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01.05 = 서울근교 = 북한산씨리즈(8)북한산성13문일주-북한산성계곡-부국문-정릉계곡
언제 :09.1.5(월) 누구와 :나홀로 어느곳 :효자리입구,삼미조경-서암문(시구문)-원효봉-북문-(우회로)-대동사-위문-백운대-(우회로)-용암문-동장대-대동문- 보국문-대성문-대남문-청수동암문-부왕동암문-가사당암문-의상봉-대서문-중성문-합수삼거리-보국문-정릉계곡길- 정릉탐방소 거리 :21.4 K (*북한산성우회=12.2 K *대서문-정릉탐방소=7.7 K *백운대왕복=0.6 K *효자리입구-서암문=0.9 K) 소요시간: 6시간34분(기타 27분포함) 예정시간=7시간 날씨 :서울지역 예보 : 영4도 .낮1도 현장: 전반적으로 구름많음 - 출발점 기온 영2-3도 - 산성주능선부분 - 영5-6도 . 정릉계곡 옹달샘온도 영4도 (오후1.44분, 안윽한곳) . 하루종일 햇빛은 오전11.17분-27분까지만보았음 (해뜨는시각 : 07.47분 . 해지는시각17.28분 )
실행 (머리글) :06.27분 둔촌역출발-7.20분구파발역-7.34분 북한산성입구 도착 하여 지도를 봅니다 . 북한산성. 북한산씨리즈를 처음시작한 08.11.17일 이후,
씨리즈(7) 홍지문-서울성곽-탕춘대성-탕춘대능선 자연성곽-향로봉으로 이어저, 비봉능선을 타고 , 문수봉-북한산성과 연결되는 , 고리를 본후, 비로서 북한산성에 대하여 관심을 보입니다 .
그간 수없이 북한산주능선 길을 오고가며 암문과 문루를 보았지만 , 산행의 포인트 로만 생각하였습니다 . 산성12문 , 13문종주 이야기도 들었지만 , 별관심이 없었습니다 .
씨리즈(7)마무리에서 , 다음산행지를 올리며 지도를보며 흥미와 관심을 갖이고 집중합니다 .
북한산 전지역을 구석구석 알려면 , 북한산성은 핵심이라는 생각때문입니다 . 씨리즈(6)에서 북한산성 계곡길을 가며 북한산성내 문이 14개 라는 것을 압니다 . 하나 지도에서 아무리보아도 13개 박에 없습니다 . 그외 몇가지 , 장군대의 배치 및 의상능선에서의 축성의 위치 , 왜 대스랩 큰능선을 따라 축성하지 않고 , 소능선따라 대서문 으로 축성을 하였는지 는 현장을 돌며 이해를 합니다 . 이번 산성일주 산행에서 못찾은 수문 1개, 언제인가 지형 답사를 통하여 대서문 과 중성문 사이에서 꼭, 찾기를 원합니다 .
이번일주 산행후 인터넷에서 몇가지를 찾아봅니다 북한산성은 백제가 하남 위례성에 도읍을 정하였을때, 도성을 지키는 북방의 성으로 132년 (개루왕5년)에 축성하였답니다 . 그후 , 고구려 백제 신라 3국이 서로 찾이하기 위하여 , 쟁탈전을 벌렸던 군사적 요충지 였으며 , 조선시대 에서는 도성을 지키는 배후산성으로 또는 , 비상시 임시 대피하는 요충지 역활도 합니다 . 고려 고종 때는 몽골군과 격전을 벌였으며 , 이때증축이 있었으며 1387년 우왕때 개축공사를 하였답니다 .
현제의 북한산성은 정묘 병자 두 호란 직후인 1711년 숙종37년 왕명으로 4월에 시작- 그해10월에 총연장8.4 K (전체둘레 9.7 K) . 7,620보 가 석성으로 완성됩니다 . 성의 면적은 약 200만평 , 한양도성(사대문안)232만평 산성으로는 큰규모입니다 . 총14개의 문중 수구문 1개는 1915년 8월 장마에 소실된것으로 추정합니다 .
며칠전부터 지도를 보며 , 하나의문 수구문(물 내려보내는문)을 찾으려 고심하며 실행시 찾기로 하였으나 , 결국은 대서문과 중성문 사이 제일좁은 계곡에 위치 하였으리라는 추정만 합니다 .
나머지 13개 문을 산행코스 순서로 문루를 가춘 문은 , 북문(미 복원). 대동문 . 대성문 . 대남문 . 대서문 . 중성문 으로 6개 이며 , 이중대성문이 제일큰것은 경복궁에서 임금님이 지름길로 대성문으로 납시기 때문입니다 .
