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랙야크 100명산 .

14.10.11 (토) = 불랙야크86산 = 전남장성. 축령산(621.6)인증 및 클린3차164회 산행 .

lsm37 산행인 2014. 10. 13. 19:32

누구와 : 세르파 강인철 님과  " 나사산 " 회원님들과 함께 .

산행지 : 불랙야크 86산 . 전남장성 축령산(621.6) 크린 3차 164회 산행 .

산행코스 : 추암마을 주차장 - 안내센타(임종국 선생 기념비) - 건강습길 (축령산으로) - 정상 - 원두막(점심)

                - 금곡안내소(건강숲길 끝) -  하늘숲길 - 갈림 - 전망대 - 하늘바라기 쉼터  - 임도합류 - 임도따

                라 - 통나무 재료공사장 - 빽 - 임도따라 산소숲길 - 임종국 선생 수목장 입구 - 임도따라 - 숲내

                음 숲길 - 기념탑 - 숲내음숲길 - 대덕마을 갈림 - 임도따라 - 추암마을 추자장 (하산지점 )

산행거리 : 11.32 k (gps거리) + 클린산행 10%거리추가함 1.132 k = 계 12.452 k .

산행시간 : 10.42분28" - 15.47분30" = 5.05 분 (이동시간 3.45분 + 휴식시간 1.20분)

날   씨 : 맑음 . 낮 27도 . 바람없음 .

기   타 : * 디카정시 * 디카번호 3866 - 3989 = 124장중 .

            * 클린 3차164회 . 산행거리 10%추가함 . (전구간 . 많음 . 대1봉 중2봉 계3봉. 하산지점에서 처리?)

기록분류 : 스크렙25권 no 757번 .  blog.daum.net/lsm37  . 가데고리 전체보기 , 100명산 .

 

편백나무 숲길 안내도 .

                             

안내도 .

 

축령산 추암마을 주차장 도착 . 각자산행 준비를 하고  산행 시작합니다 .

 

최희동 님과 함께 .,,,,,

 

임도따라 기념탑으로 가는길 .

 

숲향을 느끼며 ,,,,,

 

어느듯 가을이 깊어가고 있습니다 .

 

축령산 안내도 .

 

안내센타 . 축령상 가는 건강습길 시작지점 입니다 . 좌측 방행입니다 .

 

안내센타 . 축령산 갈림길 . 바로옆에 공원이 보이고 기념비가 있습니다 .

 

전남장성군 서삼면 모암리 , 문암리 , 대덕리 , 추암리 일대에 조성된 상록수림대는 전국최대 조림성공지로 ,

애림가 고 춘원 임종국 선생님이 1956년 - 1976년(21년간) 전재산을 들여 .

편백나무 202 ha , 삼나무 87 ha 에 나무를 심어 50여년이 지난 지금은 ,

전국최대의 편백나무 삼나무 낙엽송등 , 총 373 ha 의 청정 상록 수림대를 이루고 있습니다 .

 

2000년 제1회 " 미래를 위하여 보전해야할 아름다운 숲 " 으로 정하고 ,

2002년 산림청에서 매수하여 국유림으로 경영 관리하며 ,

2010년 장성 치유의 숲 으로 조성하고 ,

2011년 " 장성 치유의 숲 "  각종  프로그램을 운영 관리하고 있습니다 .

 

애림가 한사람의 일생을 바친 노력으로 , 수많은 사람들에게 건강과 행복을 주는 큰 자원으로 자라났습니다 .

그공로가 인정되어 2001년에는 선생의 이름 석자가 숲의 명예의 전당에 헌정되었으며 ,

2005년에는 자신이 가꾼 숲으로 돌아와  " 산소숲길 " 헬기장옆에 수목장(1987년)이 되었습니다 .

 

오늘 나는 상록 수림대를 찾으며 , 그숲을 통해 얻은 행복에 임종국 선생님 께 감사하고 있습니다 .

 

장성 치유의 숲은  ?

국내최대의 편백숲이 지닌 의학적 치유기능을 통해  건강증진과 질병을 예방하고 ,

인간의 심신을 건강하게 하는 자영요법을 말합니다 .

