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도

14.09.30 (화) = 한백팀 일반산행 = 경기연천,포천. 고대산 . 지장상 클린3차153,154 회 산행

lsm37 산행인 2014. 10. 1. 18:47

 

누구와 : 한백팀 . 홍성주 대장님 , 임상년 님 , 최희동 님 , 최윤락 님 , 나 5명 .

산행지 : 일반산행 = 경기 연천,포천 . 고대산(831.8) , 보개산(752) , 지장산(877.2) . 

산행코스 : 신탄리역 - 고대산 매표소 - 제2코스 - 말등바위 - 칼바위 - 대광봉 - 삼각봉 - 고대산 정상 -

                헬기장 - 보개산,헬기장 갈림 - 소나무 전망바위 - 삼각점 - 고개임도 - 갈림길 - 지장산 정상 -

                서봉 - 빽 - 지장산 - 갈림 - 화니봉갈림 -  수몰지역 이주단지 - 버스 종점 (음식점 정류장 )

산행거리 : 22.27 k (gps거리 임상녕 님) + 클린 10%추가 2.227 k = 계 24.497 k .

산행시간 : 09.03 분 23" - 18.17분42" = 9.11분56" (기타시간 포함 ) 

날   씨 : 구름약간 . 조망 있음 . 바람없음 . 산행하기 좋은 날씨 .

기   타 : * 디카정시 * 디카번호 3462 - 3647 = 186장중 실수로 끝부분 43장을 날리고 . 89장 올림 .

            * 클린 3차 고대산153회. 지장산 154회 . 산행거리 10% 추가 .

                           (전구간 , 많음 , 대2봉 만탕 , 하산주 식당에서 처리 )

기록분류 : 스크렙 25권 no 754번 . blog.daum.net/lsm37  가데고리 전체보기 .

               

신탄리역 . 경원선의 38이남 종착역 , 열차는 수복지구 백마고지역 까지 한정거장 더 간다 . 

 

5호선 , 7호선 , 도봉산 역에서 1호선 동두천 종점에서 경원선으로 갈아타고 왔다 .

옛 시골역의 향수를 불러온다 . 옛 시골역은 장날에만 붐빈다 .

 

금강산 과 원산으로 가는 길목 .

경원선 철도가 끊겨 있는 철도중단점 인 연천군 신탄리역에 ,

인접한 고대산(832)은 천혜의 자연경관 과 생태계가 잘 보존된 곳이다 .

산행을 하면서 북녘땅을 바라볼 수 있는 국내유일한 곳이다 .

 

고대산의 유래는 "큰고래"  즉 방고래 를 이르는 말이며  산의 골이 깊고 높아 고대산 이라고 한다 .

 

통일동산 앞에있는 매표소에서  고대산 가는 코스는 ,

1 코스 = 매표소 - 1코스입구 - 큰골 - 대광봉 - 삼각봉 - 정상 = 7.4 k (4.30분)

2 코스 = 매표소 - 2코스입구 - 말등바위 - 칼바위 - 삼각봉 - 정상 = 6.6 k (4시간)

3 코스 = 매표소 - 3코스입구 - 표법폭포 - 마여울 - 정상 = 7 k (4.20분) .

 

우리는 2코스로 간다 . 각자 산행준비 를 하고  나는 클린산행을 시작한다 .  

 

신개념의 방갈로 . 하루 이용료가 18만원 .

 

도로 양쪽으로 여러채가 보인다 .

 

제2등산로 입구 . 오늘 산행 거리는 약 20 k가 넘는다 .

 

홍성주 대장님 , 임상녕 님 , 최희동 님 , 최윤락 님 , 나  5 명이다 .

 

나무계단 길 지나니 바위길이 나온다 .

 

현위치 2 - 4 지점 . 말등바위 .

 

말등바위 .

 

멏군대의 나무 계단길이 나온다 .

