번호 = 5,086(12월 10일 <금>)
누구와 = 나 홀로 산행.
산행지 = 서울 환종주 6차 산행 (안산 , 인왕산 , 탕춘대성)
코스 = 석수역-안양천-성수대교-불광천-안산-하늘다리-인왕산-탕춘대성-홍지문-상명대-탕춘대 암문-장미공원-불광역.
산행거리 = gps 총 거리 33.28 km (도상거리 32.75km) (평균 거리 3.62km) (최고 7.54km) (고도 335m. 19m)
(오르내림 1,817m - 1,805m)
산행시간 = 07.07분 24"- 16.49분 22" = 9.42분 22"(기타 시간 39분 31" 포함)
날 씨 = 흐리고 약한 비. 6도. 초미세먼지 좋음. 습도 67%. 바람 없음.
기 타 = 클린산행 안 함.
폰 사진 = 97장 중 80장.
석수역에서 출발 안양천 따라 강북으로 올라간다.
gps 통계 & 트랙(3장)
서울 환종주 5 차에서 끝나는 석수역 2번 출구에서 시작.
안양천 따라 강북으로 올라간다. 기아대교. 와 서해안 고속도로 아래 둑길로 진행.
시흥대교를 지나며 금천구청. 태극기는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국기입니다.
서울 둘레길 안양천 코스 안내도. 참고.
서울 둘레길 제6코스인 안양천 코스는 석수역에서 출발하여 안양천 따라 가양역에 도착하는 둑길 코스로 ,
물길을 따라 산책하며 수변 경치를 감상할 수 있는 코스입니다.
석수역 - 2.29 km - 시흥대교 - 1.67 km - 금천교 - 2.5 km - 광명대교 - 1.34 km -구일역 - 1.26 km - 오금교 - 1.19 km - 신정교 - 1.97 km - 목동교 - 1.13 km - 양평교 - 1.92 km - 안양천 합수부 - 2.73 km - 가양역 계 18 km.
서울 환종주 코스는 양평교에서 안양천 합수부 가기 전에 성산대교 남단으로 진행합니다.
시흥대교 지난 지점. 천변에 비친 건너편 풍경. 물은 맑고 물오리와 황새들이 날고 있습니다.
금천교를 바라보며 진행합니다.
좀 전에 바라보던 물오리 때. 물도 깨끗하고 먹이도 많아 좋아요. 물새들의 낙원입니다.
출발 5.03 km 지점. (서울 둘레길 <석수역> 5.02 km) (구일역 2.8 km) (공단 5 거리 1 km) 앞에 철산교가 보입니다.
잠시 후 철산교를 지나며 ,
둑은 공원처럼 잘 가꾸어져 있으며 각종의 체육시설물들과 파크 운동장들이 있어 시민들이 여가시간을 즐기고 있습니다. 아울러 공원화 공사는 계속 진행되고 있습니다.
나는 일본에서 잠시 체류할 기회가 있어 이근운화둑을 수백 km 를 탐방하며 잘 정돈된 뚝방 시설물들을 이용해보며 부러워한 적이 있었습니다. 지금은 우리나라가 더 잘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에서도 문화의 차이를 보이며 그들과 우리의 차이점을 이해하려고 합니다.
단적인 예로 화장실 = 우리는 편리주의고 그들은 실용주의입니다. 그들은 2 km 간격으로 , 대형 구장 주변에는 별도의 화장실이 있지만 , 우리는 약 500 m 이내 간격으로 대형구장 주변에는 중복되기도 하고 너무도 편리합니다.
08.37분 출발 6.37 km 지점 광명대교 통과.
08.47분 출발 7.18 km 지점 안양교 통과 .
08.53분 출발 7.70 km 지점 구일역 통과 .
고척 스카이돔 경기장.
출발 7.76 km 지점.
08.57분 8.12 km 지점. 고척교 통과.
구로 올레길 안내.
초겨울의 풍경. 늦가을의 풍경화.
아침부터 하늘은 잔뜩 흐려있습니다. 비가 올 듯 저기압이지만 비는 오지 않습니다.
갈 대 정호승 작.
언젠가 본 글이다. 다시 한번 새겨본다.
너무도 폭이 넓은 글이다.,
파크 골프장. 꼭 해보고픈 운동이다. 지금은 시간이 없지만 , 90대 이후라면 할 수 있겠다.
지도자가 레슨도 해주는 것을 보았다. 나 같은 노인에겐 좋은 운동이겠다.
안양천 둑길은 제 일위에 둑길. 다음 제방 중간 길 , 그 아래에 자전거길과 인도 길이 함께 조성되여있다.
