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2.12.10(토)서울환종주 10구간(광진역~하남 창마을)마지막 완주산행

lsm37 산행인 2022. 12. 10. 17:41

22.12.10(토) 서울 환종주 10구간(광진역~하남 창 마을) 마지막 완주산행

산행코스 = 광진역 2번 출구-한강공원-구리 암사대교-강동대교-미사대교-나무고아원-하남 미사리 유적-당정섬-덕풍교-당정  뜰(섬)마타세콰이아 길~끝 지점(운동시설)-산곡교-팔당대교-신팔당교(공사 중)-하남 창 마을(검단산 들머리) 서울 환종주 1구간 출발지점. 하남 검단산역 3번 출구에서 일반 산행 마무리.

산행 번호 5,341. 22.12.10(토)

누구와 = 나 홀로.

산행지 = 서울 환종주 10구간(광진역 2번 출구~하남 창 마을) 산행

산행거리 = gps 총 거리 18.76km (도상거리 18.64km) (평균 거리 4.32km) (최고 5.36km) (고도 60m.7m)

  (오르내림 689m - 686m)

산행시간 = 05.55분 46"- 10.27분 16" = 4.31분 30"(기타 시간 12분 49" 포함)                             

날   씨 = 흐리고 맑음 10% , - 0도. 초미세먼지 보통. 습도 59%. 바람 없음.

기   타 = 노 스틱 / 노 클린산행.

폰 사진 = 62장 중 44장으로 구성.

gps 통계 & 트랙.

광나루역~강동대교 구간.

강동대교구간~ 하남 창 마을  구간.

 

광진역 2번 출구에서 산행 시작. 노 스틱 / 노 클린산행. 새벽 공기는 쌀쌀하다.

광진교 통과 중 , 올림픽대교와 롯데타워 조망.

출발 1.64 km 지점. 한강시민공원 자전거 대여소 통과 

. 출발 4.41 km 지점. 구리 암사대교 통과. 

출발 5.45 km 지점. 매봉 구릉지 통과 중 , 예봉산과 검단산 사이 동천에  붉은 태양빛이 물든다.

포천 ~ 세종간 고속도 한강교량 현수교. 두 개의 현수교 탑 중 미사리 방향 현수 탑.

                                                                    출발 6.28 km 지점. 포천~ 세종간 한강 교량 공사 중 ,

교량 중심점 500 m 지난 지점. 현수 탑 두 개가 보인다. 17야 달도 보인다.

 

출발 7.50 km 지점. 강동대교 중앙지점.

 

 

 

출발 7.56 km 지점. 강동대교 막 지난 지점. 하남시 아파트 단지 뒤에 아침해가 솟아오른다.

강동대교 뒤돌아본다.

고수부지. 축구장 시작 지점. 

출발 9.81 km 지점. 한강 지천. 자연생태계. 고수부지. 선동 야구장.

출발 10.46 km 지점. 미사대교(서울 양양 고속도) 지나며 ,

출발 10.66 km 지점. 하남 나무 고아원(미사리 선사유적지)

"하남 미사리 유적"은 한강 상류 "충적지"에 있는 생활 유적이다. 유적이 처음 알려졌을 때에는 신석기시대의 것으로 보았으나 , 1987년~1993년까지 여러 차례 발굴조사를 하여 신석기시대부터 백제 초기까지의 흔적을 발견했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유적의 변화과정을 "유구" 간의 선후관계가 뚜렷해 한국 중부지역 선사시대 전반적인 사회상을 잘 보여준다.

* 충적지 = 물이 운반한 모레나 흙이 쌓여 이루어진 땅. 

* 유구 = 옛날 건축의 구조와 양식을 알 수 있는 실마리가 되는 자취.

좌측 예봉산과 우측 검단산 가운데로 한강이 흐른다. 한강 가운데 작게 보이는 섬이  당정섬이다.

당정섬 유래 표지석.

당정섬 위치 안내. 여기서 미사 섬 은 현 조정 경기장과 미사동으로 표기된 지점이다. 한강 샛강이 조정경기장 사이로 흐르며 미사 섬과 당정섬이 형성되었다.

유래.

팔당댐에서 물길을 따라 내려오면 팔당대교 바로 아래에서 산곡천 , 풍덕천과 만나는데 이곳이 옛 당정섬의 어귀다. 이곳 어귀에서 갈라져 지금의 조정 경기장 쪽과 남양주시 쪽으로 당정섬 경계로 분류되어 흘러 미사 섬 하류에서 합류되었으며 , 이 섬은 사질양토로 이루어져 선사시대부터 인류가 살았던 곳으로써 미사 섬과 인접해 있었다. 