암문형태의 문은 , 서암문 (시구문. 서민들의 시체나가는문). 위문 (백운동암문) . 용암문 . 보국문(동암문) . 청수동암문 . 부왕동 암문 . 가사당암문 . 7개입니다 .
성내 시설로는 . 한양도성의 축소판으로 위급시 임금이 묵을 행궁과 , 훈련도감 , 어영청 , 금위영터가 있고 , 총지휘 본부 격인 동장대(2층누곽, 시단봉위 장군대중 제일높은곳에 위치)에서 잘바라보이는 두곳, 남장대(지)(나한봉 동북에 위치) 북장대(지)(중성문 서북에 위치) 이 있습니다 . 이번산행에서 동장대에서 직접 봅니다 . 각 장군대에서는 지역분담과 역활이 효과적으로 수행되는 위치에 자리하고 있슴을 봅니다 . 축성1년후 1712년에 건립한 130칸의 행궁과 140칸의 군창도 완비됩니다 . 또한 성내에는 13개의 사찰에서 수많은 승병들이 있었겟지요 . 우물과 저수지도 많이 만들었습니다 .
성안시설물과 함게 중성문을 증축한 이유는 , 지형이 평탄하여 취약한 대서문(성의 입구에 해당)이 뚤린다해도 , 병목과 같은 중성문 계곡을 차단하기 지형상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 이때 서암문(시구문)과 수구문을 함께 조성합니다 . 현장의 지세를 관찰하며 중성문 및 3장군대의 위치를 확인가늠해 보면서 없어진 수문의 위치도 추정해봅니다 .
산성의 경계는 : 1구간 =서암문-원효봉-북문-원효봉능선-염초봉(662)-배운대(836.5)= 이중 북문부터는 자연성곽입니다 . 2구간 =백운대-위문-산성주능선-만경대(799.5)-용암문-대동문-보국문-대성문-대남문= 이중 백운대-용암문 까지 자연성곽 입니다 . (위문주위 제외) 3구간 =대남문-문수봉(732)-청수동암문-715.5봉(상월봉)-나한봉-나월봉(651)-부왕동암문-증취봉(593)-용혈봉 (581)-용출봉(571)-가사당암문-의상봉-대서문 -중성문 . 이중자연성곽은 -나한봉-나월봉-용출봉-지역과 의상봉- 험준한 암벽 전후 입니다 . 대서문 과 중성문은 성내 출입통로 입니다 .
* 구간설정은 = 오늘원만한 산행을 위하여 자의로 정하였으며 거리및 예정시간 산출시 편의를 위하여 항상 합니다 .
오늘의 산성일주는 위험구간=북문-백운대-만경대지역은 우회합니다 . 또한 서암문과 (시구문)대서문사이 계곡은 답사형식을 취합니다 . 산행 시작입니다 .
해뜨기 11분전 동쪽하늘은 여명이 밝았습니다 . 기온은 영 4도이상 쌀쌀 합니다 .
대로변 삼미조경길을 따라 올라가면 , 등산로 안내 화살표시가 있어 등로 찾는데 별어려움이 없습니다 . 주변 경관을 살피며 서행으로 약10여분 오르면 , 서암문(시구문)이 나옵니다 . 출발후 0.9 K 지점입니다 .
(이정표에는 효자리입구1.2 K . 원효봉 1 K . 덕암사 0.3 K ) 예정대로 대서문과 서암문 사이 , 계곡과 주변을 답사하고 6분후 올라옵니다 . 소실된 수문의 위치를 추정하려면 , 추후 충분한 시간을 갖이고 답사하기로 합니다 .
성길을 따라 가파른 돌계단을 오릅니다 . 1 K 거리에 고도500 을 올라가야 합니다 . 초반부터 급경사입니다 .
첫번째 벙커전망대에 도착 효자리일대을 바라봅니다 .
원효대사와 연관이 있는 1300년된 암자 원효암을 통과합니다 . 원효봉에 가기전 큰바위 암봉위로 쇠줄을 잡고오름니다 . 가마귀 한쌍이 쇠줄위에서 나를반김니다 . 디카를 끄내자 초상권 시비를 하며 날아갑니다 . 급경사길 돌계단을 40여분 올라왔는데도 땀방울이 없습니다 . 바람과 추운날씨 탓이리라 생각합니다 .
원효봉(505) (효자리입구 2.3 K . 상운사 0.6 K . ) 조망이 좋다 . 남쪽으로 의상봉이 마주하고 있다 . 원효와 의상 두대승이 대좌하고 있는듯 산세또한 원만하다 . 동쪽자연성곽을 봅니다 .
