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도

15.09.09(수)북한산(오전,오후)클린산행/시민보호단 돼지풀제거 작업 .

lsm37 산행인 2015. 9. 11. 19:05

누구와 : 나홀로 .

산행지 : 북한산 오전 산행 / 북한산국립공원 시민보호단 돼지풀제거 작업 / 오후 북한산 산행  . 클린 4차129회 .

산행코스 :*오전산행 = 이북5도청 - 비봉능선위 - 진관사 계곡 - 진관사 - 진관공원지킴터 - 소공원(9.6일 작업현장) - 삼천탐방지원센타 . 

              09 - 12시 까지 북한산 시민보호단 돼지풀 제거작업 (백화사앞 까지)후 ,  의상능선입구에서 모든인원 점심식사 .

             *오후1시부터 오후산행 - 백화사 입구 - 계곡으로 - 가사당 암문 - 용출봉 - 용혈봉 - 증취봉 - 부왕동 암문 - 산성계곡 -

               합수점 - 북한동역사관 - 산성탐방지원센타 - 산행종료 . 하산주후 귀가 .

산행거리 : * 오전 4.58 k + 오후 7.29 K = 계 11.87 k + 클린거리 1.18 k = 합계 13.05 k .

산행시간 : * 오전 1.41분21" + 오후 6.41분 = 계 8.22분(기타시간 1.16분 포함)

날   씨 : * 오전 맑음 . 17도 . 습도 48% . 바람없음 .  * 오후 흐림 . 23도 . 습도 45 % . 바람없음 .

기   타 : * 디카정시 . 디카번호 (오전 5816 - 5852 = 37장중) (오후 5892 - 5982 = 91장중)

           * 클린산행 4차 129회 산행 거리10% 추가 . 클린내용 : 오전 보통 , 대1봉(40%) , 진관공원지킴터 분리수거 함 .

                                                                             오후 보통 , 대1봉 (80%) , 하산주 식당에서 처리 .

* 오늘은 북한산국립공원 시민보호단 오전10 - 12시 까지 돼지풀 제거작업 하는날 . 

   작업 전시간과 후 시간을 이용 산행을 하기로 합니다 . 둔촌동역 05.43분 첫차를이용 - 종로3가역 에서 7212번 버스를타고 이북5도청 .

이북5 도청 앞 에서 산행시작합니다 . 클린산행 입니다 .

 

탐방로안내 .

 

비봉탐방지원센타  무인탐방소 입니다 . 연화사앞 .

 

금선사 목정굴 .

관음기도성지 목정굴은 , 고승 능산스님이 목정굴에서 100일간 관음기도를 올린후 정조대왕의 세자 순조의 탄생비화가 서려 있는 곳이다 .

 

화장실 .  이곳에서 약13분간 산행준비를 한다 .

 

 상명대 갈림 .     (비봉탐방지원센타 0.8 k )       (비봉 0.8 k ) 

 

비봉능선위 .     (향로봉 0.3 k)      (사모바위 0.5 k )     (비봉탐방지원센타 1.3 k )     (진관공원지킴터 2.4 k )

능선을 넘어 진관계곡으로 진행한다 .

 

갈림 .     (비봉 0.5 k )     (향로봉 0.5 k)     (진관공원지킴터 2 k )

 

갈림 .      (비봉 1 k)     (향로봉 1.1 k)     (진관공원지킴터 1.6 k )    

 

거리표 .     (비봉 1.6 k )     (향로봉 1.7 k )     (진관공원지킴터 1 k )

 

진관사 대웅전 .

 

해탈문 .

 

삼각산 진관사 일주문 .

 

진관공원지킴터 .

 

클린쓰레기(40%)는 분리수거하고 봉지는 재활용한다 .

 

소공원으로 가는길 . 은행나무 밀집단지 .

 

9.6일 1차 작업한 지점 , 둘레길을 따라간다 .

 

삼천탐방지원센타 .  오전산행은 여기서 마무리 한다 . 산행거리 = 4.58 k . 산행시간 07.06분35" - 08.47분 = 1.41분 .

 9시전에 도착하니 먼저오신분들이 있다 . 09시후는 작업시간이다 .

 

여성 한분을 포함 9명이 직원이 오기를 기다린다 .

 

오랜 기다림끝에 현장에서 작업중이라는 전언을 듣고 , 현장으로 이동한다 . 아까운 시간을 많이 보냈다 .

 

현장에서 작업중인 인원들과 합류하여 작업을 한다 .

 

시민보호단과 함께하는 봉사활동 .

 

작업은 백화가 방향으로 이동하며 계속된다 .

 

하천에도 많이 자란다 . 사유지 침법논란이 있지만 원만히 양해하신다 .

 

담장에도 가을은 익는다 .

 

도로변 주변에 보이는 돼지풀은 모두 제거한다 .

 

백화사앞 수많은 돼지풀이 제거된다 .

 

서로 협력하며 봉사한다 .

