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환종주 27개산 217.3 k 산행

15.02.07 (토) = 서울환종주 4차 (수서역 - 석수역) 5개산 연계산행 .

lsm37 산행인 2015. 2. 9. 13:14

누구와 : 나홀로 서울환종주 4차 연계산행 .

산행지 : 일반산행 . 대모산(293)구룡산(306)우면산(269)관악산(629)삼성산(481)연계산행 .

산행코스 : 수서역 6번출구 - 대모산 들머리 - 헌릉갈림 - 대모산 - 구룡산 - 염곡 4거리 - 우면산들머리 - 우면산 -

               남태령 - 선바위갈림 헬기장 - 관악산 - 학바위능선 - 무너미 - 삼성산 - 호암산 - 석수역 .

산행거리 : gps 거리 26.66 k .

산행시간 : gps 시간 05.54분57" - 15.44분48" = 9.49분51"(이동시간 : 8.55분31" + 휴식시간 : 54분20" = 9.49분)

날   씨 : 영하1도 ,낮 영상3-4도 . 습도 77% . 구름많음 . 바람없음 . 아이젠 불요 .

기   타 : 디카정시 . 디카번호 8433 - 8655 = 223장중 약120장으로 구성 .

기록분류 : 스크렙 27권 no 789번 . blog,daum.net/lsm37    전체보기 , 서울환중주 연계산행 .

 

* 서울환종주 1 - 4 차 코스는 , 서울강동남 16산 종주코스와 동일 합니다 .

  들 날머리 를 제외한 1 - 4 차 까지의 연계거리는 , 103.75 k 이며 , 전체 산행거리는 114.73 k 입니다 .

  (1차는 도상거리이며 , 2,3,4차는 gps 거리 입니다 )

* 구간거리는 ,

  1차 = 창마루 - 3.8 k - 검단산 - 4 k - 용마산 - 3.46 k - 은고개 - 3.9 k - 남한산 - 3.3 k - 서문 =        계 18.46 k .

  2차 = 서문 - 0.64 k - 청량산 - 2.45 k - 검단산 - 10.22 k - 영장산 - 8.33 k - 불곡산 - 5.14 k - 오리역 =계 26.78 k .

  3차 = 오리역 - 8.91 k - 광교산 - 1.84 k - 백운산 - 2.37 k - 바라산 - 9.48 k - 청계산매봉 - 7.6 k -인능산 - 4.29 k

         4.29 k - 대모산 갈림 =        계 34.49 k .

  4차 = 대모산갈림 - 0.66 k - 대모산 - 1.83 k - 구룡산 - 5.67 k - 우면산소망탑 - 7.16 k - 관악산 - 3.3 k - 삼성산 - 

         5.4 k - 석수역 =         계 24.02 k .

                                                    합 16개산  거리 계 103.75 k .

 

수서역 6번 출구 . 산행 시작합니다 . (gps 기준으로 기록 . 05.54분57" 산행출발)

수서역에서 100 m 지난지점에서 gps 접속 산행기록 시작됩니다 .

 

수서 대모산 산행 들머리 .

 

음12.19일 달이 나뭇가지 사이로 환하게 웃고 있다 . 달빛과 상관없이 렌턴없이 산행할수 있는 계절 입니다 .

 

궁마을 갈림 .     (수서역 1.4 k )     (대모산 1.45 k )     (궁마을 1.6 k )

들머리에서 1.81 k 지점(gps 거리) . 혈맥이 한순배 돌때쯤  외투를 벗고 산행은 계속됩니다 . 

 

몇개의 소능선을 넘으며 ,,,,,

 

헌릉 갈림길위 정자봉 .

 

서울 환종주 3차 갈림 . 3 - 4 차가 여기서 연결 됩니다 .

들머리에서 2.64 k 거리 지점 입니다 .

 

대모산(293) 정상 에서 셀프사진 .

 

대모산(293) 정상 . 들머리 3.3 k 지점 .

이산은 산모양이 늙은 할미와 같다하여 할미산으로 불리우다가 ,  태종의 헌릉을 모신후 어명으로 대모산으로 부른다 .

