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3.08 (토) = 불랙야크 57 , 58 산 = 충북 청화산 , 구병산 .
누구와 :불랙야크 박원근 경기셀파님 일행들과 .
산행지 : 충북 청화산(970) , 구병산(876) , 2개산 산행 .
산행코스 : 청화산 : 늘재(백두대간) - 기원단 - 암봉 - 헬기장 - 청화산 정상 인증 - 암봉 - 늘재 -
어머니 사랑동산(버스) 하산지점 .
구병산 : 구병리 마을 - 동굴풍혈 - 능선 만남 - 쌀개봉 - 구병상정상 인증 - 위성지국 갈림 -
853봉 - 현위치 구병 01 - 11지점 - 구병 01 - 10지점 안부 구병리 갈림 - 식수 -
현위치 구병 05 - 04지점 - 구병산 1,2,코스 갈림 - 그병산 등산안내도 , 하산지점 .
산행거리 : 청화산 : 5.2 k + 0.2 k = 계 5.4 k k . 구간거리 생략 .
구병상 : 5.8 k .
구간거리 : 구병리마을 - 1.2 k + (동굴풍혈 0.3 k)- 능선 삼거리(06 - 11 지점) - 0.8 K -
구병상정상 - 1.3 k - 안부 구병리갈림 - 2.2 k - 구병마을 등산안내도(하산
지점 버스 = 5.8 k .
산행시간 : 청화산 : 10.20분01" - 12.15분27" = 1.55분 (기타시간 8분포함)
구병산 : 13.56분36" - 15.49분17" = 1.53분 = (기타시간 7분 포함)
날 씨 : 구름있음 . 영상의 날씨 . 바람없음 . 아이젠 불요 .
기 타 : 디카정시 . 디카번호 5627 - 5770 = 144장중 약 30장 + 55장 = 85장으로 구성 .
불랙야크 2개산(57 , 58 산) 연계산행 . 토탈거리 11.2 k = 토탈시간 3.48 분(기타시간 15분 포함)
백두대간 눌재 . (상주시 화북면장암리) 어머니 사랑동산에(992번도) 도착 .
각자 산행준비를 하고 , 약100여 m 늘재로 ,,,,,
어머니 의 사랑 .
기다리는 어머니 오직 자식 잘 되기만 바라고 기다리는 우리 어머니 그 크고 깊은 사랑이여 ,
( 눌재 어머니 사랑 동산에 있는 돌에 새겨진 시 )
눌재에서 산행시작 합니다 . (청화산 2.6 k ) (문장대 5.8 k )
백두대간 눌재 .
눌재는 백두대간 종주 11 - 12 구간 접목지점이며 ,
남서방향 보은으로 관음봉(985) , 문수봉 - 비로봉(1032) - 천황봉(1057.7)으로 이어지고 ,
북 방향으로는 문경으로 청화산(970) - 갓바위재(769) - 조항산(961.2) - 대야산 - 장성봉으로 이어진다 ,
또한 , 백두대간 눌재는 양대강의 분수령이다 . ( 포장도는 992번도로 )
눌재를 분수령으로 남쪽으로는 낙동강의 원류를 이루고 , 북쪽으로는 한강의 원류를 형성한다 .
강의 원류따라 개통된 도로는 동남으로 영호남 서북으로는 충정도와 서울로 통하는 장정의 기점이며 ,
고대에 신라와 백제의 국경으로 각축장이 였다 .
성황당 .
백두대간 상의 눌재에 옛부터 당이 있었으니 백두대간 성황당 이다 .
우리나라의 당은 탑의 신앙과(불교) 산신신앙(토속)이 결합한 서낭신앙에서 유래하며 ,
옛 삼국시대 때는 힁액 질병을 막고 길손들의 무사안녕을 기원하는 민속토속 신앙이였으며 ,
조선조에 이르러 동제로 발전하여 오다가 ,
잦은 국난을 당하며 개인은 물론 국태민안을 위한 성황신으로 승화되여 왔다 .