 

잠시 쉬어간다 . 최희동 님 꼭 사과를 갖이고 온다 . 사과를 나누며 5 - 6 분 쉬어간다 .

 

칼바위 전망대 .

 

칼바위 전망대 에서 북녘땅을 조망 합니다 .

 

 

백마고지 , 봉래호 , 철원평야 , 월정리역 , 태봉국 도성지 , 평강역 , 노동당사 , 동성저수지 , 학저수지 ,

한탄강 등이 조망된다 .

 

개성 송악산도 보인다 하나 알수가 없다 .

 

방향만 어림해 본다 . 자세한 조망은 정상에서 보기로 한다 .

 

칼바위 등성 이다 .

 

올라간다 .

 

다시 이어진다 . 이 등성이를 칼바위라 한다 .

 

칼바위를 지나왔다 .

 

칼바위 등성위에 올라서 , 직선 으로 높은 단애를 이루고 있다 . 내려다 본다 . 아찔 하다 .

사진으로는 실감이 나지 않는다 . 뛰어 내리기 전에는 ,,,,,

 

단애 위에서  한발짝 뒤로 물러나서  조망한다 . 신탄리 역 마을이다 .

 

연천읍 일부지역이 보인다 .

 

현위치 2 - 5 칼바위 .     (정상 1.4 k )     (매표소 1.8 k )

현재  매표소에서 정상까지 반조금 지나왔다 . 하지만 현장에서본 거리는  어림도 없다 .

안내도는 실행과 오차가 많다 .

 

대광봉 가기전에 흔들바위가 있는데 , 흔들리지 않게 큰돌로 고여 놓았다 .

 

바위 전망대 . 이곳도 조망이 좋다 .

 

철원평야 북녘땅이다 .

 

조망중 이다 .

 

능선위 뽀죽한 봉우리가 만고봉 이다 .

 

대광봉 헬기장(800) .

제1코스와 만고봉에서 오르는 길목 이다 .

 

현위치 2 - 6 지점 대광봉(800) . ( 매표소 <1,2코스>2.7 k ) (고대산 0.5 k ) 거리표시는 참고만 한다 .

 

삼각봉 .     (2코스 매표소 2.9 k )      (대광봉 0.2 k )     (고대산 0.3 k )

이곳이 강원도 와 경기도 경계다 . 도계는 보개산 헬기장 까지 이어진다 . 

 

고대산 (831.8)정상 . 고대봉 전망대 .

고대산은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에 위치하며 , 산행이 허용된 산 가운데 북한과 가장 가까운 산에 속한다 .

 

고대산 의 특징으로는  현재 북한지역 (강원평강군 ,시천시 , 김화군)과 ,  한국전쟁 최대 격전지인 철의

삼각지대 백마고지 ,  궁예가 새 도읍지 주위에 쌓았다는 태봉국 도성지 등 역사의 현장을 한눈에 볼수있다 .

 

1. 백마고지(395) = 백마고지는 고대산 북쪽 약 7 k 지점 DMZ 내에 있다 . 심한포격 으로 파괴되어,

                           공중에서 보면 백마와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 1952년10월6 - 15일 사이 중공군 정

                           예부대 제38군이 , 국군 제9사단이 지키고 있는 395고지를 공격하며 , 

                           고지의 주인이 24회나 바뀔 정도로 혈전을 벌였던 곳이다 . 여기서 보니 동내 뒷산같다 .

2. 봉래호 = 강원도 평강군 에 위치한 봉래호는 면적4.78 KM 2 . 둘레 14.6 k . 길이 5.1 k . 평균너비 0.9 k 의

                           거대한 저수지 이다 . 

                           1923년 철원 평강 과  임진강의 지류인 역곡천 상류를 막아 건설한 관개용 저수지 이다 . 

3. 철원평야 = 보이는 들녘이 철원평야 .

4. 월정리역 = 강원도 철원읍에 위치한 경원선 종착역 으로  신탄리역과 함께 조국분단을 대표하는 역 이다 . 