옛 구전에 의하면 , 산 모양이 여승의 앉은 모습과  또는 여자의 앞가슴 모양과 같다하여 대모산 이라는 설이 있다 .  

 

정상에 기원문이 많이 보인다 . 올라오며 두사람을 보았지만 정상에는 아무도 없다 . 달과 나 뿐이다 .

 

구룡마을 갈림 .     (구룡마을 0.52 k )     (대모산 1.28 k )     (구룡산 0.54 k )

 

구룡산 (306)정상 . 들머리에서 5.13 k 지점 . 날은 완전히 밝았다 .

 

구룡산 정상판 .

 

정상에서 조망한다 . 서울의 바뿐 일과가 시작되고 있다 .

 

산불초소 와 삼각판 전망대 .

 

산림재해방지 를 위한  산악기상 관측장비 .

 

서울둘레길 (117)갈림 .     (양재시민의숲 2.5 k )     (구룡산정상 1.2 k )     (한국연구재단 0.36 k )

들머리에서 6.42 k 지점 . 여기서 방향표시 없는 우측 지능선으로 하산한다 . 소비자보호원 방향이다 .

 

양재대로에 접하여 산행로를 뒤돌아본다 . CT 택시회사 와 소비자 보호원 앞을 지난다 .

 

염곡 4거리 . 앞에 AT 빌딩이 보인다 .

 

AT 빌딩을지나며 양재시민의 숲 4번출구 (신분당선)에 예방을 한다 .

 

 지하철 5 번출구로 나온다 . 근심거리는 조용히 처리한다 .

 

매헌 윤봉길 의사 기념관  .

 

더 - K 호텔 .안으로 .

 

시민의 숲으로 나온다 .

 

나무의 정열 .

 

무지개 다리 . 다리를 지나 우측에 있는 주유소옆에 우면산 들머리 . 

 

우면산 산행 들머리(LG 주유소옆) .

 

잣나무 숲속 독서하는 의자 와 정자가 있다 . 명상 장소이기도 하다 .

 

우면산 정상은 공군부대가 자리하고 , 소망탑(269)을 우면산 정상이라 한다 . 들머리에서 10.8 k 지점 .

 

우면산 포토 아일랜드  조망장소 . 하늘엔 구름이 많다 .

 

소망탑 앞에서 .오늘 산행을 즐기게 해달라고 한다 .

 

공군부대가 자리한 우면산정상이 바로100여 m 앞에 보인다 . 우회길은 한참을 돌아가야 한다 .

 

산사태가 난 지점 능선부분을 본다 .

 

산사태가 난 예술의 전당 아래를 본다 .

 

우면산 산 사태는 여러계곡에서 동시에 발생됐다 . 공군부대가 있는 능선위 부분 .

 

아랫 부분이다 .

 

우회길은 몇군대의 약수터와 운동시설이 있다 .

 

야생의 토끼 . 산객이 준 싱싱한 야채 . 토끼도 이곳이 식당인줄 알고 있다 .

 

부대정문(254) 앞 . 소망탑에서 우회하는데 1.06 k . 34분이 소요됐다 .

 

남태령 가는길 . 선바위 사당역 갈림길이다 .

 

남태령 가는길 . 헬기장 에서 관악산을 조망한다 .

 

남태령 . (조선시대의 옛길 이야기)

조선시대에도 전국을 연결하는 도로망이 있었습니다 .

1770년 신경준과 홍봉한이 영조의 명에 따라 편찬을 시작한 "중보 문헌비고" 에는 전국의 도로를 총 9개로 정리하고 ,

신경준의 "도로고"는 6개 , 김종호의 "대동지지"는 전국의 도로를 10개로 정리하고 있습니다 .

 

이들 도로는 의주로 가는 길을 첫번째 길로해서 시계방향으로 순서를 매겼는데 ,

중국과 통하는 의주대로 , 일본을 오가는 사신들이 이용했던 영남대로 , 한양과 삼남지방을 이었던 삼남대로 등이 대표적 입니다.