당정섬은 행정구역상 하남시 당정동에 속하며 1925년 을축년 대홍수로 인하여 대부분의 주민들이 육지로 이주하고 농경지로 남아 있다가 , 수마로 부락의 형태를 잃어 가던 중 1994년 한강 종합개발 사업으로 , 영원히 그 모습을 볼 수 없게 되어 옛 지형 형태와 상황을 기록하여 국토의 변화를 알 수 있게 하기 위하여 , 여기에 기념비를 세우게 되었다. 

섬이 사라지기 전의 크기는 동서 2.3 km / 남북 1.25 km 로서 전체 면적은 2,875 km2이다.

당정섬을 내려다보며 둑길을 지난다. 멀리 좌측에 예봉산 / 우측에 하남 검단산.

당정섬과 팔당대교. 지금의 당정섬은 육지와 연결되어 당정 뜰이라는 이름으로 개발되었다. 

당정 뜰 조성.

개발된 당정 뜰 일부 구간을  확대해 본다. 주변 일대 

주변 개념도. 강동대교와 미사대교. 미사대교 미사리에 나무 고아원. 남한산성과 근접한 거리에 선사유적지가 있다.

덕풍천 통과. 이 천을 지나며 당정 뜰 상류지점에 해당하는  메타세콰이아 길로 진입한다.

이곳은 한때 가족 싸이 클타며 , 집에서 약 20 km 지점으로 쉬며 가던 장소로 약 5년여 전이지만 꽤나 오래된 듯하다. 그땐 매주 2~3차 다닌 듯하다. 지금은 아내가 무릎 관절이 좋지 않아 함께 다닐 수 없어 매우 안타깝다. 

당정 뜰 메타세콰이아 길.

원산지가 중국이라는 사실은 처음 들었다.

당정 뜰 메타세쿼이아 길. 어느덧 나도 신선이 되어 이곳을 지난다.

자전거길은 강변을 따라가고 , 이 길은 인도로 조용하다. 숲과 풍광이 있어 사색하며 걷기 좋은 길이다. 

당정 뜰 메타세쿼이아 길 

당정 뜰 메타세쿼이아 길에 설치한 , 수많은 시를 음미하며 그중 두 편을 소개한다. 계절과  자연이라는 시 

남양주시 와부읍의 예봉산 중턱쯤 올라가 당정섬을 내려다보면 한 폭의 그림 같은 절경이었다. 푸른 강물과 흰모래 사장으로 둘러싸여 뽕나무 , 밤나무가 울타리 친 섬에는 땅콩밭이 널 퍼짐 하게 널려있고 , 나루터에 옹기종기 모여 이마를 맞대고 있는 초가집들은 한 폭의 그림 같은 풍경이었다고 한다.  더구나 아침 안개가 자욱할 때는 강기슭의 거룻배가 금방이라도 신선을 태우고 두둥실 떠 다닐 것 같은 연상작용까지 겹쳐 신비로움의 극치를 이룬다고 한다.

당정 뜰 메타세쿼이아 길.

당정 뜰 메타세쿼이아 길.  상부 지점에 해당하는 이 길은 1.27km에 이르러 끝난다..  

당정 뜰 메타세쿼이아 길 끝 지점에 있는 정자와 다양한 운동기구 시설.

나는 정자에 앉아 정해진 간식 및 휴식시간을(3,2,1 시간제) 약 1시간이나 늦게 즐긴다. 집사람이 깍두기처럼 써른 고구마(간을 한)와 산복숭아 원액 물 식수로 목을 축인다.

3,2,1, 시간제는 출발 3시간 2시간 1시간 등으로 쉬며 간식 및 물 마시는 것. 오늘은 거리가 짧아 3시간 첫 단계로 끝이다 .

당정섬 주변 강가엔 물새들이 많다.

물새들이 왜 치는 소리가 요란하다. 꽤나 시끄럽다.  줄잡아 수백 마리가 넘는 것 같다. 장관이다.

물새 무리도 많지만  종류도 다양하다. 한강변 이곳은 그들의 천국이다.

팔당대교 밑을 지난다. 바로 위해 제2 팔당교가 공사 중이다.

물새들의 천국.

미련이 있어 눈길을 돌려 다시 당겨서 본다.  잘 있고 잘 자라거라 나는 간다.

                                                                                  신팔당대교 공사 안내..

       신팔당대교 공사 중. 현재 많이 진척이 되었다. 차량이 아닌 자전거나 인도로서 다니기 좋은 길이 되었으면 한다. 

검단산 들머리. 서울 환종주 1구간 처음 출발지점이다. 석달 열흘만에 종주하며 종착지점에 도착한다.