이성황당은 100여년전 전상석 처사가 우국일념으로 지성기도하는 성황당으로 창건 하였다 .
백두산 큰산맥이 동으로 뻗어와서 금강상 먼저서고 속리산 뒤에섯네 .
미룩관음 양봉 높아 자비세계 너그럽고 , 충청 경상도의 경계한산 장엄 하도다 .
산행 들머리 . 나도 중간쯤에서 동참한다 .
거리표 . (눌재 0.4 k ) (청화산 정상 2.4 k )
구간 거리표시에 오차가 있네요 . 참고만 합니다 .
청화(청국) 기도원 초석 바위 .
청국 기원단 . 조망이 좋은 장소 입니다 .
속리산 을 배경으로 셀프사진 .
기원단에서 바라본 서남방향 에 백두대간상 의 속리산 능선을 조망 합니다 .
좌로부터 , 천황봉 , 비로봉 , 입석대 - 신선대 - 문수봉 - 문장대 - 우측 맨 끝에 관음봉 .
중앙 신선대 밑 작은능선 줄기에 , 소나무 뒤 견훤산성이 있습니다 만 보이지 않습니다 .
기원단에서 잠시 오르면 , 바위위에 전망대가 있어 전망 합니다 .
눌재 윗 아래 마을 입니다 . 몇개의 소능선을 지나고 헬기장을 지나면 ,
청화산 정상 입니다 . (눌재 2.6 k ) (조항산 4.2 k ) 대간길은 조항산 으로 이어지고 ,,,,,
정상(970)에 먼저오신 일행들 인증중 입니다 .
잠시후 나도 인증을 하고 ,,,,,
셀프 인증도 합니다 .
남쪽방향에 있는 계란바위 입니다 . 둥굴 둥굴 한 바위가 몇개 합처져 보입니다 .
윗늘터 마을 , 대간길은 흐미하게 조망되고 멀리 형제봉이 보입니다 .
정상을 떠나며 뒤 돌아 봅니다 .
헬기장에서 바라본 , 하산능선 길 입니다 . 중간에 암봉이 보이는데 오를때 우회하여 지나왔습니다 .
하산때는 올라보기로 합니다 .
암봉에 올라 뒤 돌아 봅니다 . 헬기장에 많은 사람들이 보입니다 .
암봉위는 그리 크지않고 ,
하산능선길을 보며 , 암봉 내려가는길은 오를때 본 리본으로 길이있으리라 봅니다 .
하산로 좌측에있는 원적사 가 보입니다 .
바위 전망대에서 , 속리산 백두대간 능선을 다시한번 조망합니다 .
전망대 바로밑에 로프지대가 있고 , 작은 바위 능선길을 우회하면 ,
기원단에 도착합니다 . 기원할것이 있다면 금년말 100산 산행 건강하게 하면 됩니다 . .
성황당 . 백두대간 표지석 . 눌재 .
늘고개 라고도 하며 이고개는 속리산과 청화산을 이어주는 순치의 사이에 있어 ,
경상 과 충청 의 경계이며 , 양강을 가르는 분수령 으로 요충인 동시에 영지 이기도 하다 .
하여 , 눌재에 셀프사진을 남긴다 .
눌재에서 약100 m쯤 내려와 있는 , 지구촌 어머니 사랑 동산 . 베낭을 내리고 동산을 거닌다 .
모든 회원님들 하산후 점심시간 이다 . 날씨가 춥지않아 좋다 .
여유있는 시간을 보내고 구병산으로 출발한다 .
구병리(九屛里) 마을 산행안내도 앞에 버스 도착 합니다 . (보은군 내속리면 구병리 윗멍어목이 마을)
각자 산행 준비를 하고 ,,,,,일부는 구병산 산행을 시작하고 ,,,,,
나도 산행에 참여한다 .