동쪽 자연성곽을 이루고있는 염초봉-염초봉에 가려있는 백운대- 가운데 만경대- 노적봉. 대단한 암봉들이다 . 용암봉 위로 아침해도 힘차게 불끈 솟아오른다 . 나 또한 새로운 힘이 훤효암봉에서 두다리를 통하여 뻗어올라온다 .
(북문(430) 원효봉0.2 K . 산성탐방소 2.9 K .) 북문입니다 . 이곳만 성루가 복원되지 않았습니다 . 여기서 성곽은 끊어지고 자연성곽으로 이어짐니다 . 원효능선-염초봉-백운대 코스는 위험지역입니다 .
수많은 암벽과 , 벌림바위 , 파랑새봉 , 밴드길 , 개구멍바위 , 뜀바위 , 위험한 코스길로 자일과 안전장비를 가추고 , 일행이 있어야 산행이 가능합니다 . 조건이 가추어 질때를 기다리기로 합니다 . 우회하기로 되여있습니다 .
우회길은 산성탐방소방향으로 내려가야합니다 . 5분후 상운사 삼거리 (원효봉0.6 K .산성탐방소 2.6 K )를 지나 계곡을 건느면,,,
북문삼거리 입니다 . (산성탐방소2.5 K . 원효봉 0.7 K .백운대 1.5 K ) 좌측으로 올라갑니다 .
대동사 입니다 .
약수암터 샘터에 물이없습니다 .
급경사 계단길로 계속왔습니다 . 나무계단 삼거리에서 온길을 내려다봅니다 . 여기서 위문 100 M 위에 있습니다 .
3번째문 위문 입니다 . (넘어가면 백운대피소 -하루재) 백운대로 오릅니다 .
백운대 입니다 . 서암문-백운대= 1구간끝 입니다. 다음 2구간은 백운대-대남문 입니다 . 만경대 위험지역은 우회하여 노적봉 삼거리 지나,,, 산성주능선길로 산성따라 갑니다 .
4번째문. 용암문. 성박으로 내려가면 용암탐방소 1.1 K 입니다 .
동장대입니다 . 누각에 올라 나한봉과 행궁지 중간쯤에 위치한 , 남장대(지)을바라봅니다 . 행궁지와 대남문-대서문 남쪽성을 관장합니다 . 다음 북문과 중성문 중간쯤에 위치한 북장대(지)도 바라 봅니다 . 서로 잘보이는 위치에 설치되여 있습니다 .
5번째문 대동문입니다 . 성박으로 내려가면 진달래능선, 아카데미하우스 등으로 갑니다 . 씨리즈(5)08.11.15일사패산-삼천탐방소 갈때, 진달래능선으로 올라오며 들어온 문입니다 .
6번째 보국문입니다 . 성박으로 내려가면 정릉계곡으로 정릉탐방소로 갑니다 . 오후 중성문 지나 북한산계곡으로 올라 , 정릉으로 넘어갈때 다시봅니다 .
7번째 대성문입니다 . 성문중 제일 큰문으로 왕이 다니는 문입니다 . 성박으로 내려가면 대성능선, 형제봉능선 , 평창계곡 으로 경복궁 지름길입니다 .
시리즈(3)08.11.30일상장능선-형제봉능선 산행시 통과한 문입니다 .
8번째 대남문입니다 . 성박으로 내려가면 구기계곡 구기탐방소입니다 . 2구간 끝나고 , 3구간 시작입니다 씨리즈(7)08.12.29일 탕춘대능선-삼천사계곡-청수동암문-구기계곡 으로 내려갈때 통과한 문 입니다 .
문수봉 . 산성주능선은 여기서 끝나고 , 비봉능선과 의상능선이 시작됩니다 . 의상능선으로 성 따라갑니다 .
9번째 청수동암문입니다 . 성박으로 내려가면 비봉능선과 연결되며 , 삼천사계곡으로 갑니다 . 성안으로 내려오면 남장대지 와 행궁지로 직접연결됩니다 .
씨리즈(7)08.12.29일 탕춘대능선-삼천사계곡-에서 올라와 구기계곡으로 갈때 통과한 문입니다 .
715.5봉으로 상원봉 이라고도 합니다 .
앞으로 갈 자연성곽 , 의상능선입니다 . 좌로부터 나한봉, 나월봉 , 증취봉 , 용혈봉 , 용출봉 . 맨아래 의상봉입니다 .
715.5봉 내려가는길 .
나한봉 정상입니다 .
나월봉 우회하여 지나며 , 올려다봅니다 .