다 그런 것은 아니고 그 길들은 형편에 따라 합쳐지기도 하고 갈라지기도 한다. 원하는 길을 따라가면 된다.
신정교. 출발 10.22 km 지점. (오금교 1.4 km ) (한강합수부 <수변생태 순환길>5.19 km) (대림역 3 km)
도림천이 합류하는지 점이다. 관악산 <서울대 방향>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이곳에서 안양천과 합류한다.
신정교. 안양천 체육공원 갈대밭.
09.40분. 출발 11.07 km 지점 오목교 통과.
목동 종합운동장. 이슬비가 내린다.
목동 종합운동장 출발 11.55 km 지점. 돔구장 야구장 , 주경기장 , 실내 아이스링크.
겨울나기 비둘기들의 향연.
즐거운 간식시간. 나도 먹어야 한다.
10시 아침 겸 간식. 오후 1시 점심 . 오후 4시 간식 . 물 0.5 리터. 김밥과 인절미 1팩. 각 3 시간 간격.
하산주는 별도다.
연시 한 개를 가지고 왔는데 깜박 잊어버리고 집에 가서 보니 비닐 속에서 뭉게 저버렸다. 숟갈로 떠먹기 좋다.
오래전 많이 보던 작업장이다.
양편 합쳐 약 50여 명의 여자분들이 날렵한 손놀림으로 일 하고 있다.
오래간만에 보는 기계가 아닌 사란의 손으로 하는 잔디 심고 가꾸기. 추억이 나래를 펴고 과거로 달린다.
약 50여 명 여성들이 일을 하며 십장은 한 남자이다.
오늘 보는 수십 장의 사진 중 내가 제일 좋아하는 장면이다. 지금 보아도 마음이 편안해지며 왠지 여유 있게 너그러워진다.. 명화의 한 장면 같다.
파크 골프장. 좀 전에 본 것보다 규모가 크다.
배낭을 진 어깨가 들썩거린다. 90대에 즐겨 보리라. 빨리 왔으면 좋겠다. 멋진 샷을 날리는 나를 생각해본다.
성산대교 남단. 비는 멈춘다.
서울 둘레길이 가양대교로 연결되여있어 , 성산대교 건너는 길 안내가 없다.
당연히 있을 것으로 알고 안내판을 보며 가다 보니 가양대교 방향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알바를 한다 .
* 10.28분부터 10.53분까지 = 25분 / 거리는 왕복 1.27 km = 이 정보는 전 구간 토털에서 제외할 것이다.
모든 알바정보도 마찬가지다.
성산대교를 지마며 ,
둑길에서 성산대교 진입은 신호등 없는 건널목을 3개 지나가야 한다. 출퇴근 시간이 아니면 무난하다.
가양대교.
성산대교 지나며 ,
성산대교 북단. 한강공원으로 내려가는 연결 계단길이 있다.
홍제천 갈림. 출발 17 km 지점. 직진하면 난지도. 홍제천은 우회.
홍제천 따라 올라간다.
홍제천을 따라 계속 진행한다.
출발 21.76 km 지점. 서대문구청 0.25 km 지점 . (홍지문 까지 4.25 km. 힌깅까지 4.25 km ) 중간지점이다.
홍제천 인공폭포. 물레방아 집. 오기 직전 서대문구청 앞으로 갈 수도 있다. 몰래 방아길로 올라간다.
12.28분 안산 관리사무소.
갈림길. 출발 23.49 km 지점. (봉수대 1.1 km) (연흥약수터 350 m)
안산을 돌아서 올라가는 것 같다.
안산(295.9) 봉수대. 출발 24.02 km 지점.
봉수대에서 조망. 하늘다리건너 , 인왕상 조망 .
서대문 형무소 조망 .
인왕산 뒤에 북악산 , 완편 구름 속에 북한산.
1시 간식시간.
인왕산을 조망하며 , 우측 독립문역(현저동) , 좌측 무악재역(홍제동).
안산에서 바라본 서울.
인왕산으로 가는 길. (무악재 하늘다리 130 m) (무악재역 930 m) (안산 자락길 150 m)
하늘다리 조망.
하늘다리. 동물이동통로 겸 인도. 좀 전에 지나온 안산 배경.
인왕산 등산로 안내.
안산.
인왕상.
선바위 조망처. 이곳에서 내려다보면 선바위와 국사당이 잘 조망된다.
선바위 조망처에서 본 얼굴바위(좌) 모자바위(우). 얼굴바위 밑을 돌아서 올라갑니다.
얼굴바위 밑. 토속신앙 집단 지역.
범바위.