창모루마을. 창뫼마을 . 원 지명은 바깥창마루로 기억한다 . 조선시대 북한강과 남한강을 통해 들어오는 세곡 등 문물을 쌓아두는 창고가 있던 곳이다 . 그 수량이 점점 늘어나며  강가에있는 창고는 바같창마루 안쪽 에 있는 창고는 안창마루로 불렸다 . 내가 처음 산행을 시작한 2003년 말엔 바깥창모루로 불렀다 .

서울 환종주 10구간 마무리 산행.  오늘 산행거리 17.41 km(도상거리 17.29 km) (평균 4.32 km)

이 산행은 나의 2차 산행 목표 90대에 오산종주가 완성될 때까지 매년 한 번씩 실행한다.

하남 검단산역 3번 출구에서 오늘 산행 마무리. 오늘 산행거리 18.76 km( 도상거리 18.64 km)

----------------------------------------------------------------------------------------------------------------------------------------------------

2022.12월 매일 산행 4회째(클린 0회) 거리= 30.75km+일반 산행 3회째(클린 0회) 거리= 48.87km 계 79.62km.

                                  l  s  m  3 7    자연 인    이 상 목    항상 감사합니다.

------------------------------------------------------------------------------------------------------------------------

2022년 11월 말 현재 총산행일 = 5,334회(클린 1,262회) + 12월 진행 중 7회 = 합계 5.341회(클린 1,262회)

             총 산행거리 = 11월 말 44,768.11 km + 12월 진행 중 79.62 km = 합계 44,847.73 km. 

-------------------------------------------------------------------------------------------------------------------------

* 2차 산행 목표는 2026년 90대에 서울 오산종주(24시간) 완주하는 것이다.

  불가능에 가깝지만 , 지금부터 4년간 체력을 보완해야 한다. 최선을 다할 것이다. 꿈은 실현된다.

------------------------------------------------------------------------------------------------------------------

*  서울 환종주 27개 산 (217.78 km)  종주 토털  (들날머리를 제외한 실 구간 거리)(대개는 전철역에서 연계됨) 

1구간=하남 창 마을~남한산성 서문 =산행 번호 5,276회(2022.09.01)(목)

           총 거리 18.67km (도상거리 17.69 km)  /소요시간  7.31분(기타 시간 17분 포함)

2구간=남한산성 서문~오리역 3번출구=산행 번호 5,281회(2022.09.09)(금)

           총거리 28.59 km(도상거리 27.44 km)  /소요시간  9.23분(기타 시간 45분 포함) 

3구간=오리역 4번~옛골 인능산입구 = 산행 번호 5,290회 (2022.09.22)(목)

            총 거리 27.04 km(도상거리 26.14 km)  /소요시간  9.37분(기타 시간 51분 포함) 

4구간 =옛골 인능산 입구~남태령 해태상=산행번호 5,294회(2022.09.28)(수)

            총거리 21.71 km(도상거리 20.35 km)  /소요시간 7.45분(기타 시간 57분 포함) 

5구간 = 남태령 해태상(서쪽)~석수역 1번출구=산행번호5,304(2022.10.13(목)

            총거리 13.36 km(도상거리 12.64 km) /소요시간 7.13분 (기타 시간 32분 포함)

6구간 = 석수역 2번 출구~불광역 2번 출구 = 산행 번호 5,309(2022.10.20(목)

             총거리 33.09 km(도상거리 32.08 km)  /소요시간 8.58분(기타 시간 42분 포함)

7-1구간= 불광역 9번 출구~우이 역 2번 출구=산행 번호 5,322(2022.11.10(목)

             총 거리 15.45 km(도상거리 14.73 km)  /소요시간 7.49분 (기타 시간 46분 포함)

7-2구간= 우이역 2번 출구~회룡역 1번 출구 = 산행 번호 5,326(2022.11.15(화)

             총 거리 14.12 km (도상거리 13.57 km)  / 소요시간 6.52분(기타 시간 34분 포함) 

8구간= 회룡역 3번 출구~갈매역 1번 출구 = 산행 번호 5,334(2022.11.29(화)

             총 거리 18.51 km(도상거리 17.90 km)  / 소요시간 7.35분(기타 시간 40분 포함)

9구간= 갈매역 1번출구~광진역 1번출구 = 산행 번호 5,336(2022.12.02(금)

             총거리 15.61 km(도상거리 15.26 km)  / 소요시간 5.50분(기타시간 7분 포함)

10구간=광진역2번출구~하남시 창마을 = 산행번호 5,341(2022.12.10(토)

             총거리 17.41 km(도상거리 17.29 km)  / 소요시간 4.14분(기타시간 12분 포함)

                             1~10 구간        총합 계   거리 = 223.56 km (도상거리 215.09 km)

                                                                    시간 =    72.47 분 (기타시간 6.23분 포함)  

    * 서울 환종주 산행 전도 및 구간 지도는 정리되는 대로  매회 상부에 첨부. 토털은 후미에 첨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