10번째 부왕동 암문입니다 . 성박으로 내려가면 삼천사로 갑니다 . 성안으로 내려가면 부왕사(지)가 있습니다 . 부왕사는 태조 이성계가 나라를 세우기전 100일 기도를 한곳으로 유명합니다 . 더 내려가면 합수삼거리 지나 중성문입니다 .
증취봉 입니다 .
앞으로 갈 용출봉과 의상봉입니다 .
용출봉 입구 에 있는 바위.
용출봉(571)
국녕사를 내려다봅니다 . 가람 우측에 청동좌불상의 뒤모습 의젓합니다 .
11번째 가사당암문 입니다 . 성박으로 내려가면 백화사입니다 . 성안으로 내려가면 국녕사 . 범용사 . 중성문으로 갑니다 .
의상봉입니다 . 의상봉에서 대슬립 능선 시작되기전 우측으로 흐릿한 산행로가 있습니다 . 급경사 길이며 작은능선으로 이어짐니다 . 위험구간으로 잘다니지 않는길입니다 . 잠시후 이길로 내려가면 급경사길이 계속되고 대서문가는 성길과 연결 됩니다 .
삼각산을 배경으로 셀프사진을 찍고 ,,,,
의상봉에서 내려와 중간쯤 가면 구성이 있고 성따라 계속내려갑니다 . 내려가며 지형을 보고 대슬립큰능선이 아닌 소능선에 성을 축성하였는지 이해가 됩니다 . 내 판단으로는 큰능선으로 성을 쌓으면 대문격인 대서문-서암문 사이보다 입구가 너무커 성수비에 불리합니다 . 대스립 큰능선은 자연성곽으로 효율적입니다 . 또한 장군대에서 수성지휘가 용이합니다 .
12번째 대서문입니다 . 성따라 산행은 여기서 끝나고 마지막성문인 중성문은 계곡길을 따라 약 1.7 K 위로올라갑니다 .
대서문 박에서 성따라 올려다 보면 , 급경사 의상봉이 시작됩니다 .
삼거리 대남문 방향으로 올라갑니다 . 약7분을 올라가면 , 국녕사 삼거리입니다 . 우측으로 올라가면 국녕사지나 가사당암문으로 ,, (의상봉3.8 K .국녕사0.5 K . 대남문3.8 K )
13번째 중성문입니다 . 13성문 일주는 여기서 끝입니다 . 3구간은 끝이나고 , 4구간시작입니다 .
합수삼거리 (부왕동암문0.9 K ) 대남문방향으로 갑니다 .
행궁지 뒤로도 여러개의 터가보입니다 . 문수봉쪽으로 오르다보면 중간지점에 남장대(지)가있고 문수봉입니다 .
보국문삼거리 . 보국문으로 갑니다 . 약100여M오르면 보국사지 가 있습니다 . 산성내 건립된13개 사찰중 하나로 많은 승군을 두고 보국문일대의 산성수비역활를 하엿으며 , 19세기말 소실됨.
보국문입니다 . 오전10시29분-13시29분 =정확히 3시간후 다시왔습니다 . 성넘어 정능계곡길로 하산합니다 .
옹달샘 . 온도계 영하4도입니다 . 좀지나면 두번째샘 영천이 있습니다 .
넓적다리 갈림길입니다 . 위로 올라가면 넓적다리 와 와폭포가 있습니다 .
대성문 삼거리입니다 .
정릉탐방소 오늘 산행 끝입니다 .
마무리:(1)구간별소요시간 1구간 출발 -백운대 =4.3 K (07.36-09.31 )=1.55분 (예상시간 1.50분) 2구간 백운대-대남문 =5.4 K (09.31-10.49 )=1.18분 (예상시간 1.44분) 3구간 대남문-중성문 =6 K (10.49분-12.46)=1.57분 (예상시간2.12분) 4구간 중성문-정릉탐방소=5.7K (12.46분-14.10)=1.24분 (예상시간1.14분) 계 21.4 K 6.34분 (예상시간7시간)-26분
(2)디카 222-322 = 101장 중 49 장 누적산행 =1.620 11.813,6 K
(3)다음주 북한산씨리즈 ((9) 백화사-통제소-가사당암문-중성문-합수삼거리-부왕동암문-715.5봉-행궁지-북한산대피소-용암문통제소-백운교- 소귀천계곡-대동문-구천계곡-탐방지원쎈타. 거리: 19.2 K 예정시간:5.21분(기타시간30분포함)
탐방소 바로밑 버스종점 에서 , 뜨거운 국물에 곡차한잔으로 오늘의 피로를 맑끔이 씻고 버스에 오릅니다 . 버스110A- 3호선 길음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