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도

09.01.05 = 서울근교 = 북한산씨리즈(8)북한산성13문일주-북한산성계곡-부국문-정릉계곡

lsm37 산행인 2010. 6. 22. 14:51
09.1.5=북한산씨리즈(8)북한산성13문일주및북한산성계곡-보국문-정릉계곡|●…─ 산행후기 글
lsm37 | 조회151 | 09.01.11 16:17 http://cafe.daum.net/gangsong/DFwr/263 

언제     :09.1.5(월)

누구와  :나홀로

어느곳  :효자리입구,삼미조경-서암문(시구문)-원효봉-북문-(우회로)-대동사-위문-백운대-(우회로)-용암문-동장대-대동문-

            보국문-대성문-대남문-청수동암문-부왕동암문-가사당암문-의상봉-대서문-중성문-합수삼거리-보국문-정릉계곡길-

            정릉탐방소

거리     :21.4 K      (*북한산성우회=12.2 K      *대서문-정릉탐방소=7.7 K      *백운대왕복=0.6 K      *효자리입구-서암문=0.9 K)

소요시간: 6시간34분(기타 27분포함)          예정시간=7시간

날씨     :서울지역 예보 : 영4도 .낮1도                  현장: 전반적으로 구름많음 - 출발점 기온 영2-3도 -  산성주능선부분 -

              영5-6도 .   정릉계곡 옹달샘온도 영4도 (오후1.44분, 안윽한곳) .  하루종일 햇빛은  오전11.17분-27분까지만보았음

                 (해뜨는시각 : 07.47분 .     해지는시각17.28분 )

 

실행   (머리글)

  :06.27분 둔촌역출발-7.20분구파발역-7.34분 북한산성입구 도착 하여 지도를 봅니다 .

           북한산성.  북한산씨리즈를  처음시작한  08.11.17일 이후,

 

           씨리즈(7) 홍지문-서울성곽-탕춘대성-탕춘대능선 자연성곽-향로봉으로 이어저,  비봉능선을 타고  , 문수봉-북한산성과

           연결되는  , 고리를 본후,   비로서  북한산성에 대하여   관심을 보입니다 .

 

           그간 수없이   북한산주능선 길을  오고가며  암문과 문루를  보았지만 ,  산행의 포인트 로만 생각하였습니다  .

           산성12문 , 13문종주 이야기도 들었지만 ,  별관심이 없었습니다 .

 

           씨리즈(7)마무리에서 ,   다음산행지를 올리며  지도를보며  흥미와 관심을 갖이고  집중합니다 .

 

            북한산 전지역을  구석구석 알려면 ,  북한산성은 핵심이라는  생각때문입니다 .  씨리즈(6)에서 북한산성 계곡길을 가며

           북한산성내  문이 14개 라는 것을 압니다 . 하나  지도에서 아무리보아도  13개 박에 없습니다 .  그외 몇가지  , 장군대의

            배치 및 의상능선에서의  축성의 위치 ,  왜  대스랩 큰능선을 따라  축성하지 않고  , 소능선따라  대서문 으로 축성을

            하였는지 는  현장을 돌며 이해를 합니다 .  이번 산성일주 산행에서  못찾은  수문 1개,  언제인가  지형 답사를 통하여 

           대서문 과 중성문 사이에서  꼭, 찾기를 원합니다 .

 

 이번일주 산행후    인터넷에서  몇가지를  찾아봅니다

북한산성은  백제가 하남 위례성에  도읍을 정하였을때,  도성을 지키는  북방의 성으로 132년 (개루왕5년)에 축성하였답니다 .

그후 , 고구려 백제 신라  3국이 서로 찾이하기 위하여 , 쟁탈전을 벌렸던  군사적 요충지 였으며 , 조선시대 에서는  도성을 지키는

배후산성으로  또는 ,  비상시 임시 대피하는  요충지 역활도 합니다 .

고려 고종 때는  몽골군과 격전을 벌였으며 ,  이때증축이 있었으며   1387년 우왕때  개축공사를 하였답니다 .