5. 태봉국 도성지 = 신라말 서기901년 궁예가 천하를 통일하기 위해  태봉국을 창건하고 새도읍인 철원 주위

                            에 쌓은 도성지 .

6. 평강(평강역) = 철원군과 접한 평강군은 1943년을 기준으로 인구 7만4.924 명의 북한지역 이다 .

7. 노동당사 = 현위치에서는 산에가려 보이지 않는다 . 현재는 뼈대만 남아있다 .

                    노동당사는 1946년초 철원군 조선노동당 에서 시공하여 그해 말에 완공한 러시아식 건물로 ,

                    광복후 한국전쟁이 일어나기 까지 공산치하 에서 반공 활동을 하던 많은 사람들이 ,

                    이곳에 잡혀 고문과 무자비 한 학살을 당했다 .

8. 동송저수지 = 일명 강산저수지 라고도 하며 1977년 축조한 인공저수지로서 제방 연장 3 k 로 ,

                        단일 제방규모 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길다 . 

9. 학 저수지 = 동송읍 오독리에 있는 학 저수지는 1921년 일제가 설치한 것을 1975년 중앙농지 개량조합이 

                     보축 확장한 인공 저수지 이다 . 

10. 한탄강 = 길이 136 km인 한탄강 은 강원도 평강군에서 발원하여 김화 , 철원 , 포천을 지나 연천군에서 

                   임진강 과  합류한다 .

 

한반도의 중심 .

한반도 중심을 주장하는 지자체는 대략 4 - 5 곳이다 .

학자마다 기준이 달라  공식적으로 중심으로 확정된곳은 없다 .

그러나 연천군은 지적법에 근거한 중부 원점이 위치하고 있기때문에 법적 기반을 둔 한반도의 중심이다 .

동경 127.00.00 .  북위 38.00.00의 교차점 . 좌표의 원점은 지적법 제 33조에 명시되어 있다 .

 

북녘땅 과 DMZ  좌측 사진과 ,

 

다음 사진을 연결해서 보아야 한다 .

고대산 정상에 있던 부대가 , 아래 보이는 장소로 옮긴듯 , 정상에 있던 부대는 철수하였다 .

 

3장의 사진을 연결해서 보아야한다 . 철원 평야도 넓다 .

 

고대산 정상에서 .

 

조망중 이다 .

 

정상석에서 ,

 

정상에서 ,

 

정상에서 바라본 대광봉 과 삼각봉 .

 

나도 정상에서 , 오래간 만에 사진을 남긴다 .

 

클린산행 사진도 남긴다 .

여기서 부터 보개산 갈림 까지는 고금능선(고대산 - 금학산)따라 간다 .

 

출발에서 현재  4.5 k (임고문님 GPS) 왔으며  . 2.14분 소요됬다 .

앞으로 갈 지장산 까지는 8.2 k 남았다 . 지장산에서 버스 종점 까지는 9.62 k 가 남아있다 . 총계 22.27 k .

이 거리표 와 gps 거리와의 오차 0.05 k 는 지장산 8.2 k 안에서의 오차 이다 . 구간 거리표 비교적 정확하다 .

 

구헬기장 .      (지장산 7.7 k )     (고대산 430 m)

                     (지장산 <gps>가리 7.67 k)

 

소봉으로 위험지역 표시가 있다 .

 

소봉으로 위험지역 표시 지점 .

 

소봉으로 위험지역 표시 지점 .

 

소봉 .

 

촛대바위 .

 

소봉으로 위험지역 표시지점 .

 

보개산 갈림 헬기장(752) . 뒤돌아 지나온 능선길을 본다 . 고금능선 길이다 .

 

보개산 갈림 헬기장 . 만고봉을 본다 .

