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 = 불광역 9번 출구-족두리봉-비봉능선-문수봉-산성 주능선-백운대-백운산장-하루재-
제2공원 능선-우이 역.
산행 번호 = 5,322(2022년 11월 10일 <목>)
누구와 = 나 홀로.
산행지 = 북한산 백운대.
산행거리 = gps 총 거리 15.45km (도상거리 14.73km) (평균 거리 2.09km) (최고 5.18km)
(고도 829m.7m) (오르내림 1,749m - 1,678m)
산행시간 = 06.36분 19"- 14.25분 38" = 7.49분 19"(기타 시간 46분 10" 포함)
날 씨 = 맑음 , 7도. 초미세먼지 나쁨. 습도 81%. (바람 0.22)
기 타 = 클린산행 안 함.
폰 사진 = 80중 75장으로 구성.
* 서울 환종주 7 구간은 줄 광역~회룡역이지만 , 북한산 - 우이 역에서(7-1구간) 마무리하였다. 우이 역-회룡역(도봉산, 사패산)(7-2구간)은 포기하였다. 이유는 복합적 요인으로 1, 힘이 들고 2, 예상보다 시간이 더 소요(약 1.20분)되며 배터리부족(야간산행시 밧데리 소모가 많음) 3, 중간 탈출 시 기록이 애매하여 불광동부터 다시 시작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불광역 9번 출구. 6구간은 불광역 2번 출구에서 마무리하였다.
대호 아파트 위 산행 들머리. 둘레길과 만나는 사거리. 본격적인 산행이 시작된다.
음 18야 달은 서녘에 지며 동녘엔 해가 떴다.
석두. 돌머리는 돌을 먹고산다. 석두라는 이름은 오래전 내가 붙였다. 석두 뒤로 아침해가 떠 오르는 중이다.
쪽두리봉 입구. 첫 봉이지만 스치고 지나간다. 만추의 늦가을 풍광에 눈이 호강한다.
족두리봉 위험구간 안내.
이 암릉구간은 10여 년 전 산행 초기에 시도하다가 포기하고 우회하기 시작하며 현재도 계속 우회한다.
쪽두리봉을 지나 서 뒤 돌아본다.
올라가 보지 않아 미안한 마음에 뒤 돌아봐주는 것이다.
다음 향로봉. 누어서 하늘 쳐다보는 사람 얼굴 같다.
향로봉 산악구조대 초소. 전에는 산불초소였는데?
전에 이쪽 방향에서 한번 올라가 보고 두 번 내려온 기억이 있다. 향로봉 암릉에 다섯 개의 암봉이 이어져있다.
그 후 감히 다시 시도해보지도 않고 우회로를 이용한다. 산행은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핑계를 대며 말이다.
이때 혼자 하는 말이 있다. 웃기고 있네. 용기가 없으면서 , 맞는 말이다.
향로봉 산악구조대 초소. 탕춘대 능선이 갈리는 지점이다. 여기서 이어진 탕춘대성은 홍지문을 거쳐 인왕산과 연계된다.
(족두리봉 1.2 km) (향로봉 0.5 km) (비봉 1.1 km) (상명대 2 km) (탕춘대 공원 지킴터 0.8 km)
향로봉(535) 능선 위 삼거리. (족두리봉 1.7 km) (비봉 0.5 km. 사모바위 1.1 km) (기자 공원 지킴터 2 km)
여기서 향로봉에 다녀오는 것은 쉽다.
향로봉 출입제한 지역 안내. 추락위험지역 출입 허용 기준.
1, 최소한 2인 이상으로 팀을 구성할 것.
2. 헬멧과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 자일과 하강기를 사용하며 , 해당 장비를 능숙하게 다룰 수 있을 것.
기준에 맞추어 산행을 하여도 안전책임은 전적으로 실행자에게 있다. 동호인 팀들이 있어 함께 하면 좋다.