 

    현제의 북한산성은  정묘  병자  두 호란  직후인  1711년 숙종37년  왕명으로  4월에 시작- 그해10월에   총연장8.4 K (전체둘레

9.7 K) . 7,620보  가  석성으로 완성됩니다 .

   성의 면적은 약 200만평 , 한양도성(사대문안)232만평 산성으로는 큰규모입니다 .

총14개의 문중  수구문 1개는 1915년 8월 장마에 소실된것으로  추정합니다 .

 

며칠전부터 지도를 보며 , 하나의문  수구문(물 내려보내는문)을  찾으려  고심하며  실행시 찾기로 하였으나 ,   결국은  대서문과

중성문 사이  제일좁은 계곡에  위치 하였으리라는 추정만 합니다 .

 

  나머지 13개 문을  산행코스 순서로  문루를 가춘 문은 ,   북문(미 복원).  대동문 . 대성문 . 대남문 . 대서문 . 중성문 으로 6개

이며 ,  이중대성문이 제일큰것은   경복궁에서  임금님이  지름길로  대성문으로 납시기 때문입니다 .

 

암문형태의 문은 , 서암문 (시구문. 서민들의 시체나가는문). 위문 (백운동암문) . 용암문 . 보국문(동암문) . 청수동암문 . 부왕동

암문  . 가사당암문 . 7개입니다 .

 

성내 시설로는 .    한양도성의 축소판으로  위급시 임금이  묵을 행궁과 , 훈련도감 , 어영청 , 금위영터가 있고 ,      총지휘 본부

격인   동장대(2층누곽,  시단봉위  장군대중 제일높은곳에 위치)에서 잘바라보이는  두곳,  남장대(지)(나한봉 동북에 위치)

북장대(지)(중성문 서북에 위치) 이 있습니다 . 이번산행에서 동장대에서 직접 봅니다 .  각 장군대에서는  지역분담과 역활이

효과적으로 수행되는 위치에 자리하고 있슴을 봅니다 .

축성1년후  1712년에 건립한 130칸의 행궁과 140칸의 군창도 완비됩니다 .

또한 성내에는 13개의 사찰에서  수많은 승병들이  있었겟지요 . 우물과 저수지도 많이 만들었습니다 .

 

성안시설물과 함게   중성문을 증축한 이유는  ,   지형이 평탄하여  취약한  대서문(성의 입구에 해당)이 뚤린다해도 ,  병목과 같은

중성문 계곡을 차단하기  지형상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    이때 서암문(시구문)과 수구문을 함께 조성합니다 .   현장의 지세를

관찰하며 중성문 및 3장군대의  위치를  확인가늠해 보면서  없어진 수문의  위치도 추정해봅니다 .

 

산성의 경계는 : 1구간  =서암문-원효봉-북문-원효봉능선-염초봉(662)-배운대(836.5)= 이중 북문부터는  자연성곽입니다 .

                      2구간  =백운대-위문-산성주능선-만경대(799.5)-용암문-대동문-보국문-대성문-대남문= 이중 백운대-용암문 까지

                                 자연성곽 입니다 . (위문주위 제외)

                      3구간  =대남문-문수봉(732)-청수동암문-715.5봉(상월봉)-나한봉-나월봉(651)-부왕동암문-증취봉(593)-용혈봉

                                 (581)-용출봉(571)-가사당암문-의상봉-대서문 -중성문  . 이중자연성곽은 -나한봉-나월봉-용출봉-지역과

                                의상봉- 험준한 암벽 전후 입니다 . 대서문 과 중성문은  성내 출입통로 입니다 .

 

            *  구간설정은 =  오늘원만한 산행을 위하여  자의로  정하였으며   거리및 예정시간 산출시 편의를 위하여  항상 합니다 . 

 

오늘의 산성일주는  위험구간=북문-백운대-만경대지역은  우회합니다 .  또한 서암문과 (시구문)대서문사이 계곡은  답사형식을

취합니다 .    산행 시작입니다 .

