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7.10(일) = 서울근교 = 토성,산성 어울길
토성산성 어울길은 , 몽촌토성과 성내천을 연계하여 남한산성 길을 어우르는 말입니다 .
코스개요 .
1 - 1 코스 = 몽촌토성역, 평화의 광장 - 0.5 - 곰말다리 - 1.3 - 움집터 - 0.9 - 몽촌역사관 - 1.2 - 만남의광장 - 0.3 - 올림픽공원역 = 4.2 K
1 - 2 코스 = 올림픽역입구 -0.3 -성내천둔치 -2.5 -성내천 복개로 - 0.5 -마천시장 - 0.9 -마천역 =4.3 K (0.1 K의 오차)
2 - 1 코스 = 마천역 -1.0 -만남의광장 - 0.8 - 산성등산로 입구 - 0.5 - 남한천약수 - 1.9 - 남한산성 서암문,수어장대 - 0.5 - 서문 = 4.7 K
2 - 2 코스 = 서문(우익문) - 0.6 - 북문(전승문) - 1.0 - 동장대터 -0.8 - 벌봉(봉암성) - 1.6 - 장경사신지옹성 -1.2 -동문(좌익문) = 5.2 K
2 - 3 코스 = 동문(좌익문) -1.1 - 남옹성 - 1.1 - 남문(지화문) - 0.9 - 종로 로타리- 남한산성 행궁 = 3.1 K
계 = 거리 : 21.5 K 소요시간 : 9시간30분 (1 - 1코스 ~ 2 - 2코스 각 2시간 , 2 - 3 코스 1시간30분 )
예상 소요시간 : 보통 약 6.00 시간 ~ 7.00 시간 .
실제소요시간 : 1코스 = 1.04분 2코스 = 0.25분 3코스 = 1.32분(식사시간26분포함) 4코스 = 1.32분 5코스 = 38분 = 총계 5.11분
총시간 5시간11분(식사 26분 + 간식10분 = 36분 포함)
참고 : 역 코스로 , 남한산성 종로 노타리(행궁)에서 남문 - 남장대 - 동문 - 동장대 - 봉암성(벌봉) - 서문 - 수어장대 - 남한천 - 만남의광장
- 마천시장 - 성내천 - 올림픽공원 탐방이 더 좋은 코스가 아닐까 생각 됩니다 .
토성 산성길 전체도 .
1 - 1 몽촌토성 상세도 .
1 - 1 , 1 - 2 상세도.
2 - 1 , 2 - 2 , 2 - 3, 코스 상세도 .
남한산성 일주 상세도 .
지하철 8호선 , 몽촌토성역 1번출구 나오면 , 올림픽공원 평화의 문 .
여기서 부터 토성산성 어울길은 시작됩니다 . 출발시간 : 10.01분 52" .
88올림픽 의 성화는 영원히 타오르고 ,,,,,
88올림픽 참가국 국기 계양대.
곰말다리 . 몽촌은 꿈마을 이며 , 꿈마을은 곰말의 옛말 입니다 . 토성 안에 있던 옛마을 곰말을 (꿈마을) 딴 이름.
음악 분수대가 있는 몽촌해자 .
몽촌 토성길 입니다 .
국가사적297호. 몽촌토성 정상 장군대 . 몽촌토성에서 제일 높은 위치에 있으며, 높게 단을 쌓아 지휘대로 사용한듯 .
현재는 체육시설물이 있습니다 .
몽촌토성 위에서 바라본 잠실지역 , 인공적인 해자는 자연상태의 성내천과 연결이 되여 있습니다 .
움집터 . 몽촌토성 내에서 발견된 움집터와 저장 구덩이 들이 발견 당시의 원형으로 보존되고 있습니다 .
그외 토기류와 철제무기및 뼈로 만든 갑옷등의 유물도 발견된 것으로보아 군사적 요세인 것으로 추정합니다 .
표고 44.8 M 인 몽촌토성은 둘레 2340 M의 자연 구릉을 이용하여 , 둘래에 해자를 파고 목책을 세워 방어를 위한 ,
3세기경 백제의 고대국가 터전으로 북쪽의 침공을 대비해 쌓은 토성 .
토성둘레길 2340 M 중 , 화면에 보이는 길 을 제외한 약 2 K를 돌아 왔습니다 .