 

지도상에는 이곳이 보개산 으로 표기되어 있다 . 헬기징 갈림길 .     (지장봉 4 k )     (고대산 2.4 k )

이곳의 산행 거리표시는 신뢰할수 없어 무시한다 .

 

보개산 갈림 헬기장 . 금학산 을 본다 . 우리는 지장산 방향으로 간다 .

삼각봉 부터 경기도와 강원 도계 는 여기서 끝나고 , 도계는 금학산 방향 대소라치 까지간다 . 

 

소나무가 있는 쉼터  조망이 좋은 지점 이다 . 금학산을 본다 .

점심 식사시간이다 .

 

만고봉을 바라보며 식사중이다 . 식당밑 은 절벽이다 . 전망이 쉬원하고 살짝 바람도 불어준다 .

식사는 꿀맛이다 . 나는 산행일 아침은 항상 공복으로 속을 비워준다 .

여기서 쓰레기 봉지가 만탕이다 . 한봉지를 베낭에 짊어지고 두번째 봉지를 고리에 매 달고 출발한다 .

 

삼각점이(675) 있다 . 출발지점 9.02 k 지점이다 . 오늘 산행 거리중 절반도 못 왔다 .

 

삼각점 (639)봉 . 능선이 갈리는 지점 이다 .

 

임도 갈림길(528) .     (고대산 6.4 k )     (지장산1.8 k )     (철원상노리 방향)갈림길

 

여기서 지장산 1.8 k 는 고도 350을 치고 올라가야 한다 .

 

임도 고개에서 지장산 오르는 계단길 . 가파른 고도 오름길 1.8 k는 길고 지루하다 .

 

쉬엄 쉬엄 가기로 한다 .

 

잠시 휴식중 이다 .

 

지장산 정상방향을  바라본다 . 정상은 한참 넘어에 있다 . 단풍이 들기 시작한다 .

 

일부분 물들기 시작한다 .

 

보개산 갈림길 .     (고대산 8.01 k )     (지장봉 190 m )     (지도상 보개산은 동쪽 400 m 지점에 위치한다)

반대에서 오는 일행들과 조우 한다 . 승용차로 이동하는 산행인 들이다 .

고대산에서 왔다니 놀란다 . 우리는 아직도 10 k 는 더 가야한다 .

 

지장봉(877.2)정상이다 .

지나온 길을 뒤 돌아본다 . 멀리 대광봉이 보이고 , 우측 큰 봉우리가 금학산 이다 .

 

정상에서 최희동 님 .     (화인봉 0.7 k )

 

정상에서 ,,,,,

 

정상에서 ,,,,,

 

나도 정상에서 인증을 한다 .

지장산은 연천군 신서면 내산리 와 포천시 관인면 중리를 경계로 하여 ,

해발 877.2 m 선상에 있는 보개산의 최고 봉이다 .

 

보개산은 원래 영주산 인데 , 조선초기 흥림사(심원사)의 무학대사가 주지 하면서 보개산 이라고 개칭하여 ,

지장봉 북쪽 보개산 과 남쪽 가치봉 을 기준선 으로 삼아 , 동쪽은 외보개(금학산 947)서쪽은 내보개라 한다 .

 

처음 지장봉의 이름은 환희봉 인데 ,

한국불교의 지장신앙의 본산지로 널리 알려진후 한말레 이르러 지장봉 으로 각인되었다 .

 

정상에서 서봉(870)을 본다 .

 

바로 앞에 화인봉(805)이 보인다 . 단풍이 들기 시작한다 .

 

화인봉 뒤로 , 멀리 소요산 북한산도 보인다 .

 

 최희동 님은 지장산을 지키고  일행은 서봉으로 간다 .

 

서봉(870) 전망대 .

1) 소요산   2) 마차산  3) 전곡읍  4) 성산  5) 감악산  6) 원신원사  7) 원심원사 부도  8) 절골입구

9) 내산리  10) 임진강 .

 

멀리 북한산을 배경으로  임상녕 님 .