구병산 제1코스와 2코스 갈림길을 조금 지나며 , 능선으로 오르는 길에서 ,
(구병산 2 k ) (동굴풍열 0.7 k )
구병산에 는 몇군데의 풍혈이 있음을 본다 . 구병산 과 동굴풍혈은 지나가본 기억이 난다 .
모 산악회에서 중거리 코스산행으로 말이다 .
10분을 오르니 구병산 갈림길이다 .
구병산 1.3 k 지점 . 우측으로 빠지면 동굴풍혈 가는길 인듯 한데 표시판이 없다 . 산행로도 희미하다 .
산행 대장님이 풍혈 방향을 확인한다 . 우리나라에 3군데 만 있는 풍혈 꼭 보아야 한다 .
동굴 풍혈 가는길은 약간의 너덜길이다 . 너덜길 중간에 이러한 동굴이 보이고 일일히 확인해 본다 .
몇군데의 굴은 보지만 풍혈은 아니다 .
풍혈 가는길은 산행로가 희미하다 . 다행히 "서울 늘푸른 산악회(수 , 토 , 일) "에서 깔아놓은 표시가 있어
큰 도움이 된다 . 그 표시를 보며 따라간다 .
갈림길에서 13분후 , 동굴 풍혈을 본다 .
구병산 풍혈은 여름에는 냉풍이 겨울에는 훈풍이 솔솔 불어 나오는 신비스러운 대자연의 결정체로 ,
이곳 동굴형 풍혈과 정상부근에 몇개의풍형을 볼수있다 .
구병산 풍혈은 전북 진안군 대두산 풍혈과 울릉도 도동 풍혈과 더불어 ,
우리나라 3대 풍혈로서 그중 구병산 동굴 풍혈이 가장 크다 .
동굴형 풍혈 1 . 손을 넣어 본다 . 약간의 온도차만 느껴지는가 잘 몰으겠다 .
동굴형 풍혈 2 . 깊은 곳에서는 한혈로 나오면서 지표면에서 몇군대로 갈리는가 ? 가능성이 있다 .
동굴형 풍혈 3 . 풍혈중 가장크고 손을 넣어보니 온도차가 조금은 난다 .
지하에서 올라오는 습기있는 수증기가 외부온도를 만나며 싱싱한 푸른이끼에 결정체를 맽는다 .
손을 넣어본다 . 훈훈한 바람과 손가락 사이에 미세한 수분이 느껴진다 .
아하 ,,, 풍혈 푸른 이끼사이에 반짝이는것은 작은 물방울들 이다 .
여기서 나오는 풍혈은 느낄수 없을 정도로 미약하다 .
일본 북알프스 야리가다케 에서 상고지에 거의 다 내려 온 지점에 풍혈이 하나 있다 .
하산로 좌측 약1.50 cm높이에 아주 작은 풍혈이 있어 올라가서 손을 대어보았다 .
규모도 작거니와 실감이 나지 않았다 . 그에 비하면 구병리 풍혈 3 사진은 엄청 큰 편이다 .
풍혈의 생태현상에 대한 설명이 없어 궁굼하다 . 언제인가 알게되겠지 .
이곳 주변은 너덜지대 그리고 제법 큰바위 돌들이 많다 .
이 바위는 풍혈을 위에서 덥게처럼 씌우고 있는 바위다 .
여기서 부터 길이 보이지 않는다 . 갈잎사이 희미한 산행로를 따라 오른다 .
좌측 능선으로 비스듬이 오른다 .
능선위에 오르니 희미하지만 길이있다 . 너덜지대에 있는 바위와 한 형태의 바위다 .
이 갈림길은 , 동굴풍혈 갈림길에서 직진하여 오는길로 , 여기서 만난다 . 앞에 능선이 보인다 .
여기가 능선위 삼거리 , 현위치 구병 06 - 11 지점 이다 .