 

이 길들을 통해  한반도는 유라시아 대륙과 태평양을 잇는 가교역활을 수행했고 ,

조선시대 에는  마침내 동아시아 무역 네트워크 의 중심층으로 발돋움 할수 있었습니다 . 

 

남태령 . 고개 마루에 신호등이 있습니다 . 들머리에서 14.6 k 지점 입니다 .

건늘목에서 차량의 흐름을 보며 버튼을 누르면 30"후에 청색 신호가 나옵니다 .

 

우면산에서 관악산으로 연계되는 길은 , 남태령 으로 가는 길 , 과천방향 선바위역에서 가는길 , 사당역에서 가는길 ,

나는 주로 남태령 길을 선호 합니다 . 가장 빠른 길입니다 .

고개마루에서 과천방향 으로 약100 m 가면 산행로가 보입니다 .

 

조심해서 산행로를 따라가면 , 첫번째 봉우리에 오릅니다 . 요즈음은 통제구역으로 되여 있습니다 .

경고 표시를 보고 되 돌아가면 됩니다.

 

벙커가 있는 봉우리 .

 

벙커봉에서 바라본 관악산 . 지나갈 능선길이 잘 보입니다 .

 

지나온 길을 뒤 돌아봅니다 .

벙커봉이 보이고 , 남태령 지나서 우면산(군부대)이 보이고 , 염곡4거리 지나서 구룡산 대모산이 보입니다 .

우측 끝부분이 인능산 입니다 .

 

앞으로 갈길을 다시 봅니다 . 좌측능선이 선바위에서 오르는 능선길입니다 .

남태령 길과 선바위길은 두번째 봉우리에서 만나 끝봉 헬기장으로 갑니다 .

 

두사람이 힘을 합쳐 역경을 이겨나가는 모습을 닮았습니다 .

 

바위에 새겨진 부처님 모습인가요 . 반갑습니다 .

 

갈라진 바위 .

 

갈라진 바위의 뒷 모습입니다 .

 

드디어 헬기장 . 들머리에서 17.3 k 지점입니다 .

 

헬기장에서 정상을 조망합니다 .

 

과천 사당 산행로가 만나는 안부 . 토요일 산객들이 많습니다 .

 

관악문 으로 오르는길 .

 

관악문 . 순서를 기다려야 합니다 .

 

관악문을 통과하며  잽싸게 정상을 봅니다 .

 

뒷사람에게 양해를 구하고  관악문을 통해 정상을 봅니다.

 

지도바위 . 지도바위가 잘 보이는 위치가 있습니다 .

 

바위 사이로 kbs 송신탑 을 봅니다 .

 

괴물 바위 . 지나며 꼭 보고가는 반가운 바위들 입니다

 

횄불바위 .

 

암봉에 올라 뒤돌아 봅니다 . 관악문 바위입니다 .

 

정상으로 가는길 .

 

정성으로 가는길 .

 

 

높은 바위위에 한사람이 올라가 있습니다 .

 

이분들은 연주대에서 하산하는 중 입니다 .

밧줄을 잡고 오르며 계속 사진을 찍으며 가니 주위 사람들께 미안합니다 .

 

잠시 대기중 , 뒤돌아 지나온 길을 봅니다 .

 

지나온 헬기장 봉이 보입니다 .

좌측능선은 사당역으로 가는 능선길 . 헬기장 좌측뒤에 우면산이 보이고  멀리 구룡산 대모산이 보입니다 .

 

관악산에서 제일 높은 바위에 올라 , 시설물 , 용바위 , 기상대 , 송신탑 , 한눈에 보인다 .

 

수많은 사람들이 정상석 앞에 줄서 있다 . 나는 셀프로 한장하고 3분후 떠난다 .

 

관악산(629)정상을 떠나며 뒤 돌아본다 . 들머리에서 17.96 k 지점이다 .

 

용바위 와 기상대 송신탑 .

 

용바위 바라보는 장소가 있다 .

 

연주대 바라보는 전망대 . 이곳도 사람이 많다 .

 

정상 과 연주대 .

 

말바위 능선에 올라  출입금지 된 기상대를 본다 .

 

말바위 능선으로 가며 , 바위에 뿌리내린 소나무 . 강인한 생명력 이다 .