비봉능선을 따라 문수봉으로 가는 길. 큰 바위 전망대에서 조망. 비봉과 아침해. 오늘은 시계가 좋지 않다.
큰 바위 전망대에서 조망. 등록에서 약간 벗어난 것은 삼각산을 보기 위함인데 잘 보이지 않아 아쉽다.
비봉은 스치고 지나간다. 비봉능선은 문수봉에서 분기한다.
사모바위. 승가봉 뒤에 문수 보현봉. 바위 뒤에 후광이 비췬다.
승가봉(567)에서 석문봉 뒤에 문수 보현봉.
석문봉.
석문을 통해 나한봉과 715봉을 본다.
석문을 통과하며 , 의상능선과 문수봉 우측 보현봉. 능선을 따라가면 문수봉 나도 능선을 따라 암릉으로 오른다.
다양한 능선 미를 감상하는 장소로 이만한 곳이 없다. 비봉능선을 따라 문수봉에 오르면 ,
의상능선이 올라오고 산성 주능선을 따라가다 보면 보현봉에서 사자 능산으로 내려앉으며 대성 능선으로 갈라진다.
문수봉 암릉길과 청수동 암문 갈림길. 청수동 암문으로 가나 암릉으로 올라가나 문수봉 거리는 0.4 km.
나는 암릉을 선호 , 주로 낮엔 암릉 야간엔 청수동암문을 이용한다.(청수동 암문 0.3 km) (사모바위 1.1 km)
문수봉 암릉을 올라가는 길.
문수봉 암릉을 올라가는 길. 지나온 길을 뒤 돌아본다. 비봉능선길이다.
의상능선 나한봉을 본다.
지나온 비봉능선 조망.
지나온 비봉능선 조망. 문수봉이 가깝다.
문수봉 아래에서 올려다본다.
문수봉이 거느리고 있는 조각품들이다.
문수봉(727) 표지목. 문수봉에서 남자 한분이 내려오는 것이 보인다. 잠시 후 표지목에서 만난다.
문수봉에서 비봉능선 , 의상능선이 갈라지고 , 산성 주능선이 백운대까지 이어진다.
이곳에 삼각산 조망처. 푸른 소나무가 있는 남장대터 뒤에 백운대.
남장 대지. 북장 대지 , 동장 대지. 서로 잘 보이는 위치에 있다.
대남문.
보현봉은 사자능선과 대성 능선을 거느리고 있다.
늦가을 대성문으로 가는 길. 오늘 약 240,000 보를 걷는다. 한발 한발 여유 있는 자세로 마음은 발끝을 앞지르지 않는다.
대성문. 산성 주능선 산성 따라 진행한다. 13문 중에서 제일 큰 문이다. 왕이 드나드는 문이기 때문이다.
남장 대아리 행궁도 있지만 , 실은 한 번도 전쟁을 치른 적이 없고 왕이 대성문을 드나든 적도 없다.
유비무환일 뿐이다.
전망대. 백운대 조망이 좋은 곳이다.
원효봉, 염초봉, 백운대, 만경대, 인수봉, 용암봉, 용암문, 시단봉, 동장대, 영봉.
전망대에서 삼각산 조망.
보국문. 해체보수공사 중 . 공사기간 22.5.20일 ~ 22.11.19일 .
보수공사중 우회한다.
대동문. 해체보수공사중 . 공사기관 22.5.20일~22.11.19일 .
대동문 . 오늘 첫 간식 및 휴식시간(3. 3. 2. 2. 1. 1.) 첫 번째 오전 10시 다음 오후 1시 , 다음 오후 2시 , 오후 4시 순이다.
아침 겸 메뉴는 / 인절미 1팩 , 찐 고구마 약간 , 사과 2분의 1 , 물 0.2 리터. 오전 10시 좀 늦었다.
이정표(대남문 1.6 km. 대성문 1.2 km . 보국문 0.6 km) (북한산대피소 1.3 km . 용암문 1.5 km . 백운대 2 km)
(산성탐방지원센터 4.5 km) (아카데미 탐방지원센타 1.9 km)
동장대.