여기서 우측 으로 내려가는 길은 , 북쪽 서원리(삼가저수지)와 남서쪽 갈평리로 내려가는 길이며 , 그 중간 능선길(서쪽)은 백지마재로 가는 능선길이다 . 구병산 가는길목에 쌀개봉이 있다 .
능선위 지점 거리표 . (구병산 0.8 k ) (구병리 1.2 k ) (비룡땜 3.3 k ) (서원리 6.9 k )
북쪽 계곡을 보니 잔설이 남아있다 .
현위치 구병 06 - 12 지점 . 쌀개봉을 이루는 바위들이다 . 여기에도 풍혈이 있다 .
앞서가는 일행들이 보인다 .
풍혈이 있는 곳이다 .
정상부근에 있는 풍혈들 이다 .
이곳에도 두개가 보인다 .
쌀개봉을 지나고 다음 봉우리에 오르면 , 정상 오르기직전에 구병리 방향으로 하산로 우회길이 있다 .
우희길을 지나치면 바로 정상이다 .
구병산(876.5) 정상 . (구병리 2 k . 하산로 따라 거리가 다르다) (서원리 7.7 k ) (형제봉 9.2 k )
(853봉 1.1 k )하산은 853봉을 지나 구병산 신선봉 방향으로 진행한다 .
정상에서 바라본 지나온 능선길 . 앞에 쌀개봉을 지나왔다 . 백지마재 방향으로 가는 능선이다 .
정상에서 바라본 , 보은군 마노면 적암리 위성지국 .
정상에서 본 , 동쪽방향 853봉 ,구병산 신선대를 지나 상주군 화북면 봉황산(740.8)으로 가는 능선이다 .
하산은 853봉을 지나 신선대 병풍바위 못가서 안부에서 좌측 구병리로 하산한다 .
구병산(876.5)에서 인증사진 .
구병산은 속리산 정맥이 천황봉에서 남쪽으로 약8 k (직선거리) 꿈틀대며 뻗어 오다가 ,
창공으로 용트림하여 깍아 세운 듯한 9개의 절묘한 암봉이 구병산이 되니 ,
산세가 웅장 수려하고 , 동 서로 뻗으며 신선대 , 백운대 , 봉학대 , 노적봉 , 구병산 쌀개봉 등 9폭의 병풍을 펼쳐 놓은 듯한 절경을 이룬다 .
신선대를 전후하여 병풍바위의 위용을 볼수 있으나 오늘은 중간에 하산한다 .
구병산(九屛山)은 백운대 라고도 부르는가 .
구병산(九屛山)은 9개의 병풍산을 뜻한다 . 구병산은 주변에 있는 9개의 병풍처럼 생긴 바위봉 들을 모두 어우르는 산 이름인가 ?
구병산에서 셀프사진도 남긴다.
정상에서 바라본 지나온 능선길 . 앞에 쌀개봉을 지나왔다 . 백지마재 방향으로 가는 능선이다 .
다시한번 장쾌한 능선길을 조망하며 하산한다 . 하산은 암봉을 밧줄로 내려가는코스 , 또는우회로가 있다 .
나는 정상에서 약간 빽하는 우희길로 간다 .
위성지국 갈림삼거리 . (구병산 0.1 k ) (853봉 1 k ) (위성지국 2.6 k )
이 지점은 구병산 우회길 암봉 바로밑이다 . 우회하며 암봉으로 밧줄을 타고 오르는 산행인들을 보았다 .
앗차 , 몰으면 손해다 .
정상에서 밧줄타고 직행했어야 했다 . 100 m 를 우회하다니 ,기분이 조금은 우울해 진다 .
밧줄만 있으면 안전한 산행로가 되는것을 , 내가 좋와하는 산행로를 놓쳤다 .
지나며 구병산 남측 벼랑을 보니 나무가지 사이로 암벽이 병풍을 이루고 있다 . 밧줄타지 못한것이 아쉽다
현위치 구병 01 - 13 지점 이다 .
