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8.28(금)매일외부산행/도봉산 클린산행 .
누구와 : 나홀로 산행 .
산행지 : 서울근교 / 매일외부/ 도봉산 클린4차120회 산행 .
산행코스 : 도봉산역 - 도봉탐방지원센타 - 보문능선 - 우이암갈림 - 도봉주능선 - 주봉 - 신선대 - Y걔곡 - 포대정상 - 418계단정상쉼터 -
만월암 - 도봉대피소 - 도봉서원 - 도봉탐방지원센타 - 도봉산역 .
산행거리 : gps 거리 10.67 k + 클린거리 1.06 k = 계 11.73 k .
산행시간 : 06.45분12" - 11.27분57" = 3.42분(기타시간 30분포함)
(기타시간 신선대 8분 + 간식 11분 + 포대정상 5분 + 418계단정상 6분 = 계 30분)
날 씨 : 맑음 . 20도 . 습도 78% . 바람없음 . 산행하기 좋은날씨 .
기 타 : * 디카15" 빠름 * 디카번호 5438 - 5577 = 140장중 00장으로 구성 .
* 클린4차 120회째 산행 . 클린내용 : 도봉산전구간 . 보통 . 대1봉(100%) . 만남의광장 아래에서 처리 .
* 오전12시전 산행을끝내서 매일외부산행으로 기록 함 . * 산행(클린) 횟수및거리는 모음산행에 기록한다 .
도봉산역에서 산행시작 합니다 .
아침햇빛에 빛나는 도봉산 .
도봉탐방지원센타 . 순두부차량에서 순두부 한그릇(1,000원) 포장한다 .
북한산 국립공원 . 보문능선으로 상행 한다 .
능원사 용화전과 도봉산 .
전망대 쉼터 .
쉼터에서 본 도봉산 . 나무가지에 가려 잘 보이지 않는다 .
잠시후 전망하기 좋은 바위에 올라 도봉산을 조망한다 . 소나무뒤 바위에 올라간다 .
잘보인다 . 칼바위 / 병풍바위 / 주봉 / 뜀바위 / 신선대 / 자운봉 / 만장봉 / 선인봉 .
주봉 - 뜀바위 - 신선대 - 자운봉 - 만장봉 - 선인봉 당겨본다 .
464봉 산불감시 CCTV .
무수골 갈림.
무수골갈림 , 위험탐방로 안내 . (무수골입구 2 k ) (도봉탐방소 2.4 k ) (우이암 0.3 k ) (자운봉 2.1 k )
도봉주능선 . (도봉탐방소 2.4 k ) (자운봉 2 k ) (우이암 0.2 k )
암릉에 올라 , 오봉을 본다 .
암릉에 올라 , 주봉 - 선인봉을 본다 .
암릉에 올라 , 상장봉을 본다 .
오봉샘 갈림 . (오봉1.2 k ) (우이암 0.8 k ) (자운봉 1.4 k ) (도봉탐방소 3.5 k )
바위 전망대에서 , 오봉을 본다 . 보는 위치에 따라 모양을 달리한다 .
바위 전망대에서 , 상장능선상 왕관봉과 , 북한산 을 조망한다 .
지나온 도봉주능선 끝에 우이암 , 북한산과 북한산주능선이 펼처지고 , 중간에 상장능선 왕관봉이 끼여든다 .
2분후 같은 조망이다 . 고도가 달라젔다 .
3분후 전망대에서 오봉을 본다 .
상장능선 과 북한산을 본다 .
오봉과 오봉능선에 있는 683봉을 본다 .
오봉을 당겨본다 . 위에서 부터 1 ,2 ,3 ,4 ,5 봉이다 . 하지만 릿지 하시는 분은 아래서 1 ,2 ,3 ,4 ,5 , 으로 부르기도 한다 .
칼바위 와 도봉산 .
칼바위를 당겨본다 .
도봉산도 당겨본다 .
관음봉 5거리 갈림 . 칼바위 아래지점 . (오봉 1.3 k ) (자운봉 0.9 k ) (우이암 1.3 k ) (도봉탐방소 3.5 k )
오봉갈림 . 칼바위 위 지점 . (오봉1 k ) (여성봉 2.2 k ) (자운봉 0.8 k ) (우이암 1.4 k )
칼바위 우회하는 계단길 . 나무가 썩어서 보수의 손길을 기다린다 .
현위치 도봉34 - 03 지점 . 보수장소 10 m 위 계단 .
