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 오리역 4번 출구-만남의 교회-증손 고개-바람의 언덕-헬기 장승봉-광교산-백운산-고분재-바라산-우담산-하오고개-
국사봉-이수봉-망경대-혈읍재-청계산 매봉-헬기장 갈림-누비길 6구간-옛골 인능산 입구.
오늘 환종주 등록산. 광교산 , 백운산 , 바라산 , 청계산 4개 산.
산행 번호 = 5,290(2022년 09월 22 <목>)
누구와 = 나 홀로.
산행지 = 서울 환종주 3구간(오리역~옛길, 인능산 들머리)
산행거리 = gps 총 거리 27.04km (도상거리 26.14km) (평균 거리 2.98km) (최고 9.47km)
(고도 580m. 37m) (오르내림 2,611m - 2,583m)
산행시간 = 06.38분 24"- 16.16분 18" = 9.37분 54"(기타 시간 51분 28" 포함)
날 씨 = 맑고 구름 약간 , 14~24도. 초미세먼지 좋음. 습도 63%. (시원한 바람 1.17)
기 타 = 노스틱 산행 / 클린산행 안 함.
폰 사진 = 67 장 중 57 장으로 구성.
gps 통계 & 트랙.
오리역 4번 출구(공사 중) 앞. 노스틱(2024.6월까지) 산행. 서울 환종주 산행 시는 클린산행하지 않는다. 힘들기 때문이다.
신분당선 (경부고속도 밑) 연결통로. 대왕판교로 건너 직진. 손곡초등학교 지나며 축산농협 좌회전.
만남의 교회. 출발 2.32 km지점. 광교산 등산로 들머리 .
출발 3.89 km 지점. 체육공원 .
출발 4.51 km 지점. 증손고개 .
출발 5.12 km 지점 . 성지 바위 쉼터.
성지 바위 고개.
출발 6.17 km 지점. 4-10 동천 터널 위.
4-14 신봉동 갈림.
출발 7.63 km 지점. 바람의 언덕 (고도 356 m) 쉼터.
철탑 밑 계단.
출발 8.51 km 지점. 헬기장 장승봉(527 m).
4-18지점. 능선위 수리봉(559 m)갈림 .
출발 8.89 km 지점 . 광교산(582) 정상.
정상에서 폼 잡고 셀프.
정상에서 바라본 백운산에서 이어지는 바라산 능선길 멀리 망경대. 사진 가운데 능선은 대모 구룡산 능선.
노루목 대피소 통과. 야간산행 시엔 잠시 쉬어 가는 곳.
출발 10 km 지점. 억새 삼거리. 근래에 억새가 자리 잡고 서식지를 넓혀가고 있다.
통신대.
백운산 정상. 한남정맥 자세한 설명.
한남정맥은 백두산을 시조 산으로 한 우리나라의 1 대간 , 1 정간 , 13 정맥 중 하나이다.
한강을 축으로 하여 강줄기의 남쪽을 따라가는 산줄기라 하여 "한남정맥"이라고 불린다.
한반도에 걸쳐있는 13 정맥 중에서 가장 낮은 산줄기를 형성하며 S 자형 녹지축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
속리산에서 백두대간으로부터 분기된 "한남정맥"이 안성 칠장사에서 한남정맥과 "금북정맥"으로 나뉘어 ,
김포 보구곶까지 178 km에 걸쳐 한강유역과 경기 서해안 지역을 나누고 있는 산줄기이다.
-----------------------------------------------------------------------------------------------------------------------------------------
주요산 안내 = 문수산(376.1) , 수안산(146.8). 학운산(112.4) , 가현산(215) , 계양산(394.7) , 천마산(276) , 원적산(164.9) , 만수산(202) , 거마산(210) , 소래산(299.4) , 성주산(210) , 양지산(151) , 운흥산(204.1) , 수암봉(398) , 수리산(415) , 오봉산(204.2) , 백운산(562.5) , 광교산(582) , 형제봉(448.1) , 버들치 고개 , 소실봉(188) , 석성산(471.3) , 부아산(402.7) , 함박산(349.3) , 문수봉(403.2) , 구봉산(462.9) , 달기봉(415) , 국사봉(450) , 도덕산(365.3) , 칠장산(492) 비교적 낮은 산들이다..
출발 10.93 km 지점. 백운산(567) 정상.
백운산 전망대에서 조망.
백운산 정상에서 아침 겸 간식시간 16분. 빵 1개 / 물 0.25리터 / 사과 4분의 1쪽. 출발 매 3시간 간격. 중식은 12.30분 예정.
출발 12.54 km 지점. 고분재. 바라산 778 m . 백운산 1,014 m .
고분재 . 백운호수 갈림길. 바라산 778 m. 백운산 1,014 m .
바라산 턱밑 소나무 전망대에서 백운호수 조망.
백운호수 당겨서 본다.
출발 13.24 km 지점. 바라산(427.5) 정상에서 우측 이수봉과 좌측 망경대(석기봉)조망. 앞능선이 우담산(발화산)
바라산 정상에서 백운호수 조망 .
바라산 정상에서 관악산 조망.
356 희망 계단.
이 계단 끝 지점에서 5m 전진한 지점이 , 나의 산행 "걸어서 지구 한 바퀴" 40,120 km 목표 완주지점이다 ( 2021.10.23일)
이곳을 지날 때마다 생각이 난다.
붓골재(바라고 개)
출발 15 km 지점. 우담산(발화산) 정상. 우담산을 발화산이라고도 한다.
잠시 쉬어간다.
영신봉(362) 의왕대간 22번 지점. (우담산(발화산) 1,228 m) (하오고개(청계산) 1,919 m. 국사봉 2.629 m)
(하우현 성당 1,670 m . 안양 판교로 1,410 m)
영신봉은 kbs 운중 중계탑 가기 직전에 있는데 중계탑 봉우리에서 이곳으로 내려와 있는 것 같다.