 

 

 해뜨기  11분전  동쪽하늘은  여명이 밝았습니다 .  기온은 영 4도이상 쌀쌀 합니다 .

 

대로변 삼미조경길을 따라 올라가면 , 등산로 안내 화살표시가 있어   등로 찾는데  별어려움이 없습니다 .

주변 경관을 살피며 서행으로  약10여분 오르면 , 서암문(시구문)이  나옵니다 .  출발후 0.9 K 지점입니다 .

 

 

            (이정표에는  효자리입구1.2 K .     원효봉 1 K  .   덕암사 0.3 K  )

예정대로  대서문과 서암문 사이 , 계곡과 주변을 답사하고  6분후 올라옵니다 . 소실된 수문의 위치를 추정하려면 , 추후 충분한

 시간을 갖이고  답사하기로 합니다 .

 

성길을 따라 가파른 돌계단을 오릅니다 .  1 K 거리에  고도500 을  올라가야 합니다 . 초반부터 급경사입니다 .

 

 

 첫번째  벙커전망대에 도착  효자리일대을  바라봅니다 .

 

 

 원효대사와 연관이 있는  1300년된 암자  원효암을  통과합니다 .

원효봉에 가기전  큰바위 암봉위로 쇠줄을 잡고오름니다 .  가마귀 한쌍이 쇠줄위에서 나를반김니다 . 디카를 끄내자  초상권 시비를

 하며 날아갑니다 .  급경사길 돌계단을  40여분 올라왔는데도 땀방울이 없습니다 .  바람과 추운날씨 탓이리라  생각합니다 .

 

 

                                  원효봉(505)  (효자리입구 2.3 K  . 상운사 0.6 K . )

조망이 좋다 . 남쪽으로 의상봉이  마주하고 있다 . 원효와 의상 두대승이 대좌하고 있는듯  산세또한 원만하다 . 동쪽자연성곽을

봅니다 .

 

 

동쪽  자연성곽을 이루고있는  염초봉-염초봉에 가려있는 백운대- 가운데 만경대- 노적봉. 대단한 암봉들이다 .

용암봉 위로  아침해도  힘차게 불끈 솟아오른다 .   나 또한 새로운 힘이    훤효암봉에서  두다리를 통하여  뻗어올라온다 .

 

 

 

 

 

                 (북문(430) 원효봉0.2 K  .   산성탐방소 2.9 K .)

북문입니다 . 이곳만 성루가 복원되지 않았습니다  . 여기서 성곽은 끊어지고  자연성곽으로 이어짐니다 . 원효능선-염초봉-백운대

 코스는 위험지역입니다 .

 

 수많은 암벽과 , 벌림바위 , 파랑새봉 , 밴드길 , 개구멍바위 , 뜀바위 ,  위험한 코스길로  자일과 안전장비를  가추고 , 일행이

있어야 산행이 가능합니다 .   조건이 가추어 질때를 기다리기로 합니다 .   우회하기로 되여있습니다 .

 

우회길은  산성탐방소방향으로 내려가야합니다 .  5분후 상운사 삼거리 (원효봉0.6 K .산성탐방소 2.6 K )를 지나  계곡을 건느면,,,

 

 

 북문삼거리 입니다 . (산성탐방소2.5 K  . 원효봉 0.7 K  .백운대 1.5 K )    좌측으로 올라갑니다 .

 

 

 대동사 입니다 .

 

 

 약수암터  샘터에 물이없습니다 .

 

 

 급경사 계단길로  계속왔습니다  .  나무계단 삼거리에서  온길을 내려다봅니다 . 여기서 위문 100 M 위에 있습니다 .

 

 

 3번째문 위문 입니다 .  (넘어가면 백운대피소 -하루재) 백운대로 오릅니다 .

 

 

 백운대 입니다 .   서암문-백운대= 1구간끝 입니다.        다음 2구간은 백운대-대남문 입니다 .

