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도

15.05.28(목)강송,일반산행,경남함양,전북남원=지리산제1관문,법화산,오도봉,삼봉산,투구봉,서룡산

lsm37 산행인 2015. 5. 29. 18:33

누구와 : 강송산악회 회원님 들과 ,

산행지 : 일반산행/경남함양,전북남원/ 지리산 제1관문 . 법화산992.9)오도봉(1038.5)삼봉산(1069.2)투구봉(1079.2)서룡산1079.2)

산행코스 : 오도재(지리산제1문) - 법화산 - 빽 - 오도재 - 관음봉 - 오도봉 - 삼봉산 - 1108봉 - 투구봉 - 서룡산 - 범바위 - 백장봉

                인월마을 갈림 - 수청산 - 백장암 - 솔바람길 - 백장교 변강쇠 공원 .

산행거리 : GPS 거리 14.77 K + 클린거리 10% = 계 16.24 K .

산행시간 : 10.48분 45" - 15.41분15" = 4.56분 (기타시간 36분 포함)

날   씨 : 구름약간 . 약30도 무더위 . 바람없음 .

기   타 : * 디카정시  * 디카번호 2645 - 2774 = 130장중 약 60장으로 구성 .

            * 클린산행 4차 58회 산행 .  클린내용 : 보통 (깨끗한편 ) 대1봉지 . 귀경 휴게소에서 처리 .

 

산행로 개념도 . 현장 등산안내도 거리 = 13.39 k  . 나의 gps  거리 14.77 k .

 

오도재 지리산 제1문 버스 도착 .

 

오도재 휴게소 주차장 .

 

지리산 제1문 거리표 .     (법화산  1.6 K )  GPS 거리는 더 나온다 .

 

버스는 대기하고 있다 . 법화산에 다녀와서 버스를 타고 하산지점에서 B 코스 산행 하시는  회원들을 기다린다 .

 

견불동으로 갈리는 삼거리 .     (오도재 0.85 K )     (법화산 0.75 K )     (견불동 2.9 K )  삼거리에서 6분후 출발한다 .

 

법화산(992.9) . 좀 늦게 도착한다 .  셀프 사진 .

 

마침 후미 황대장 님을 만난다 . 반갑습니다 . 3분후 출발한다 .

 

견불동 갈림 삼거리 원위치 한다 .

 

 

오도재 .

고승이 오르내리다가 득도한 고개라 하여 오도재 라 한다 . 뇌계 유호인 선생의 오도령 시가 있다 .

주변에는 산신각이 있었으며 , 예로부터 남해 하동지방 의 해산물을 내륙으로 운송했던 물물교환의 육상 교역로 였다 .

 

옛날에는 금대암에 목조로된 지리산 제1문이 있었는데 2006년에 현 위치에 복원 하였다 . 금대암의 위치는 개념도에서 찾을수 있다 .

 

지리산 제1문에서 조망한다 . 구양리 마을 뒤  , 중앙 맨뒤능선에 반야봉  .

 

반야봉에서 좌측으로 지리산 주능선이 조망된다 .

 

산신각 . 쓰레기를 태우는것이 아니고 기름을 태운다 . 나는 그 의미를 모른다 .

 

산신각 과 당곳 . 심마니 들이 산신께 제를 올리는 장소로도 사용 한다 .     (삼봉산 3.9 K )

 

첫번째 만나는 봉우리 . 관음봉이라고 표시했다 .      (오도재 약0.9 K )

 

야생동물 피해예방시설 CCTV .주변4 K  24시간 운영 하며 , 겸하여 약초 , 산나물 무단체취를 감시 한다 .  

 

오도봉 가기전 전망바위에서 , 지나온 능선길을 뒤 돌아본다 . 관음봉 뒤 오도재 건너 법화산이 조망된다 .

 

앞으로 갈 삼봉산  세봉우리가 연이어 보이고 맨뒤에 삼봉산 정상이다 .

 

오도봉에서 셀프로 , 119 현위치 1 - 4 지점 7부능선 .  삼봉산을 주봉으로 한 위치표시 다 .

지안재에서 오도봉을 지나 백운산으로 지나는 오비지맥 . 오비지맥의 의미는 잘 몰으고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는 속담이 있다 .

 

마침 오회장님도 만난다 . 반갑습니다 .

오도재를 오르내리며 득도 하였다면 , 오도봉을 오르면 도가 통하지 않을 까 ?  오회장님 만나며 산도를 생각해 봅니다 .

 

헬기장 . 119 현위치 삼봉산 1 - 6 지점 9 부 능선 . 삼봉산 정상 약 150 M 전방이다 .

 

세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삼봉산 첫번째 봉은 우회하여 지나왔다 .

위험구간 표시가 있어 우회 할까 하는데 , 한분이 지나간다 . 나도 뒤 따른다 . 이봉우리가 2번째 봉우리다 .

 

오래된 나무 계단 이다 . 나무가 싹아서 위험하다 . 새로이 시설을 보완 하기전에는  지나갈수 없다 . 다음 산행인 유념 하시길 ,,,,,

 

삼봉산 (1086.7)정상 . 마침 위험지역을 함께 지나온 분이 있어 클린 사진을 부탁한다 .

 

삼봉산은 1187 M 3개의 봉우리로 경남함양읍 마천면 과 전북 남원시 산내면 이 도계를 이루고 있다 .

지리산 주능선을 볼수 있는 전망대이자 , 북으로는 상산과 연비산 , 동남쪽 에는 법화산 과 금대산이 있고 , 심마니 의 길이다

 

마천면 촉동마을 앞에는  일두 정여창 선생 과 탁영 김일손 선생이 , 지리산 유람 시절에 유숙한 동구사지 가 있다 .