결과는 바위도 나무 뿌리에 뽀개진다 . 10년후 사진을 보면 확연이 알수있다 .

 

말바위 능선길 .

 

소머리바위가 있는 암봉 . 학바위 능선은 소머리 바위능선을 따라 내려간다 ..

 

깔딱고개가 내려다 보이는 지점 (609)에서 점심식사를 한다 .

단무지가 있는 김밥 , 뜨끈한 커피 , 과일 , 땀으로 빠진 만큼의 물 , 21분47"의 즐거운 식사시간이 된다 .

 

깔딱고개 . 수많은 산객들이 올라온다 .

 

삿갓승군 . 바위들의 모습이다 . 학바위 능선을 진행한다 .

 

학바위 태국기봉이 보이고 , 뒤에 뾰죽한 원삼성산 태국기봉 , 송신소가 있는 삼성산 이 조망된다 .

 

학바위 태국기봉 뒤에 수리봉 인가 .

 

학바위 능선상에 있는 학바위 . 뒤에 앞으로 지나갈 삼성산 이다 .

 

학바위 .

 

학바위 내려가는길 . 바짝 선 바위가 있다 . 힘이 넘친다 .

 

무너미(258) 고개 . 들머리에서 20.29 k 지점이다 .

 

삼성산 올라가는길 . 우측에 멋진 바위가 있다 . 저바위에 올라 서울대 를 바라보면 잘 보인다 .

 

송신탑이 있는 삼성산(481)정상 에서 셀프 사진 .

 

들머리에서 21.26 k 지점 이다 .

 

삼성산에서 바라본 관악산 .

 

삼성산에서 바라본 이무기바위 태국기봉 (앞줄). 뒷 능선이 칼바위 능선이다 .

 

삼성산에서 바라본다 . 원 삼성산 태국기봉과 태국기가 보인다 .

 

삼막사 서울대 갈림 .     (삼막사 0.5 k )     (호압사 2.2 k )     (무너미고개 1.4 k )

 

거북바위 .

 

이무기바위 태국기봉을 지나면 안부 . 깔딱고개 삼거리 . 장궁능선으로 진행한다 .

현위치 삼막사 5지점 .     (호수공원2.3 k . 서울대 3.5 k )      (삼막사 0.9 k . 삼성산 1.2 k )      (호압사 1.8 k )

 

찬우물 약수터 . 식수가 얼마없어 반병 채우려 하지만 사람들이 너무많어 통과한다 .

약수터 위에 장군봉이 있다 .

14.44분 , 민주동산 갈림길 . 14.48분. 호압사 갈림길 . 14.50분, 석수동 갈림길 .

 

석구상 . 영불사 기점 작은 언덕에 있다 .

이 석구상은 해태상으로 전하여 왔으나 , 석구상 남서쪽 50m지점의 한우물 조사 발굴때 ,

조선시대 쌓은 석축에서" 석구지 "(石狗池)라 음각된 장대석이 나왔고 ,

또 시흥읍지에 호암산 남쪽에 석견4두(石犬四頭)를 묻어 개와 가깝게 하고자 하였으며 ,

지금 현남7리에 사견우(四犬偶)가 있다라는 내용의 기록으로 , 석구상으로 판단되었다 .

 

북쪽을 바라보고 앉은 석구상 주위에는 자연암 네개가 있고 , 석구상은 사실적으로 조각되어 이목구비가 뚜렸하고 발과 꼬리도 잘 묘사되어 있다 . 

서울대학교 산행로 호수공원입구에 이 석구상 을 본뜬 석구상이 있다 . 생김이 딴판이지만 . 

 

석구상의 옆 모습이다 .

현재 알려진 내용외에 다른 사실이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 나의 생각이다 . 그 이유는 ?

한우물 조사 발굴때 조선시대 쌓은 석축에서" 석구지 "(石狗池)라 음각된 장대석이 나왔다 . 라는 기록에 의한다 .

 

불영암 .  범종각 이 아직 마련되지 않았다 . 범종 , 운판 , 목어 , 큰북은 별도의 장소에 있다 .