만경대 위험지역은 우회하여  노적봉 삼거리 지나,,,            산성주능선길로  산성따라 갑니다 .

 

 

 4번째문.  용암문.  성박으로 내려가면 용암탐방소 1.1 K 입니다 .

 

 

 동장대입니다 .   누각에 올라 나한봉과 행궁지  중간쯤에 위치한 , 남장대(지)을바라봅니다 .   행궁지와 대남문-대서문 남쪽성을

  관장합니다 .    다음  북문과 중성문 중간쯤에 위치한  북장대(지)도 바라 봅니다 .  서로 잘보이는 위치에  설치되여 있습니다 .

 

 

 5번째문  대동문입니다 . 성박으로 내려가면  진달래능선, 아카데미하우스 등으로  갑니다 .

씨리즈(5)08.11.15일사패산-삼천탐방소 갈때, 진달래능선으로 올라오며  들어온 문입니다 .

 

 

 6번째  보국문입니다 .  성박으로 내려가면 정릉계곡으로  정릉탐방소로  갑니다 .

오후 중성문 지나  북한산계곡으로 올라  , 정릉으로 넘어갈때  다시봅니다 .

 

 

 7번째 대성문입니다 .  성문중 제일 큰문으로  왕이 다니는 문입니다 .

성박으로 내려가면  대성능선, 형제봉능선 , 평창계곡 으로 경복궁  지름길입니다 .

 

시리즈(3)08.11.30일상장능선-형제봉능선 산행시 통과한 문입니다 .

 

 

 8번째  대남문입니다 .  성박으로 내려가면  구기계곡   구기탐방소입니다 .   2구간 끝나고 ,  3구간 시작입니다

씨리즈(7)08.12.29일 탕춘대능선-삼천사계곡-청수동암문-구기계곡 으로 내려갈때 통과한 문 입니다 .

 

 

 문수봉 . 산성주능선은 여기서 끝나고 ,  비봉능선과  의상능선이 시작됩니다 . 의상능선으로 성 따라갑니다 .

 

 

 9번째  청수동암문입니다 .  성박으로 내려가면  비봉능선과 연결되며 , 삼천사계곡으로 갑니다 .

성안으로 내려오면  남장대지 와 행궁지로  직접연결됩니다 .

 

씨리즈(7)08.12.29일 탕춘대능선-삼천사계곡-에서 올라와  구기계곡으로 갈때 통과한 문입니다 .

 

 

 715.5봉으로 상원봉 이라고도 합니다 .

 

 

 앞으로 갈 자연성곽 , 의상능선입니다 .

좌로부터  나한봉, 나월봉 , 증취봉 , 용혈봉 , 용출봉 . 맨아래 의상봉입니다 .

 

 

 715.5봉 내려가는길 .

 

 

 나한봉 정상입니다 .

 

 

 나월봉 우회하여 지나며 , 올려다봅니다 .

 

 

 10번째 부왕동 암문입니다 .  성박으로 내려가면 삼천사로 갑니다 . 성안으로 내려가면 부왕사(지)가 있습니다 .  부왕사는

태조 이성계가  나라를 세우기전  100일 기도를 한곳으로 유명합니다 .   더 내려가면  합수삼거리 지나  중성문입니다 .

 

 

 증취봉 입니다 .

 

 

 앞으로 갈  용출봉과 의상봉입니다 .

 

 

 용출봉 입구 에 있는 바위.

 

 

 용출봉(571)

 

 

 국녕사를 내려다봅니다 . 가람 우측에 청동좌불상의  뒤모습 의젓합니다 .

 

 

 11번째  가사당암문 입니다 .  성박으로 내려가면 백화사입니다 .  성안으로 내려가면 국녕사 . 범용사 . 중성문으로 갑니다 .

 

 

 의상봉입니다 .    의상봉에서  대슬립 능선 시작되기전 우측으로 흐릿한 산행로가 있습니다 .  급경사 길이며 작은능선으로

이어짐니다 .  위험구간으로 잘다니지 않는길입니다 .  잠시후 이길로 내려가면  급경사길이 계속되고 대서문가는 성길과 연결

됩니다 .