칼바위를 우회아여 지나오니 , 돌출된 조망터가 있어 올라가 조망한다 . 지금은 병풍바위 를 지나가는 중이다 .
뒤돌아 , 칼바위를 본다 . 멀리 낮은곳에 우이암도 보인다 .
발밑을 보니 낭떨어지 , 바위 위 에 작은 소나무가 자라고 있다 .
앞으로 지나갈 능선길과 뜀바위가 보인다 .
병풍바위를 지나며 , 다시 한번 칼바위를 본다 .
마당바위 갈림 . (마당바위 0.6 k ) (자운봉 0.3 k ) (우이암 1.9 k ) (도봉탐방소 3.2 k )
뜀바위 출입금지 . 현위치 도봉 34 - 02 지점 . (자운봉 0.2 k ) (우이암 2 k )
뜀바위를 우회하며 , 계단에서 뒤돌아 칼바위와 북한산을 본다 . 디카렌즈가 눈아래로 내려갔다 . 북한산이 나무에 가렸다 .
신선대(725)에 올라서 , 1, 자운봉을 본다 .
2 , Y계곡 포대정상 , 멀리 사패산정상이 보인다 .
3 , 뜀바위 , 병풍바위 , 칼바위 , 우측에 오봉능선 683봉 , 좌측에 북한산이 조망된다 .
신선대 와 <우이암> 뜀바위 , 주봉은 머리만 보이고 , 병풍바위 칼바위 / 멀리 상장능선 - 북한산 능선 .
위치 선정은 좋으나 각도가 잘못됬다 .
다른 위치에서 다시 본다 . 신선대 정상에서 바라본 북한산 .
도봉산 .
북한산의 우이령을 경계로 그북동쪽을 도봉산이라 부르며 그 줄기에 우뚝 솟은 자운봉(739.5) 만장봉(718) 선인봉(708) 등 세 개의 봉우리
와 우측에 다섯개의 암봉우리로 이루어진 오봉(660)은 도봉산의 주요 봉우리로 ,
산세가 웅대 , 험준하여 그 형상이 준수하고 기품이 있어 경관이 매우 아름답다 .
정상에서 셀프사진 .
어제저녁 갑작이 도봉산이 생각이 나서 오늘 첫차로 왔다 . 여러가지 의미가 있다 . 마음껏 즐기고 가기로 한다 .
만장봉과 선인봉이다 .
자운봉과 만장봉 사이에 수락산을 넣고 우측에 불암산은 덤 이다 .
북한산을 넣고 셀프사진이다 .
클린산행은 도봉탐방소 부터 시작했다 . 지금은 빈약하지만 날머리에 가면 만탕이될것이다 .
마침 의정부에서 온 학생 싸이클 선수3명이 올라왔다 . 멋진 사진한장 부탁한다 . 잘 찍어줬다 . 8분이 지나서 내려간다 .
자운봉과 신선대가 잘 보이는곳 . 짐시 쉬며 순두부 포장을 푼다 .
주로 산행시 아침은 굶는데 오늘은 순두부로 아침을 한다 . 도봉산탐방소로 올때만 주로 먹는다 . 물도 마신다 .
만장봉 과 신선대 조망은 후식도 겸한다 . 약11분 후 하산코스를 잡지 못했다 .
GPS 거리 10 k는 넘어야하고 오전 12시전 하산종료하여야 한다 . 12시가 넘으면 일반산행으로 기록된다 .
Y 계곡갈림길 . 온도계 19도 . 주말과 공휴일은 일방통행 .
산행거리가 10 k는 넘어야 하는데 하며 우회길로 진행한다 . 통제소를 지나 내려가다가 갑자기 방향을 바꾼다 .
왜냐구요 ? Y 계곡 암름미를 즐기는 유혹에 넘어갔다 . 내맘대로 되지 않는다 .
Y계곡으로 간다 . 앞에 보이는 두 바위 사잇길이다 .
제일 높은 바위위에서 , 뜀바위와 / 병풍 , 칼바위 사이에 북한산을 조망한다 .
지나온 바위길도 보고 ,
내려갈 길도 본다 . 스틱과 쓰레기 봉지가 함께 가자고 한다 .
내려가기 전에 자운봉을 본다 . 자운봉은 북한산을 보고 있다 . 큰물을 그리워 하는것이다 .
북한산에 가면 , 백운대(836.5)큰형님 / 인수봉(810.5)둘째형님 / 만경대(799.5) 셋째 형님 , 다음은 내가 넷째다 .