몽촌역사관 .
몽촌토성과 석촌토성에서 발굴된 토기와 철기 , 청동기 , 석기 유물과 함께 ,
한강 유역에서 발견된 선사시대 주거지 , 구석기 시대에서 철기시대 의 진화과정 등 ,
백제시대의 고분군 , 몽촌토성 등의 모형등이 전시되여 있습니다 .
더불어 한성백제인의 주거 양식인 움집터 , 저장구덩이 등도 전시되여 있습니다 .
까치다리를 스치고 정자를 지나면 88호수 전경 입니다 . 수상에 조형물은 작품 날개짓 입니다 .
까치다리로 연결된 해자는 , 성내천과 곰말다리로 연결 ,몽촌 해자와 이어집니다 .
88 잔듸 마당 공연장 .
한얼광장 에 설치된 , 88올림픽을 기념하는 대표적인 조형물로서 , 비상하는 백조처럼 도약하는 인류를 연상 합니다 .
(88올림픽을 기념하는 가장 대표적인 조형물로서 , 이탈리아 스타치올리 , 마우로 의 작품입니다 )
한얼교 뒤로 올림픽 아파트 , 배경은 남한산성 입니다 .
만남의 광장 끝에서 좌측 계단으로 내리면 ,성내천 둔치와 만남니다 .
두개의 다리와 만나는데 , 오륜교 와 뒤에 성내교 입니다 . 성내천 송파 소리길을 따라 올라 갑니다 .
장마중 탁한 물길을 보입니다 .
생태계가 살아 있는 여울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
전국 28.875개의 하천에서 , 한국의 아름다운 하천 100선에 선정된 성내천 입니다 .
송파 워터웨이 . 복개 지점 입니다 . 지금은 남한산성에서 내려온 자연수가 흐르고 있습니다 .
복개천을 잠시 오르면 ,
마천중앙 재래시장 입니다 . 1968 년부터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마천시장은 지역민 들이 애용하는 젓줄과도 같은 시장 입니다 .
값도 싸고 , 품질도 좋고 , 규모도 크고 , 인심도 좋은 시장입니다 . 올때 갈때 먹을 거리도 푸짐합니다 .
마천역을 거쳐도 좋고 , 복개천 따라 대로를 따라 가도 좋습니다 .
마천삼거리 느티나무 앞 . 만남의 광장 입니다 .
여기서 식사한 후 , 남한산성 2 코스로 진입 합니다 .
남한산성 등산로 입구 . 산불초소 와 화장실 삼거리 입니다 .
토성 산성 어울길 안내도 . 우측 계단으로 진행 ,,,,,
첫번째 삼거리에서 , 우측 유일천 방향으로 진행 합니다 .
호국사 0.6 K . 유일천0.1 K . 일장천0.3 K . 수어장대1.4 K .
산성내에 있는 거리표시는 참고만 합니다 .
유일천 입구 .
장맛비로 계곡마다 물소리가 요란 합니다 .
일장천 약수터 .
일자산에서 청량산으로 이어지는 능선 등성이 사거리 입니다 .
좌측 능선길은 급경사도 산행길 입니다 . 직진 남한천 방향으로 진행 합니다 .
남한천 체육시설 입구 . 돌탑 한분의 작품 입니다 .
남한천 약수터 . 여름에는 어름처럼 차가웁고 겨울에는 미지근한 생수 입니다 . 음용수로 합격된 생수 입니다 .
능선 삼거리 . 좌측 능선을 따라 오름입니다 .
오름은 계속 됩니다 .
서 암문 입니다 . 수어장대 와 청량산 삼각점이 이부근에 있습니다 .
▲ 수어장대 . 지휘와 관측을 위한 군사적 목적으로 지은 누각입니다 .
남한산성에 있는 5개의장대중 (남장대, 동장대 , 북장대 , 서장대 , 수어장대)유일하게 남아있는 가장화려하고 웅장한 건물입니다 .
인조2년 단층으로 서장대라 불리던것을 , 영조27년 2층으로 다시짓고 수어장대라는 편액을 달았습니다 .
성의 핵심적인 위치에 있으며 유사시 행궁이 있는 임금을 수호하는 장대입니다 .