 

 

 삼각산을 배경으로 셀프사진을  찍고 ,,,,

 

 

 의상봉에서 내려와 중간쯤 가면  구성이 있고  성따라 계속내려갑니다 .     내려가며 지형을 보고  대슬립큰능선이 아닌  소능선에 성을

축성하였는지  이해가 됩니다 .  내 판단으로는  큰능선으로 성을 쌓으면 대문격인  대서문-서암문 사이보다  입구가 너무커  성수비에

불리합니다 . 대스립 큰능선은  자연성곽으로  효율적입니다 .  또한 장군대에서 수성지휘가 용이합니다 .

 

 

 12번째  대서문입니다 .  성따라  산행은 여기서 끝나고  마지막성문인  중성문은  계곡길을 따라 약 1.7 K 위로올라갑니다 .

 

 

 대서문 박에서  성따라 올려다 보면 , 급경사 의상봉이  시작됩니다 .

 

 

 삼거리  대남문 방향으로 올라갑니다 .  약7분을 올라가면 , 국녕사 삼거리입니다 . 우측으로 올라가면 국녕사지나 가사당암문으로 ,,

 (의상봉3.8 K  .국녕사0.5 K  . 대남문3.8 K )

 

 

 13번째 중성문입니다 . 13성문 일주는 여기서 끝입니다 . 3구간은 끝이나고 , 4구간시작입니다 .

 

 

 합수삼거리   (부왕동암문0.9 K )  대남문방향으로 갑니다 .

 

 

 행궁지 뒤로도   여러개의 터가보입니다 .   문수봉쪽으로 오르다보면  중간지점에  남장대(지)가있고 문수봉입니다 .

 

 

 보국문삼거리 . 보국문으로 갑니다  . 약100여M오르면 보국사지 가 있습니다 .  산성내 건립된13개 사찰중 하나로  많은 승군을 두고 

보국문일대의  산성수비역활를  하엿으며 , 19세기말 소실됨.

 

 

 보국문입니다 . 오전10시29분-13시29분 =정확히 3시간후 다시왔습니다 .  성넘어 정능계곡길로 하산합니다 .

 

 

 옹달샘 .  온도계 영하4도입니다 .     좀지나면 두번째샘 영천이 있습니다 .

 

 

 넓적다리 갈림길입니다 .  위로 올라가면  넓적다리 와 와폭포가 있습니다 .

 

 

 대성문 삼거리입니다 .

 

 

 정릉탐방소  오늘 산행 끝입니다 .

 

마무리:(1)구간별소요시간

              1구간    출발 -백운대        =4.3 K (07.36-09.31 )=1.55분     (예상시간 1.50분)

              2구간    백운대-대남문      =5.4 K (09.31-10.49 )=1.18분     (예상시간 1.44분)

              3구간    대남문-중성문      =6  K   (10.49분-12.46)=1.57분   (예상시간2.12분)

              4구간    중성문-정릉탐방소=5.7K  (12.46분-14.10)=1.24분   (예상시간1.14분)

                                   계            21.4 K                      6.34분      (예상시간7시간)-26분

 

           (2)디카 222-322 = 101장  중  49  장             누적산행 =1.620          11.813,6 K

 

           (3)다음주 북한산씨리즈 ((9)

               백화사-통제소-가사당암문-중성문-합수삼거리-부왕동암문-715.5봉-행궁지-북한산대피소-용암문통제소-백운교-

               소귀천계곡-대동문-구천계곡-탐방지원쎈타.       거리: 19.2 K  예정시간:5.21분(기타시간30분포함)

 

              

 탐방소 바로밑  버스종점 에서 , 뜨거운 국물에 곡차한잔으로  오늘의 피로를 맑끔이 씻고 버스에 오릅니다 . 버스110A- 3호선 길음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