범바위에서 바라본 인왕산 정상.
인왕산으로 올라가며 뒤돌아본 지나 온길.
인왕상(339.8)정상. 출발 26.45 km 지점 .
인왕산 정상 . 북한산이 잘 조망되지만 운무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탕춘대성 갈림. (기차바위 260 m) (무악재 하늘다리 1.6 km ) (홍지문 1.9 km)
기차바위 갈림 . 북악산으로 연결되는 한양도성은 , 여기서 탕춘대성으로 북한산성 향로봉까지 연결이 된다.
* 2015년 종주 때는 여기서 도성길을 따라 북악산 , 팔각정 , 북한산 정릉 탐방소로 갔으나 ,
이번에는 이곳에서 탕춘대 능선을 따라 홍지문 - 탕춘대능선 암문 - 장미공원 - 불광동역으로 진행하며 ,
7 차는 불광동역 9번 출구에서 족두리봉 - 오산종주길을 따라 다음에 예시 한대로 진행하여 바로 잡습니다.
* 서울 환종주 27개 산 / 217.3 km 종주산행은 2015년 1.3(화)~2016년 12.03(토)에 완주하였으며 ,
이번 종주는 2021년 0909(목)= 하남 검단산역(바깥 창 마을) - 마천역 = 1차 완주.
2021년 09.20(월)= 마천역(서문) - 오리역 = 2차 완주.
2021년 10.02(토)= 오리역 - 옛골 = 3차 완주.
2021년 10.16(토)= 옛골 - 남태령역 = 4차 완주.
2021년 10.23(금)= 남태령역 - 석수역 = 5차 완주.
2021년 12.10(금)= 석수역 - 불광역 = 6차 완주.
0000년 00.00(0 ) = 불광역 - 회룡역 = 7차 예정.
0000년 00.00(0 ) = 회룡역 - 갈매역 = 8차 예정.
0000년 00.00(0 ) = 갈매역 - 광진교 = 9차 예정.
0000년 00.00(0 ) = 광진교 - 하남 검단산역(바깥 창 마을)= 마지막 10차 예정.
* 완주가 끝나면 각구 간 gps 거리/ 시간 등(알바 거리 및 시간 제외) 통합된 상세정보를 공지할 것임.
* 전번에 완주한 코스 연결 중 석수역 - 성능 탐방소 구간을 ,
이번에는 석수역 - 불광역으로 연결하여 코스 변경으로 바로 잡았습니다.
기차바위.
기차바위 .
군부대 갈림봉. (홍지문 1 km)
홍지문으로 가는 길. 옛 탕춘대성 돌 여장부.
홍지문으로 가는 길. 옛 탕춘대성 돌 여장부.
홍지문 남 북으로 새로 복원한 성돌 여장부.
포장도 건널목을 지나며 홍지문을 본다.
상명대 정문으로 들어가 ,
상명대 후문까지 올라가면 능선부. 홍지문에서 연결된 성을 따라 북한산 방향으로 진행.
이 성돌은 조선시대의 성돌 형태. 남아있던 것을 쌓은 듯.
일부 구간 출입금지. 하지만 달리 돌아갈 길이 없어 조심스럽게 통과한다.
탕춘대 암문.
출발 29.9 km 지점. (상명대학 0.8 km) (이북 5 도청 입구 0.8 km) ( 장미공원 1.9 km. 북한산 생태공원 2.1 km)
탕춘대 암문.
탕춘대성 암문의 유래.
4시 마지막 간식시간. 운치 있는 장소에서는 음식 맛도 좋다.
잔뜩 흐린 하늘에서 30초간 태양이 반짝인다.
장미공원.
장미공원 이정표.
온전한 태양 처음 본다.
불광역 2번 출구에서 산행 마무리.
2021.12월 매일 산행 7회째(클린 0회) 거리= 48.64 km+일반 산행 1회째(클린 0회) 거리= 33.28km 계 81.92km.
l s m 3 7 자연 인 이 상 목 항상 감사합니다.
------------------------------------------------------------------------------------------------------------------------
11월 말 현재 총산행일 = 5,078회(클린 1,130회) + 12월 진행 중 8회(클린 0) = 합계 5,086회(클린 1,130회)
총 산행거리 = 11월 말 42,553.19 km + 12월 진행 중 81.92 km = 합계 42,635.11 km.
------------------------------------------------------------------------------------------------------------------------
* 2차 산행 목표는 2026년 90대에 서울 오산종주 완주하는 것이다. 종주 시간은 22, 24시간 중에 선택한다.
불가능에 가깝지만 , 지금부터 5년간 체력을 보완해야 한다. 최선을 다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