하오고개. 성남시 운중동에서 의왕시 청계동으로 넘어가는 고개로 ,
의왕시에서는 학고개 또는 학현이라 부르고 , 운중동에서는 하오개 하오고개 화의 고개 등으로 불린다.
하오고개 고가도로. 서울 외곽 순환 고속도로로 끊어진 능선을 이어주는 산행로이다.
고가 도로가 없었을 때는 고속도로를 무단으로 건너다니 추억이 있다.
다리 현수 탑 끝에 봉우리가 국사봉이다. 다음 올라갈 산이다.
출발 17.14 km 지점.
다리를 지나 뒤 돌아본다. 식사시간이 돼가는데 좀 더 올라가기로 한다.
여기서 국사봉 올라가는 길 힘든 길로 삼거리까지 가서 먹기로 한다.
하우현 성당 갈림 삼거리. (하오고개 825 m) (하우현 성당 2,190 m) (국사봉 739 m. 이수봉 2,239 m)
하오고개에 고가도로가 건설되기 전에는 고가도로를 무단횡단하던지 아니면 여기서 하우현성당을 지나 고속도로 밑 토끼굴을 지나 약 1.5 km를 돌아가야 했기 때문에 무단횡단을 하게 된 것이다. 지금은 지난 추억으로 남는다.
좀 늦은 점심시간이다. 16분간 / 빵 1개 / 물 0.25 리터 / 사과 4분 1쪽.
출발 18.81 km 지점. 국사봉(540) 정상.
관악산을 배경으로 셀프.
출발 20.21 km 지점. 이수봉 (545) 정상.
헬기장. 성남 누비길 6구간 청계산길 안내.
성남 누비길 5 구간은 태봉산길로 운중동-kbs 운중 중계탑-하오고개에서 끝나며 ,
6구간(청계산길)은 하오고개에서 옛골 날머리까지 서울 환종주 길과 함께 간다.
망경대 616.3 m(석기봉). 정상부근인 석기봉까지는 암릉길로 올라갈 수 있다. 길이 험하여 보통은 우회길로 돌아간다.
오늘도 우회한다. 험해도 거리가 짧아 급할 때는 암릉길을 갈 때도 있다.
넓은 공터에 대기환경 측정소가 들어왔다.
청계산 전망대. 바라보이는 것은 이수봉 분이다. 그래도 좌측 성남방향은 확트여있다. 볼 것은 없어도 ,
혈읍재. 여기서 옛골로 빠지는 가까운 길이 있다. 하지만 서울 환종주로는 아니다. 청계산(매봉)을 거쳐야 한다.
청계산 매봉 (582.5). 원 청계산에는 군부대와 송신탑이 있어 ,
이곳을 전에는 청계산 정상이라고 하였지만 지금은 청계산 매봉이라고 바르게 부른다..
돌문 바위. 한 바퀴 돌아 나오지만 오늘은 그냥 통과한다.
헬기장 쉼터 갈림길. 우측으로 하행한다. 성남 누비길도 함께 간다.
청계산 옛골마을. 한국동란 이후 미군 미사일 부대가 오랫동안 기지로 사용하였으나 지금은 모두 철수하였다.
옛골 새동네(인능산 들머리)에서 마무리. 4구간은 여기서 출발한다.
총 거리 27.04 km / 도상거리 26.14 km. 소요시간 9.37분 54"(기타 시간 51분 28" 포함)
다음 4구간은 옛골 인능산 입구-인능산-범바위산-세곡동-대모산-구룡산-시민의 숲-와우산-남태령역.
2022.09월 매일 산행 11회째(클린 10회) 거리= 81.1km+일반 산행 4회째(클린 2회) 거리= 92.68km 계 173.78km.
l s m 3 7 자연 인 이 상 목 항상 감사합니다.
------------------------------------------------------------------------------------------------------------------------
2022년 08월 말 현재 총산행일 = 5,275회(클린 1,218회) + 09월 진행 중 15회 = 합계 5.290회(클린 1,230회)
총 산행거리 = 8월 말 44,182.76 km + 09월 진행 중 173.78 km = 합계 44,356.54 km.
-------------------------------------------------------------------------------------------------------------------------
* 2차 산행 목표는 2026년 90대에 서울 오산종주(24시간) 완주하는 것이다.
불가능에 가깝지만 , 지금부터 4년간 체력을 보완해야 한다. 최선을 다할 것이다. 꿈은 실현된다.
------------------------------------------------------------------------------------------------------------------
* 서울 환종주 27개 산 (217.78 km) 종주 토털(들날머리를 제외한 실 구간 거리)(대개는 전철역에서 연계됨)
1구간 = 하남 창 마을~남한산성 서문 = 산행 번호 5,276회 (2022.09.01) 총 거리 18.67km (도상거리 17.69 km) /
소요시간 7.31분(기타 시간 17분 포함)
2구간 = 남한산성 서문~오리역 3천 불 = 산행 번호 5,281회 (2022.09.09) 총 거리 28.59 km(도상거리 27.44 km)/
소요시간 9.23분(기타 시간 45분 포함)
3구간 = 오리역 4번~옛골 인능산 들어 = 산행 번호 5,290회 (2022.09.22) 총 거리 27.04 km(도상거리 26.14 km)/
소요시간 9.37분(기타 시간 51분 포함)
현 3회 계 총 거리 = 74.3 km(도상거리 71.27 km) / 총시간 = 26.31분(기타 시간 1.53분 포함).
* 서울 환종주 전도 및 구간 지도는 정리되는 대로 매회 상부에 첨부. 토탈은 후미에 첨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