북한산성의 동쪽에 있는 "장대"로 1712년(숙종 38년)에 지어졌으며 , 1996년에 복원하였다.
장대는 장군의 지휘소로 북한산성에는 동장대와 남장대 북장대 세 장대가 있으며 서로 잘 보이는 위치에 있어 ,
수기로 서로 연락을 취할 수 있다. 나무가 자라서 소개 청소는 하여야 한다. 그중 동장대만 복원하였다.
북한산 13문 종주. 중성문이 가운데에 있어 출발 코스를 잘 잡아야 한다.
동장대는 북한산성의 동쪽에 있는 "장대"로 1712년(숙종 38년)에 지어졌다.
장대는 장군의 지휘소로 , 북한산성에는 동장대 외에 남장대 , 북장대가 있었다. 현재는 동장대만 남아있다.
이장대는 소실되었던 것을 1996년에 복원한 것이다.
대성문 , 보현봉 , 대남문 , 문수봉 , 청수동암문 , 나한봉 , 나월봉 , 남장 대지 , 의상능선.
북한산성은 조선조에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을 겪으면서 도성의 방어대책으로 여러 번 축성론이 거론되다가 ,
제19대 숙종 37년(1711년) 4.3일 착공하여 그해 10.19일 완공을 하였다.
산성의 둘레는 9.7 km 가량되고 이중 성채만의 총연장은 8.4 km 이르며 ,
성벽의 곳곳에 외부로 연결되는 문이 설치되여있다. 이중에 대서문 대동문 대성문 대남문은 문루가 복원되었다.
용암문.
용암문 이정표. (북한산 대피소 0.2 km. 백운대 1.5 km) (대동문 1.5 km) (용암문 공원 지킴터 1.1 km)
노적봉 입구.
백운봉 암문으로 올라가며 , 뒤 돌아 노적봉을 본다.
백운봉 암문으로 올라가며 , 원효봉 . 북문. 염초봉. 양봉 사이 아래에 상운사 조망.
백운대.
백운대에서 산성계곡으로 떨어지는 암릉 길을지나 여우굴을 통과하며 계곡길 좌측으로 돌아 나오면 ,
사진 왼편 백운대 암봉 중간을 가르는 소나무들이 보이고 갈색으로 낙엽진 나무길 , 암릉 허리쯤에 작은 나무를 따라 이어지는 , 허릿길을 지나면 위문 아래 나무계단과 연결되는 루트가 있다. 10여년전에 백운대정상에서 내려와 본적이 있다 .
백운봉(위문) 암문. (벡운대 0.3 km) (북한산 특수 산악구조대 0.8 km. 백운대 탐방지원센터 1.8 km)
백운대 올라가며 , 인수봉 조망.
백운대 올라가는 길. 만경대와 이어지는 지능선 족두리 바위 조망.
백운대 정상에 사진 찍는 줄이 길다. 인원이 많아 더 이상 올라갈 수가 없다.
셀프로 처리하고 통과한다. 보통 있는 일이다.
백운대를 떠나며 ,
내려가는 길. 오리바위에서 한 여자분이 여러 동작으로 사진을 찍는다. 산행을 즐기는 하나의 방법이기도 하다.
위문 (백운봉 암문). 원위치하는데 30분 소요.
내 눈에 보이는 모든 사람들 손에 핸드폰을 들고 산행을 한다.
위문을 떠나며 ,
옛 백운산장.
북한산 국립공원 특수 산악구조대.
하루재 올라가는 길.
하루재. (특수구조대 0.3 km. 백운대 1.4 km) (영봉 0.2 km . 육모정 탐방소 2.8 km)
제2공원 지킴터 갈림길. (백운대 탐방지원센터 0.3 km) (하루재 0.4 km ) (백운대 1.8 km)
(제2 공원 지킴터 1.4 km) 능선길로 하행한다.