한참어린 문수봉(732)아래 동생들은 다 내 손안에 있다 . 하지만 나는 도봉산의 맹주다 . 형님들이 그리워서 하는 이야기일 뿐이다 .
이 바위들 사이로 가는 것이다 . 멀리 사패산 이 보인다 .
다락능선 길과 , 도심 건너 수락산 불암산 능선들이 조망된다 . 오산종주로 연결된 산군들이다 .
암벽 사이로 683봉 오봉능선을 본다 .
내려가는 길 폭이좁다 . 쓰레기봉지가 조심스럽다 . 이곳도 후미진 곳에는 쓰레기가 있다 .
뒤 돌아본다 . 다음은 올라가는길 . 적체현상이 없어 좋다 . 깨끗이 클린하며 소리없이 지나간다 .
지나와서 뒤 돌아본다 . 큰바위 상부찍고 ,,,,,
하부 찍는다 . 바닥은 보이지 않는다 . 좀전에 지나온 길이 보인다 .
Y 계곡을 지나왔다 . 우측에 큰바위돔이 있다 .
바위돔 우측으로 자운봉을 본다 . 여전히 북한산을 보고 있다 .
바위돔 에서 포대정상 가기전 , 다락능선 뒤에 수락산 . 좋은장소 주변에는 인간의 흔적들이 있다 .
포대정상 에서 제일크고 높은바위 . 옆에서 도봉산의맹주 자운봉을 본다 . 여전히 북한산을 본다 .
포대정상 . (자운봉 0.3 k ) (망월사 1.6 k ) (사패산 3.4 k ) (도봉탐방소 3.7 k )
탐방안내도 .
포대정상에서 바라본 도봉산 .
나도 바라본다 .
자운봉 , 신선대 , 포대정상바위 .
포대능선길 끝에 산불초소가 보인다 .
나무계단길을 내려가며 ,,,,,다락능선 ,,,,,
418계단 정상쉼터 . (자운봉 0.4 k ) (만월암 0.4 k ) (도봉탐방소<다락능선>3.6 k) (도봉탐방소 <도봉대피소> 3.1 k )
어느쪽으로 하산하느냐 ? 0.5 k 의 거리차가 있다 . 긴 거리로 가고 싶다 . 하지만 망월사 급경사길이 더 재미가 있을것 같다 .
나보다 한살 아래인 한분이 올라오신다 . 만월암으로 올라오는길이 험하다고 한다 . 약6분간 이야기를 나누며 만월암방향으로 하산한다 .
현위치 도봉 30 - 02 지점 . (자운봉 1.1 k ) (도봉탐방소 2.6 k )
만월보전 .
만월암 이다 . 큰바위를 지붕으로 사용하고 있다 .
계곡을 끼고 내려 가는길 , 우측에 선인봉의 위용이 잘 보이는 곳이지만 나무잎에 가려 잘 보이지 않는다 .
구조대 갈림 . 석굴암과 만월암 갈림길 .
일명 인절미 바위 . 이 바위는 화강암의 일종으로 박리작용에 의해 풍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
박리작용은 암석의 표면이 양파껍질처럼 떨어져 나오는 현상으로 그원인은 가열과 냉각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암석은 한낮 햇빛에 의해 가열되고 밤에는 냉각되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지만 ,
열전도율이 낮기 때문에 가열의 효과는 암석의 표면에 집중됩니다 .
가열로 인해 팽창하는 표면층은 일정 한계를 넘으면 압력에 의해 표면이 벗겨 지는데 이것이 박리 현상 입니다 .
도봉대피소 .
반가운 사람들을 만남니다 . 불랙야크 신입사원 오리엔테이선 인솔 셀퍼님 이름이 생각나지 않습니다 .
2박3일 교육 입니다 . 여러분 좋은날이 되십시요 . 만나 반가웠습니다 .
일행들 입니다 .
도봉서원 갈림 . 클린 사진 입니다 .
북한산 국립공원 도봉산 지구 .
도봉 탐방소 앞 .
직원들 수고 하십니다 . 쓰레기 봉지 7장을 얻어갑니다 . 감사합니다 .
만남의광장 밑 . 큰쓰레기봉지 가 있는곳 . 산에서 모아온 쓰레기는 이곳에서 처리할수 있다는 청소원의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
도봉구청 감사합니다 .
도봉산역 . 오늘산행 은 여기서 마무리 합니다 . 12시전 하산하여 매일외부산행으로 기록합니다 .
l s m 3 7 산 행 이 상 목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