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2.01.08(토)백두대간51구간/구룡령,약수산,응복산 산행 .

lsm37 산행인 2022. 1. 10. 15:19

산행 번호 = 5,108(01월 08일 <토>)

누구와 = 블랙야크 양재점(유영열 셀퍼) 일행들과.

산행지 = 백두대간 51구간/구룡령,약수산,응복산 산행

코스 = 구룡령-약수산-아미봉(1,282)-1,261봉-마늘봉(1,126.5)-1,281봉-명개리갈림-응복산(1,359.6)-빽-명계리갈림-

          임도 갈림-4 숲 체험장-통마람교-명개리 마을회관.

산행거리 = gps 총 거리 15.31km (도상거리 14.58km) (평균 거리 2.54km) (최고 5.04km) (고도 1,360m. 630m)

                                           (오르내림 1,521m - 1,898m)

산행시간 = 10.16분 25" - 16.41분 43" = 6.25분 09"(기타 시간 40분 44" 포함)                             

날   씨 = 오전 맑음, 오후 흐림. - 8도. 초미세먼지 보통. 습도 50~80%. 응복산 정상부 찬바람.

기   타 = 클린산행 안 함.    

폰 사진 =  47장 중 38장으로 구성. 

gps 통계 & 트랙.

오늘 산행 계획 중 변경된 부분이 있다. 응복산에서 만월봉을 찍고 명개리로 하산하는 약 17 km의 산행일정이었으나 , 

응복산 정상에서 만월봉 방향으로 눈이 많고 길이 뚫려있지 않아 선두 대장의 판단으로 응복산에서 빽 하며 ,

산행시간과 거리가 짧아져 다행스럽고 선두 대장이 잘 판단하였습니다. 

산행 계념도 .

산행 구간거리및 시간표 .

구룡령. 

 

구룡령 생태터널에서 백두대간 남진 방향으로 진행한다. 

 

약수산으로 올라가는 가파른 오름길.

 

능선 위 이정표. 1,200 고지 눈길이 시작된다. 기온도 약 -10도 약하지만 바람도 분다.

 

출발 1.37 km 지점. 약수산(1,306) 정상.

 

정상에서 셀프.

 

선두대장팀은 먼저 출발하였고 중간 일행들이 도착한다. 조망은 별로여서 곧 출발한다.

 

홍순진 님. 내가 걱정이 되어 동행하며 이것저것 챙겨주며 둘은 원팀이 되었다. 감사합니다.

 

아직은 스틱 , 스페츠 , 아이젠도 착용하지 않았다. 결과는 준비가 부족하였다는 것이다.

 

1,206봉 이정표.      (구룡령 1.88 km. 약수산 0.5 km)     (응복산 4.83 km)

 

안부(1,134)     (구룡령 2.8 km)     (응복산 4.33 km)     (진고개 19.62 km)

 

안부(1,134)     (구룡령 2.8 km)     (응복산 4.33 km)     (진고개 19.62 km)

 

안부를 떠나며 ,

 

출발 2.85 km 지점. 안부 1,224봉 .     (구룡령 2.16 km)     (응복산 3.85 km) 

 

출발 3.26 km 지점 . 

아미봉(1,282봉) 능선 갈림 삼거리. 북쪽 암산으로 빠지는 갈림길.     (구룡령 3.32 km)     (응복산 3.39 km)

아미봉을 내려가며 중간에 아이젠과 완스 틱을 사용한다. 작년 말부터 스틱을 자제하며 무릎 근육 훈련을 하는 중이다.

 

출발 3.88 km 지점.  삼각점 1,261봉 .     (구룡령 3.98 km . 약수산 2.6 km)     (응복산 2.73 km . 진고개 18.02km)

 

출발 4.32 km 지점. 1,088봉 이정표 .     (구룡령 4.42 km)     (응복산 2.29 km)

 

출발 4.70 km 지점. 삼각점 마늘봉(1,126)     (구룡령 4.78 km . 약수산 3.4 km)     (응복산 1.93 km)

 

마늘봉 아래 80 m 지점 . 아늑한 지점에서 중식. 12.59분~13.30분 = 31분.

홍순진 님이 간편식 한팩을 차려줘서 맛있는 비빔밥을 뜨끈하게 먹는다. 나는 처음 먹어보는 간편식이다. 매번 감사하다 

 

출발 5.96 km 지점.  삼각점 1,281봉 이정표.      (구룡령 6.02 km)     (응복산 0.69 km)

눈 쌓인 고갯길 오르며 힘들어한다. 전엔 전혀 느껴보지 못한 산행이다. 원인을 좀 더 파악해보자.

 

출발 6.36 km 지점. 1,288봉 명개리 갈림 (약수산 5.04 km. 구룡령 6.42 km) (응복산 0.29 km . 진고개 15.58 km)

이 지점에서 선두 대장이 응복산에서 만월봉으로 진행하지 않고 백 하며 여기서 하산하였다고 한다.

 

명개리 1.3 km는 약수동 임도까지의 거리다.      (응복산 0.29 km)     (약수산 5.04 km. 구룡령 6.42 km)

 

출발 6.62 km 지점. 응복산(1,359.6) 정상. 다수의 인원이 인증을 한다. 나는 인증을 할 필요도 없다.

 

 

 

출발 6.70 km 지점에 있는  아픔이 있는 나무.

 

명개리 하산 지점 삼거리 원위치. 그동안 아이젠 착용하지 않은 사람들 착용 중이다.

홍순진 님은 내가 내려오기를 기다려 함께 하산한다. 

 

임도 갈림길. 이후 산행로는 임도길 따라 하산한다.

 

숲 체험장. 이곳에 텐트를 치고 열목어 관찰을 하는 체험장이다.

 

열목어 다섯개 조망지점이 표시되여있다. 

 

통 마람(642) 교.

 

명개리 마을회관. 열목어 마을. 체험학습장도 있다. 산행 마친다.

 

홍순진 님 막걸리와 안주를 준비해왔다. 지진 두부를  배추김치에 싸서 먹는 막걸리 안주 최고다.

종씨는 귀 한과 일을 듬북 쌓았다. 덕분에 호강한다. 감사합니다. 다음엔 나도 막걸리는 준비를 해야겠다. 

 

2022.01월 매일 산행 5회째(클린 0회) 거리= 36.51km+일반 산행 2회째(클린 0회) 거리= 28.49km 계 65.00km.

                                  l  s  m  3 7    자연 인    이 상 목    항상 감사합니다.

------------------------------------------------------------------------------------------------------------------------

2021.12월 말 현재 총산행일 = 5,102회(클린 1,130회) + 01월 진행 중 7회 = 합계 5,109회(클린 1,130회)

              총 산행거리 = 12월 말 42,757.67 km + 01월 진행 중 65.00 km = 합계 42,822.67 km. 

-------------------------------------------------------------------------------------------------------------------------

* 2차 산행 목표는 2026년 90대에 서울 오산종주 완주하는 것이다.

  불가능에 가깝지만 , 지금부터 5년간 체력을 보완해야 한다. 최선을 다할 것이다. 꿈은 실현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