쉼터. 두 번째 쉬는 시간 (1, 10시 / 2, 오후 1시). 먼저 와서 쉬는 일행이 있어 약 100 m 아래로 내려가 20분간 간식 및 휴식..
제2공원 지킴터 아래.
북한산 국립공원 표지석에서. 표지석엔 사진 찍는 일행들이 있다.
우이분소.
둘레길 안내소 앞.
우이 역 2번 출구에서 마무리.
* 7구간 회룡역까지 가기로 하였으나 , 사정이 있어 7-1구간으로 나누었다.
예정 시간보다 약 1시간 늦었다. 도봉상, 사패산에서 1시간 늦는다면 저녁 9시경 회룡역 도착 예정
야간산행이 길어지면 배터리도 모자란다. 후회 없이 마무리한다.
----------------------------------------------------------------------------------------------------------------------------------------------------
2022.11월 매일 산행 6회째(클린 6회) 거리= 45.16km+일반 산행 1회째(클린 0회) 거리= 15.45km 계 60.61km.
l s m 3 7 자연 인 이 상 목 항상 감사합니다.
------------------------------------------------------------------------------------------------------------------------
2022년 10월 말 현재 총산행일 = 5,315회(클린 1,250회) + 11월 진행 중 7회 = 합계 5.322회(클린 1,256회)
총 산행거리 = 10월 말 44,597.38 km + 11월 진행 중 60.61 km = 합계 44,657.99 km.
-------------------------------------------------------------------------------------------------------------------------
* 2차 산행 목표는 2026년 90대에 서울 오산종주(24시간) 완주하는 것이다.
불가능에 가깝지만 , 지금부터 4년간 체력을 보완해야 한다. 최선을 다할 것이다. 꿈은 실현된다.
------------------------------------------------------------------------------------------------------------------
* 서울 환종주 27개 산 (217.78 km) 종주 토털 (들날머리를 제외한 실 구간 거리)(대개는 전철역에서 연계됨)
1구간 = 하남 창 마을~남한산성 서문 = 산행 번호 5,276회 (2022.09.01) 총 거리 18.67km (도상거리 17.69 km)
/소요시간 7.31분(기타 시간 17분 포함)
2구간 = 남한산성 서문~오리역 3천 불 = 산행 번호 5,281회 (2022.09.09) 총 거리 28.59 km(도상거리 27.44 km)
/소요시간 9.23분(기타 시간 45분 포함)
3구간 = 오리역 4번~옛골 인능산 입구 = 산행 번호 5,290회 (2022.09.22) 총 거리 27.04 km(도상거리 26.14 km)
/소요시간 9.37분(기타 시간 51분 포함)
4구간 =옛골 인능산 입구~남태령 해태상 = 산행 번호 5,294회 (2022.09.28) 총 거리 21.71 km(도상거리 20.35 km)
/소요시간 7.45분(기타 시간 57분 포함)
5구간 = 남태령 해태상(서쪽)~석수역 1번 출구=산행 번호 5304(2022.10.20) 총 거리 13.36 km(도상거리 12.64 km)
/소요시간 7.13분 (기타 시간 32분 포함)
6구간 = 석수역 2번 출구~불광역 2번 출구 = 산행 번호 5,309(2022.10.20(목) 총 거리 33.09 km(도상거리 32.08 km)
/소요시간 8.58분(기타 시간 42분 포함)
7-1구간= 불광역 9번 출구~우이 역 2번 출구=산행 번호 5,322(2022.11.10(목) 총 거리 15.45 km(도상거리 14.73 km)
/소요시간 7.49분 (기타 시간 46분 포함)
1~7-1구간 합계 총 거리 158 km (도상 거리 151.07 km) / 총 소요시간 58.16분(기타 시간 4.50분)
* 서울 환종주 산행 전도 및 구간 지도는 정리되는 대로 매회 상부에 첨부. 토털은 후미에 첨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