서울 늘푸른 산악회 로고 . 로고 를 보며 산행에 도움을 받는다 .
853봉 정상이다 . 구병산 신선대 병풍바위를 배경으로 ,
853봉에서 , 위성지국을 내려다 본다 .
853봉에서 , 배경은 지나온 구병산 정상이다 . 아직도 정상에는 여러 사람이 보인다 .
지나온 853봉 암봉이다 .
현위치 구병 01 - 11 지점 . (구병리 1.2 k )
여기서 구병리로 가는 급경사도 내려가는 길이 있다 . 그러나 통행의 흔적이 오래됐다 . 망서리는중 ,
마침 신선대에서 오는 분이 있어 물어보니 약100 m 지나서 구병리 하산로가 있다고 한다 .
100 m 를 더가니 , 현위치 구병 01 - 10 지점 안부 . (구병리 1.3 k . 등산 안내도에는 2.2 k 이다 )
안부에서 하산한다 . 하산길이 이상하다 . 길은 좋지 않고 능선 바로밑으로 간다 .
약100 m 가니 지나온 하산로에서 함께온 3분이 나보다 먼저 내려와서 앞서간다 .
바로 위에 지나온 하산지점이 보인다 . 나의 하산길은 신선대에서 구병리로 하산하는 지름길이 였다 .
결국은 200 m 는 빙 돌았다 .
현위치 구병 05 - 03 지점 . 앞서가는 3인의 속도가 빠르다 .
하산중 구병산 신선봉을 올려다 본다 . 남쪽에서 보는 신선봉은 별로이다 . 북쪽에서 보아야 한다 .
식수 . 하지만 물은 흐르지 않는다 .
현위치 구병 05 - 04 지점 .
앞서가는 젊은 분들 발걸음이 빠르다 . 길은 대각선 길이다 . 산갈대길도 지나고 ,,,,,
사진 한장 찍으면 멀직히 내려가 있다 .
시간은 남는데 , 나도 덩달아 빨라지는것 같다 .
구병리 마을이 보이고 ,
교회당 십자가 뒤로 바위산이 보이고 그밑에 오늘 하산주 예약된 장소가 있다 .
1코스 2코스 갈림길 . 1코스로 올라 2코스로 하산 한다 .
하산지점 버스가 보인다 .
버스앞 산행 종료한다 .
하산주 예약 식당은 조금 내려가야 한단다 .
구병산 안내도 .
1코스 구병리 - 구병산 = 2.3 k .
2코스 구병리 - 안부 = 2.2 k .
3코스 윗구병 - 참샘골 = 0.8 k .
4코스 구병리 - 보은 위성기지국 = 2.6 k .
5코스 구병리 - 안부 - 절터 - 적암휴게소 = 4.8 k .
6코스 구병리 - 신선대 - 절터 - 적암휴게소 = 5.5 k .
구간 거리는 이 지도를 참고한다 .
예약된 식당 이다 .
하산주 식사 중 .
송로주 공장이 바로 윗집이다 . 이곳은 송로주 시음장이다 . 송로주는 소나무 "송"자에 이슬"로" 자를 쓴다 .
하지만 이곳에서 담근 막걸리도 있다 .
맛을 보니 좋다 . 하여 두부전골에 이집에서 담근 막걸리로 하산주를 한다 . 가격도 저렴하다 .
함께 하산한 젊은 친구들과 하산주를 즐긴다 . 4인이 한 탁자이다 .
젊은 친구들 함께한 하산주 , 나는 큰 기쁨이였습니다 .
뒷산의 벼랑이 좋습니다 .
구병산골 가든 . 분위기도 좋습니다 . 가격도 저렴 합니다 . 추천 합니다 .
여기서 약50 m 아래에 버스 주차할수 있습니다 . 다음주에 만나요 .
l s m 3 7 산 행 이 상 목 감사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