 

불영사에서 바라본 , 시흥2동 관악산 벽산타운 아파트  5단지 .

 

의미는 몰으지만 좀은 색다른 절이다 .

 

불영암 돌탑 .  중생들이 사는모습  바라보는 조망이 좋다 .

 

대웅전 .

 

대웅전 과 산신각 옆 큰바위 위 에 부처님 두상을 모셨다 .

 

마니산에서 본 북과 비슷하다 .

 

한우물 및 주변산성지 . (국가사적 제343호)

한우물 은 큰 우물 이란 뜻으로 호암산성 안에 있는 커다란 연못이다 .

이 연못은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

1989,1990년 연못터 아래에서 통일신라시대 연못이 추가로 발견되었다 .

한우물이라 불리는 1호 연못은 다듬은 돌로 쌓았는데  동서17.8 m , 남북 13.6 m , 깊이는 2.5 m 가량된다 .

통일신라 시대 연못이 폐기된후 서쪽으로 약간 옮겨 조선시대에 연못을 쌓았다 .

 

연못을 쌓은 돌중에는 석구지 라는 글자가 새겨진 것도 있다 .

이는 조선시대에 서울의 화재를 막기위해 관악산에 해태를 세웠다는 도읍설화 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

나의 생각은 다르다 . 관악산에 세웠다는 해태와 석구지는 전혀 다른 내용으로 생각된다 .

 

국가사적 343호로 지점된 호암산성의 일부인 제2우물터와 옛 건물터 .

 

산능선위에 있는 연못터 . 늪 지대였을 까 ?

 

호암산성 내 여러개의 건물터중 하나 . 석수능선을 따라 집터들이 보인다 .

호암산성은 해발 325 m 의 능선을 따라 이어진 데뫼식 산성으로 둘레는 1.250 m 이다 . 성 내부에는 여러개의 건물터와 두기의 연못터가 발견되었으며 , 통일신라 시대의 토기류와 철기류 기와류가 출토되었다 .

잉벌내역지내미 라는 청동숟가락이 출토되어 이 일대가 통일신라시대 임벌노현 이었음을 알수있다 .

 

전번 산행때는 이곳을 호암산 정상이라는 종이에 쓴 글을 보았는데 지금은 없다 .

 

세계측지계 도입에 따른 측량의 기준이 되는 삼각점  및 도시 기준점 입니다 .

 처음으로 접하는 내용이다 . 나는 그 뜻을 알지 못한다 .

이곳이 호암산 삼각점 인가 ? 산행 들머리에서 24.87 k 지점이다 .

 

갈림길 .     (한우물 1.1 k )     (석수역 1.6 k )     (서울둘레길 <서울대,석수역> 0.4 k )

 

석수능선에서 석수역 으로 갈리는 갈림길 .  석수역 방향으로 간다 .

 

덕수아파트 재건축 공사장 .

 

산행 날머리 .     (석수역 0.35 k )     (호암산 3.5 k )     (서울대 둘레길 6.5 k )

 

석수역 가는 고가도 계단 . 산행은 여기서 마무리 한다 . 들머리에서 26.66 k 지점 이다 .

산행출발 05.54분57" - 15.44분48" = 9.49분51" (이동시간 8.55분31" + 휴식시간 54분20")

평균속력 = 2.99 k .  최고속도 = 11.71 k .  고도(고,저) = 649 m . 0 m .  오르내림 = 2.791 m / 2.746 m .

 

콩나물 국밥집에서 식사하고 귀가 한다 . 오늘도 즐거운 산행이다 .

                                                        l  s  m  3 7   산행   이 상 목   감사합니다 .

다음 5차 서울환종주 산행은 석수역 - 안양천 - 성산대교 - 홍제천 - 서대문구청 - 안산 - 인왕산 - 북악산 - 숙정문 - 

 말바위 쉼터 - 와룡공원 . 버스로 이동 종로3가역 .  

문제는 창의문에 오후 3시전에 도착해야 북악산을 넘어갈수 있다 . 그렇지 않으면 코스가 토막난다 .

면밀한 시간 검토 가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