 

소요산 , 마차산 , 감악산, 성산 . 성산은 가보지 못했다 .

 

원심원사 , 원심원사부도 , 절골입구 , 내산리 , 임진강 , 대광리 .

 

만고봉을 배경으로 홍성주 대장 님 .

 

고대산 과 지나온 능선길 , 우측에 금학산 . 그중간 골짜기로 철원평야가 보인다 .

 

고대산 금학산을 배경으로 임상녕 님 .

 

서봉에서 , 소요산 , 마차산 , 감악산 , 멀리 북한산도 바라본다 .

 

다시 지장산으로 가는길  단풍 과 ,,,,,

 

야생화를 본다 .

 

지장산 정상 원위치 한다 .

포천시의 케릭터 원시 와 미래의 상징물 . 고롱이 와 미롱이 .

 

고대산에서 모은 쓰레기는 베낭에 짊어지고 , 이후 또 한봉이 만탕이다 . 또 짊어져야 할판이다 .

이후의 사진 43장을 날려 버렸다 . 디카에 용량이 포화상태로 꾸미기가 되지 않아 나누어 꾸미는 과정에서 ,

잘못 삭제를 했다 . 쓰레기통을 뒤지고 난리를 첬지만 어느 공간으로 날아갔는지 알수가 없다 . 아쉽다 .

하지만 5분후 까맣게 잊어버린다 . 지난 일이다 . 소중한 미래가 기다리고 있다 .

 

이후 하산지점 까지 사진이 철새처럼 날아가 버렸다 .

환희봉 (784)입구 .     15.43분 .    환희봉 오르는 암릉은  직각으로된 바위 를 쇠로된 링 발판을 밟고

                                                 줄잡고 올라야 한다 .

000     (447) 지점 .     16.17분 .     너덜길로 급경사 길이다 .

000     (336) 지점 .     16.40분 .     너덜길은 계속된다 .

000     (286) 지점 .     17.24분 .     계곡이 보이는 지점이다 .

                                                 계곡에서 알탕을 한다 . 

중리 이주단지에 도착한다 . 아직도 3 k 이상 더가야 한다 .  

지장산 계곡 (140) .    17.43분43"   지도상에 계곡을 만난다 . 중리저수지가 시작된다 .

매표소 (137)             17.45분36"    매표소는 현재 폐쇄되 있다 .

벨리 낙시터 (126)      17.51분19"    중리 저수지 중간 지난 지점이다 .

구도로 갈림 (110)      17.57분22"    높게 새로 신설항 도로가 보인다 .

중리1교 (103)            18.01분40"   버스 다니는 대로를 만난다 . 대로를 따라 좌측으로 중리보건소가

                                                 보인다 . 중리마을에 버스 정류장이 있다 .

우리는 정류장이 아닌 식당으로 가는 길이다 . 식사는 막국수 와 만두국 뿐이다 .

전화로 식당에 예약을 하고 가는길이다 . 배고프고 술도 고프다 .

음식점 (122)에 도착   18.17분 42"  우선 막걸리와 맥주를 주문한다 .

 

즐거운 하산주로 산행의 피로를 푼다 . 새벽부터 김밥1줄 사과 반쪽  물반병으로 왔다 .

속을 비우면 배속이 쉬원하다 . 날씨가 덥지 않아서 땀은 별로 흘리지 않았다 .

(사진 이후의 기록은 임상녕 님 gps 기록을 다운 받아 작성한 것이다 ) 임상녕 님 감사합니다 . 

최희동 님도 gps 기록을 보내 왔다 . 감사합니다 .                                          

                                              l  s  m  3 7   산 행  이 상 목  감사합니다 .

 

lsm37 " 걸어서 지구한바퀴 40.120 k  산행 여정 "    

  시작 과 현재 .  2003.12.23 - 2014.9.말 현재 .

총 산행일 = 3.306회    총 산행거리 = 25.752.294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