수어장대 2층내부에는 "무망루"라는 편액이 있는데 , 병자호란때 인조가 격은 시련과 8년간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갔다가 귀국하여 , 북벌을 이루지 못하고 승하한 효종의 원한을 잊지말자는 뜻에서 영조가 지은것입니다 .
현재 "무망루" 편액은 수어장대 오른쪽에 보호각을 지어 , 많은사람들이 볼수 있도록 보관하고 있읍니다 .
▲ 우측 모서리에 매바위가 있고 , 중앙 향나무뒤에 "무망루"보호각이 있습니다 .
⊙ 수어장대 서쪽에 , 구소삼각점(舊小三角點)이 있습니다 .
탁지부 측량 소삼각점(度支部 測量 小三角點)은 대한제국 말기(1908 - 1910년초) 탁지부에서
전국 최초로 경기도와 경상북도 일부 지역에 , 지적 세부측량 의 기준이 되는 三角點을 설치
하였습니다 .
그후 일제가 한반도에 설치한 三角點과 구별하기 위하여 , 구소삼각점(舊小三角點) 장대(將坮)라고 하며 , 삼각점 으로는 최초로 향토문화유산 기념물 제7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습니다 .
머리부분에 " + "자가 새겨져있고 모서리에는 " 탁지부"라고 음각되여 있습니다 .
소재 :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815 - 1(수어장대 서쪽 단위에 설치되여 있음)
위도 : 37도 20'37"445
경도 : 127도 10'32"180
해발고도 : 495.3 M
전국에 10 여점 만이 남아있어 지적사적 측면에서 매우 귀중항 유물 입니다 .
수어장대 밑에있는 장군대, 성 모서리에 청량산 삼각점이 있습니다 .
수어장대 입구 이정표. 서문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
서문 쉼터 .
토성산성 어울길 표시판 .
서문 (우익문 )
현재 작성중 완성후에 보세요.
현재 연주봉 옹성과 암문은 보수중 입니다 .
이러한 산성 어울길 안내표시판도 있습니다 .
북문(전승문) 문루위로 통과합니다 .
한사람이 쌓은 돌탑입니다 . 대단한 공덕이지요 . 상단부분은 몰상식한 사람에 의하여 훼손된 상태입니다 .
제3 암문 동장대 암문 .
벌봉과 한봉으로 통하는 제12암문 봉암성 암문을 통과한후 뒤돌아봅니다 .
하남 위례길과 만나는길 . 위례길은 서문까지 겹쳐집니다 .
봉암성에서 고골로 통하는 제13 암문. 이 암문 우측성을 따라 올라가면 봉암성에서 제일높은 벌봉(515)봉암봉 입니다 .
지금은 고골하면 , 춘궁동 일대를 가리키는듯 합니다 .
벌봉(515) 또는 봉암봉 정상부분 일부의 모습.
정상밑에 있는 봉암산성 신축비 .
신축비를 따라 성벽을 타고 내려가면 , 외동장대터 표지석 . 여기서 약20여 M 아래에 암문이 하나 있는데 ,
이것이 14암문 챙성암문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
제14암문 의 모습입니다 . 외동장대 부근에 있어 외동장대암문 이라고 부르기로 합니다 .
챙성암문 이정표 . (실은 이곳에 암문은 없습니다 )
* 봉암성에서 한봉성으로 이어지는 제15 암문이( 바로밑에) 있는 지점으로 , 약간 돌출된 성벽의 일부가 무너져 있고 무너진 성벽을 통하여 ,
엄미리, 은고개로 왕래하며 , 서울강동남 16산 산행로 통로가 된곳입니다 .
( 다수의 16산 기록지에는, 이곳이 고도 515 M 표시되고 , 이는 봉암봉 고도의 오기인듯 합니다)
* 2005년도 전후까지 이정표에 챙성암문 이라고 써놓은 글을보고 - 그후 나는 이곳을 챙성암문터로 표시하는 우를 범했습니다 .
2011.02.20일 남한산성 탐방기록을 올리면서 조사한바로는 , 무너진 성벽에는 암문자리가 없고 , 챙성암문은 제14암문 (외동장대 암문)
이라고 생각하고 , 이후로는 이지점을 "무너진성터 이정표" 라고 부르기로 합니다 .
이곳 바로밑에 한봉으로 나가는 제15암문이 있습니다 .