 

전망도 좋다 . 지나온 능선 길이다 .

삼봉산 세봉우리가 주저 앉은 중간에 오도봉 , 관음봉 지나며 주저 앉아 오도재를 건너면 법화산이 넓게 자리하고 있다 .

 

반야봉에서 보이기 시작한 지리산 주능선이 천황봉에서 중봉을 지나 밤머리재 로 주저 앉는다 . 청명한 날씨가 아님이 아쉽다 .

 

삼봉산 삼거리 거리표 .     (금대암 6 k . 백운산 방향)     (오도재 3.9 k ) 강송은 팔랑재 (투구봉 가는길)방향으로 간다 .

 

삼봉산 정상에서 오회장 님 .

 

삼봉산 정상 조망이 쉬원하다 . 투구봉 갈림은 백운산 갈림으로 잠시 진행후 우측으로 갈린다 . 6분후 출발한다 .

 

약간 내려와 있는 투구봉 갈림방향표시점 . 현위치 119 삼봉산 2 - 2 지점 9부능선 .     (삼봉산 0.3 k )     (투구봉 2.2 k )

 

안내도 상에 상봉으로 표시된 지점 거리표 .     (삼봉산 0.6 k )     (투구봉 1.9 k )

 

투구봉 거리표 .     (삼봉산 2,5 k )     (팔영재 2.4 k . 남원방향)

 

투구봉 (1032.5) 정상 . 지나온 능선길 . 멀리 뽀죽한 삼봉산이 보이고 중간에 1069.2봉이다 .

* 투구봉 고도 = 강송 개념도 에는1032.5로 표기 되였고 , 정상석 에는 1068봉 으로 기록되여 있다 . 참고 바랍니다 .

 

나도 셀프로 투구봉과 상견례를 한다 .

투구봉은 높이가 1068 m 이며 주산은 삼봉산이다 .

삼봉산에서 투구봉 까지 남쪽은 전북남원시산내면 , 북쪽은 함양읍으로 이곳부터 남북으로는남원시 인월면과 함양읍이 도계 다 .

도계에는 해발 553 m 에 위치한 경남기념물 172호인 팔영산성이 있다 .

 

산불 무인감시 카메라 시설 . 5분후 출발한다 .

 

투구봉 정상에서 오회장 님 .

 

서룡산(1079.2)정상 .     (투구봉 0.7 k )     (하우마을 4 k . 인월방향) 

 

오회장 님 .  3분후 출발한다 .

 

서진암 갈림 . B코스 상행 지점이다 . 강송은 인월 (3.6 k )방향으로 간다 .

 

범바위 .

 

범바위(1020) 위에서 조망한다 . 대정리 유평마을 . 좌측 앞에 보이는 능선이 B 코스 오르는 길 . 부근이 하산지점 백장교 .

 

범바위(1020) 위에서 조망한다 . 지리산 주능선 좌측 맨끝에 천황봉이 보인다 .

 

갈림길 .     (서룡산 0.8 k )     (하우마을 <인월> 3.2 k )

 

선바위는 우회하여 지나친다 .

 

백장봉 (810) . 소나무에 백장봉이라는 팻말이 있으나 잘 보이지 않는다 .

 

잠시 휴식중 ,,,,, 4분후 출발한다 .

 

인월마을 갈림 .     (인월2.3 k )     (서룡산 1.8 k )    수청산 삼각점 은  약100 여 m 다녀와야 한다 .

 

수청산 삼각점 . 잠나무에 쌓여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

 

백장암 부근  온통 소나무숲 이 울창하게 자생한다 .

 

소나무 숲길로 간다 .

 

큰 바위가 산행로에 있다 .

 

백장암 .

 

백장암 . 수도전에서 간단히 씻고 ,,,,,

 

대웅전 . 석등 과 삼층석탑 . 실상사 백장암 석등 보물 제40호 .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국보 제10호 . 대웅전 사적 제30호 .

 

실상사 국보 제 10호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975)

통일신라 후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측되는 ,

이 탑은 낮은 기단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으로 1층에는 보살상 과 신장상을 , 2층에는 음악을 연주하는 천인상을 ,

3층에는 천인좌상 을 새겼다 .

지붕돌 밑면에는  연꽃무늬를 새겼으며  갖가지 모습들을  조각으로 화려하게  장식하는 등   형식에 얽매이지 않은 자유로운 구조가

돋 보이는 당시를 대표하는 아름다운 석탑중의 하나라 할수 있다 .

 

60번 도로 .     (백장암 1 k )   백정교 . 주변에 변강쇠 공원이 있다 .

 

 

강송 하산지점 .산행종료 한다 .

 

하산주 끝 무렵이다 . 셀프사진 .

 

개울에 발 담그며 , 올챙이 들의 유영 을 본다 .

 

흐르는 물은 맑다 .

 

쓰레기 봉지는 귀경길 휴게소에서 처리 한다 .

 

오후 5시 출발 예정 . 출발즉전 여유있는 모습들 이다 .

 

45인승 강송버스 . 4자리만 비었다 . 빠진 4사람 누구일 까 ? 밀린 작업으로 산행후 일주일 후에  이 기록을 마친다 .

강송과 함께한 산행 즐거웠습니다 . 집행부 여러분께 감사 드리며 6.11(목) 뵙겠습니다 . 너무 늦어 강송 에는 못 올립니다 .

                                                                     l  s  m  3 7   산 행    이 상 목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