 

여기서 부터 -  정상 - 금곡안내소 까지 2.3 k 는  건강 숲길 입니다 . (주차장 입구 0.6 k )

건강습길 은 축령산 주능선을 이어주는 숲길로 정상 전망대에서 편백숲을 한눈에 조망할수 있습니다 .

 

편백나무 , 삼나무 , 조림지 를 지나며 ,,,,,

 

정상에 도착합니다 .

 

정상에서 인증 사진을 찍고 ,,,,,

 

조망합니다 . 대덕마을  .

 

추암마을 조망합니다 .

 

팔각정 전망대에서 ,,,,,잠시후 최희동님을 만나 ,

 

최희동 님 .

 

열매의 이름은 모르지만  먹음직 스럽습니다 .

 

축령산에서 1 k 지나온 지점 . 산소숲길 갈림 .

원두막에서 쉬고 있는 여성들을 만나 맛있는 사과 한개 나눔을 받습니다 .

 

큰 바위를 돌아가니 ,,,,,

 

원주 원두막과 쉼터 . 점심을 먹고 가기로 합니다 .

잠시후 강 세르파님 일행들도 자리를 잡습니다 .

 

함께한 일행 입니다 . 여자 한분 과 함께 막걸리 한잔씩 나눕니다 .

산행중 에는 술을 먹지 않는데 , 오늘은 시간이 남아 늦장을 부립니다 .

 

여유있는 시간은 즐기며 ,,,,,

 

건강숲길 따라 금곡 안내소 가는길 ,,,,,

 

금곡 안내소 . 영화마을 갈림길  . 영화마을에서는 태백산맥과 내마음의 풍금 을 촬영한 마을입니다 .

강 세르파 님이 별(스타) 볼일이 없다하고 가지 말라고 해서 안 갑니다 .

 

금곡안내소 .

여기서 부터 하늘숲길(2.7 k ) . 편백나무 사이로 하늘을 바라보며  산림욕을 즐길수 있는 ,

하늘 바라기 쉼터가 있는 숲길 .

 

중간 중간에 원두막 쉼터가 있습니다 .

 

최희동 님

 

하늘숲길 . 2층 정자가 있어 올라가 조망합니다 . 모암저수지가 보입니다 .

 

최희동님도 흰봉지를 들고 있습니다 .

 

하늘바라기 쉼터 안내도 .

 

하늘숲길을 지나며 ,,,,,

 

편백나무의 숲향을 느끼며 조용히 허릿길을 돌아갑니다 .

 

하늘바라기 쉼터 .

하늘바라기 쉼터 는 편백나무 숲속 휴식공간 으로서 ,

등을 기대고 편안하게 앉아 주변경관과 하늘을 바라보며 휴식을 취할수 있는 산림욕 시설 입니다 .

편백나무숲 은 피톤치드를 내품어 심리적 안정과 피로희복을 축진 시켜줍니다 .

 

조용히 명상도 하며 , 숲의 향기 , 소리 , 음이온 , 경관을 머리속에 그리며 , 광선의 흐름도 느낌니다 .

 

숲이 주는 행복 입니다 .

 

 

여기서 임도를 만나고 , 하늘숲길은 지나왔습니다 .

 

주변은 아직도 공사중 입니다 . 임도를 따라 내려가면 모암마을 입니다 . 따라가면 알바 .

임도 따라 올라갑니다 .

 

주변의 숲을 봅니다 . 한사람의 선견지명 으로 조성한 거대한 숲 . 주변은 온통 편백나무 숲입니다 .

 

숲길을 따라 올라갑니다 .

 

잠시 가면 임도 삼거리 .

 

임도 삼거리 .우측길로 가면 금곡안내소가 지척 입니다 . 공사 현장이 있어 조금 더 올라가 봅니다 .

 

원목과 나무 자재 작업중 . 여기서 100 m 올라가면 금곡 안내소 . 빽 합니다 .

 

산소숲길 가는 길 .

 

산소숲길 .