무너진 성터 이정표 삼거리 . (벌봉 0.4 K ) (한봉1 K )
한봉으로 통하는 제15 암문 입니다 . 암문 우측으로 2기의 포대가 보입니다 .
포대의 모습.
포대의 모습.
포대 뒤에 위치한 우측 옹치의 모습이지만 잘못 보수된듯 합니다 .
포대와 옹치를 지나서 , 옹치를 지휘대에서 바라봅니다 . 포대의 방향은 한봉쪽 입니다 .
한봉 갈림길 이정표 . 외동장대 부근에 있습니다 .
동장대와 제12봉암성 암문 . 다시 제3 동장대 암문을 통해서 산성으로 진입합니다 .
산성내 동장대터 입니다 . 산성을 따라 갑니다 .
제2 장경사 암문 .
장경사 신지옹성 입니다 . 끝 돌출부위에 2기의 포대가 있고 각각 한봉과 계곡을 향하고 있습니다 .
유일하게 옹치가 없는 옹성으로 , 성에서 한봉을 봅니다 .
장경사 .
장경사 수구통 . 수구문이 아닌 수구통으로는 성내에서 제일큰 수구 입니다 .
제1암문 장경사 암문으로 , 지형상으로 수구도 겸하고 있습니다 . 암문의 번호는 관리번호로 이곳부터 시계반대반향으로 붙혀집니다 .
성벽 여장밑에 설치된 2기의 포대 , 한봉성을 향하고 있으며 필요에 의해서 급히 축조된듯 , 산성에서 유일하게 포대만 있는 곳입니다 .
포구에서 바라보는 한봉입니다 .
포대를 지나며 바라본 , 남장대 방향입니다 .
송암정터 .
동문(좌익문).
제11동암문 .
남장대 올라가는길 .
제10 암문 .
제9암문 . 제3 남옹성 통문.
남장대터 앞에 있는 제2 남옹치.
남장대터 이정표.
제8암문 남옹성 주통로 .
남문(지화문) 성루.
남문아래 음식점 안에있는 돌탑. 지극한 정성입니다 .
남문앞.
토성산성 어울길은 여기서 성벽길을 벗어나 , 성안의 중심마을인 종로로 내려갑니다 .
산성 안내도 .
산성 안내도 .
터널삼거리를 지나 .
산성 중심지역인 종로 로타리 이정표 . (남한산성 행궁 0.4 K . 실거리는 약 200 M 이내입니다 )
토성산성 어울길은 종로 - 행궁에서 마무리 됩니다 . 바로 위에 보이는 행궁은 "현재 보수중 , 출입통제" .
종로에서 마무리하며 ,
코스별 거리및 소요시간 안내.
1 - 1코스 = 몽촌토성(평화의문 ) - 올림픽공원역 = 4.2 K 오전10시01분 52" - 오전11시05분0" = 1시간04분
1 - 2코스 = 성내천 - 마천역 = 4.3 K 오전11시05분 - 오전11시30분 = 25분
2 - 1코스 = 마천역 - 남한산성 우익문 (서문) = 4.7 K 오전 11시30분01" - 오후13시02분57"= 1시간32분 (식사시간26분 포함)
2 - 2코스 = 남한산성 우익문 (서문) - 좌익문(동문) = 5.2 K 오후 13시02분57" - 오후14시34분17"= 1시간32분 (간식시간10분 포함)
2 - 3코스 = 좌익문(동문) - 남한산성 행궁 = 3.1 K 오후14시34분17" - 오후15시12분 = 38분
계 = 21.5 K (오전 10시01분52" - 오후15시12분) = 5시간11분 (기타시간 36분 포함)
토성산성 어울길은 남한산성 행궁에서 끝이나지만 , 나의 산행은 마천동 까지 계속됩니다 .
산성 로타리에서 간단하게 하산주겸 식사를 하고 , 국청사 방향으로 ,,,,,
효자우물에서 물 한컵하고 ,,,,,
효자우물 .
국청사 지나서 ,,,,,
대웅전.
삼성각 .
국청사 연혁 .
서문을 지나서 ,,,,,
호국사 지나 - 만남의 광장에서 총 마무리 합니다 .
총거리 = 21.5 K + 3.6 K = 25.1 K 이며 , 총 시간은 6시간25분 (기타시간 36분 포함) 약 75%의 산행 입니다 .
l s m 37 산행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