이숲에서 가장큰 나무가 있습니다 . 그 나무의 가슴높이 지름은 58 cm .  재적은 3m2 입니다 .

가장큰 나무와 비교 한 도표 입니다 .

 

산소숲길 입구 . 우측으로 들어가면 임종국 선생님 수목장이 있습니다 .

 

이 나무가 숲에서 가장큰 나무 입니다 .

 

산소숲길 은 총 1.9 k 이며 , 치유필드 의 약용식품 등 다양한 수목과 장성 편백숲을 조림한 , 고 임종국 선생이 안장된 나무를 지나는 숲길 입니다 .

 

나무중에서 피톤치드를 제일 많이 품어내는 편백나무 . 숲향을 코끗에 느끼고  솔바람 불고 광선이 빛줄기를 세우고  저절로 잠이 옵니다 .

 

다시 임도를 따라 더 가면 ,

 

산소숲길 두번째 입구 .

 

외관으로 보면 삼나무와 편백나무가 비슷합니다 .

삼나무 는 8월에 꽃이피며 , 열매는 적갈색으로 10월에 익는다 .

목재는 제질이 좋와 건축 선박 가구재로 쓰인다 .

 

편백나무 는 4월에 꽃이 피며 암 수가 각각 다른 가지에 달린다 . 

 9 - 10월에 열매가 홍갈색으로 익는다 . 조림 수종 이다 .

 

쉬원한 식수 공급처 이다 . 냉 온수가 다 있다 . 나도 물 한잔을 한다 .

 

산림치드 필드 .

 

임도(8.5 k ) . 추암, 대덕마을에서   모암 , 금곡 4개 마을을 연결하는 편백숲의 중심길 .

 

 

 

 

 

 

 

숲내음숲길 (2.2 k ) 입구 .

편백칩 산책로와 함께 피톤치드가 가둑한 숲내음이 솔솔 풍기는 숲길 .

 

그 숲길을 가로 지르는 임도 .

 

숲해설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현장 학습중 ,,,,,

 

 

 

 

 

최고의 건강 산림치유 현장 .  숲은 우리의 몸을 건강하게 만들어 줍니다 .

산림치유는 숲의 다양한 환경요소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건강을 회복시키는 활동입니다 .

피톤치드 , 햇빛 , 옴이온 , 소리 , 경관 , 산소 , 자기성찰 , 명상 , 대화 등을 통해 , 연역력이 향상되고 질병이 예방됩니다 .

 

천연향균 물질인 피톤치드 는 편백나무 에서 가장 많이 발산되며 생활속 스트레스를 이곳에서 치유합니다 .

 

안내센타 . 축령산 가는 건강숲길  원위치 합니다 .

 

고 임종국 선행님 추모비가 있는 공원 .     (추암마을 1.6 k )     (대덕마을 3.7 k )     (금곡마을 4.2 k )

 

의외로 쓰레기가 많습니다 . 중봉지도 만탕 입니다 .

 

이곳에서 최희동 님을 기다리기로 합니다 .

점심때 먹던 막걸리 가 남았습니다 .

 

숲길 안내센타 . 이곳에서 39분을 기다리다가 남은 숲내음 숲길로 진행 합니다 .

 

숲내음 숲길로 ,,,,,

 

숲내음 숲길로 ,,,,, 

 

원두막 쉼터 .

 

숲내음 숲길로 ,,,,,

 

숲내음 숲길로 ,,,,,

 

숲내음 숲길로 ,,,,,      (추암마을 1.7 k )     (대덕마을 3.3 k )     (금곡마을 4.6 k )

 

임도 갈림 . 화장실이 있고  우측으로 가면 기념탑  좌측으로 내려 갑니다 .

 

추암숲길 삼거리 .  우측길로 내려갑니다 .

 

삼나무숲 . 편백나무 숲 .

 

추암마을 .

 

하산지점 버스가 보입니다 .

 

기념비에서 두봉지가 만탕 . 세봉지 검은 봉지 재활용하여 사용합니다 .

 

그동안 산행중 5섯번째로 많은 쓰레기 양 입니다 . 유리병이 없어 무게는 중간정도 입니다 .

산림청 숲길 안내셀파님께  하산주 신세를 젔습니다 . 하산주후 와보니 쓰레기 처리해주신분 감사합니다 . 

 

오늘의 산행지는 가족과 함께 1박2일로 여행겸 나드리 하면 좋은 장소 입니다 .

언젠가 가족과 함께 오고 십습니다 .  여러사람에게 추천 합니다 . 애림가 고 임종국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

편안하게 가이드 해주신 강인철 세르파 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리고 매번 고맙습니다 . 자주 뵙고 십습니다 .  

                                              l  s  m  3 7    산  행      이 상 목     감사합니다 .

 

 

lsm37 " 걸어서 지구한바퀴 40.120 k 산행 여정 "

시작 과 현재 .

2003.12.23 - 2014.9.말 현재 . 총 산행일 = 3.306회 홍 산행거리 = 25.752.294 k

 

10.01(수) 매일산행 남한산성 청량산 3 + 3 코스 = 7 k     (클린3차 155회)

10.02(목) 매일산행 남한산성 청량산 2 + 3 코스  = 7 k    (클린3차 156회)

10.03(금) 매일산행(외부 22회)        검단산     = 8.173 k (클린3차 157회)

10.04(토) 매일산행 남한산성 청량산 2 + 3 코스 =  7 k    (클린3차 158회)

10.05(일) 매일산행 남한산성 청량산 3 + 3 코스 = 6.3 k . 

10.06(월) 매일산행 남한산성 반종주 2 + 3 코스 = 10.5 k (클린3차 159회)

10.07(화) 매일산행 남한산성 반종주 1 + 3 코스 = 10.5 k (클린3차 160회) 

10.08(수) 매일산행 남한산성 반종주 3 + 3 코스 = 10.5 k (클린3차 161회) 

10.09(목) 매일산행 남한산성 반종주 2 + 3 코스 = 10.5 k (클린3차 162회) 

10.10(금) 기록산행 남한산성 반종두 2 + 3 코스 = 10.5 k (클린3차 163회) 

10.11(토) 일반산행 장성 축령 (불랙야크 86산)  =12.452 k (클린3차164회) 

10.12(일) 가족산행 아차산,용마산,망우산 산행 = 12.1 k  (클린3차 165회)

10.13(월) 매일산행 남한산성 반종주 2 + 3 코스 = 10.5 k  (클린3차 166회)  

10.14(화) 매일산행 남한산성 반종주 3 + 3 코스 = 10.5 k (클린3차  167회)

10.15(수) 일반산행 도봉산 (최광수,유정학)       = 9.207 k(클린3차 168회) 

10.17(금) 매일산행 남한산성 반종주 2 + 3 코스 = 10.5 k  (클린3차 169회)

10.18(토) 일반산행 관악산 산행 (나홀로)          =  10 k    (클린3차 170회) 

10.21(화) 일반산행 춘천 삼악산(불랙야크87산) = 9.031 k (클린3차 171회)

10.22(수) 매일산행 남한산성 반종주 2 + 3 코스 =   10.5 k (클린3차 172회)

10.23(목) 일반산행 도봉산 (최광수)                 = 12.727 k(클린3차 173회)

10.24(금) 매일산행 남한산성 청량산 2 + 3 코스  =   7 k    (클린3차 174회)

10.25(토) 일반산행 관악산 (삼토회)                  = 8.855 k (클린3차175회)

10.27(월) 매일산행 남한산성 반종주 2 + 3 코스  = 10.5 k  (클린3차 176회)

10.28(화) 일반산행 순천 강천산(불랙야크 88산) = 15.895 k(클린3차 177회)

10.29(수) 매일산행 남한산성 청량산 2 + 3 코스  =  6.2 k

10.30(목) 일반산행 영주 청량산(불랙야크 89산) = 11.374 k(클린3차 178회)

10.31(금) 매일산행 청량산 2 + 3 코스               =    7 k     (클린3차 179회)

 

 

기록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