 

시민보호단과 함께하는 봉사활동 . 19명이 파악된다 .

 

작업 끝나고 솔밭쉼터에서 점심시간이다 . 이또한 음식 나눔이다 . 좋은뜻으로 모이면 다 좋은 방향으로 지향한다 .

 

작업인원이 식사한 자리 . 시민보호단 돼지풀제거작업 상세한 내용은 " 시민보호단" 활동 모음집에 상세히 기록되여 있다 .

12.58분24" 여기서 오후 산행이 시작된다 .

 

산행에 동참하신분 . 석인 님 . 정순금 님 .인천계양동 여성두분  , 나 포함 모두 5명이다 . 일행들과 함께 쉬운 계곡길로 상행한다 .

 

거리표 .     (가사당암문 0.4 k )     (백화사 1.6 k )  여기서 부터 급한 오르막이다 .

 

멀리 인천 계양산도 조망된다 .

 

가사당 암문에 도착한다 .      (백화사 2 k )     (대남문 2.7 k )     (산성탐방지원센타 <계곡>2.7 k . <능선>1.8 k)

 

모두 수고 하셨습니다 .

 

젊고 아름다운 여성들과 사진을 찍으니 기분 좋습니다 .

 

맑은 가을 하늘 . 염초봉 , 백운대 , 만경대 , 노적봉 , 용암봉 . 쉬원하게 조망합니다 .

 

용출봉 오르는길 . 석인 님 .

 

인천계양동 두 여성 .

 

용출봉 (571) 정상 .     (의상봉 0.7 k )     (산성탐방지원센타 2.2 k )     (대남문 2.3 k )

 

용출봉에서 조망한 , 의상능선길 용혈봉 , 증취봉 , 나월봉 , 나한봉 , 715.5봉 , 문수봉 이 조망됩니다 . 비봉능선상에는 석문바위도 .

 

용출봉에서 조망한 , 비봉능선  석문바위 , 승가봉 , 사모바위 와 응봉능선 , 비봉 , 비봉에서 진관사쪽 아래에 웨딩바위 , 향로봉 , 대머리바위도 ,,,,,

 

석인 님이 찍어준 내 사진 .

 

감사합니다 .

 

그동안 수십번을 지나가면서도 보지못한 글씨 .

 

바로 이바위에 세겨져 있습니다 .

 

석인 님에게 촛볼바위 라고 들었습니다 .

 

용혈봉을 배경으로 . 인천 계양동 두여인 .

 

촛불바위 . 뒤에서보면 이렇게 생겼습니다 .

 

용혈봉(581)정상 . 용출봉배경 . 정순금 님 막 도착합니다 .

 

용혈봉에서 당겨본 강아지바위 .

 

용혈봉에서 조망한 , 비봉능선 승가봉 , 사모바위 , 응봉능선 , 비봉 ,

 

용혈봉에서 . 석인 님이 찍어준 내사진 모음 .

 

용혈봉에서 정순금 님 .

 

그리고 함께한 일행들 .

 

 

증취봉(593)정상 .

 

증취봉에서 잠시 휴식중 .

 

증취봉에서 북한산 조망 . 아직은 인수봉이 보이지 않네요 .

 

부왕동 암문 . 정순금님 석인님 계양동 두분 . 오늘봉사도 함께 하며 수고 많았습니다 . 산행도 함께하여 즐거웠습니다 .

계양동 두분은 삼천탐방소에 차가 있어 여기서 하산하여야 합니다 . 다음에 또 만나겠지요 .

부왕동 암문에서 두분을 보내고 우리들은 산성계곡으로 하산합니다 .

 

합수삼거리 .     (부황사 0.5 k)     (부왕동암문 0.9 k )     (대남문 2.3 k )     (산성탐방지원센타 2.9 k )

 

산성계곡에서 발담그고 머리감고 즐거운 물노리 40분 입니다 . 버들치가 많이 자라고 있습니다 .

16.46분 중성문을 지나고 , 16.52분 법용사 국녕사 가는 길목을 지나 서,,,,,

 

북한동 역사관 . 잠시 쉬어 갑니다 .

 

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산 .

 

북한산 국립공원의 지형자원 .

북한산은 한반도 지질사에서 가장 격렬했던 지각변동과 화성활동기었던 대보운동의 산물로 ,

중생대 쥐라기(약1억8천만년 - 1억3천만년전)에 생성된 대보화강암(서울 화강암체)으로 이루어져 있다 .

 

북한산의 대보화강암은 지하 약10 k 내외에서 냉각 고화되어 형성된 것으로 ,

오랜 지질시대를 거치며 지표 지각의 지속적인 풍화와 침식작용 등으로 차츰 제거되면서 현재의 모습을 이루었다 .

 

북한산국립공원에는 화강암 특유의 지질구조 와 다양한 풍화지형(화강암 돔구조 , 토르 , 나마 , 타포니 등)및 지질유산 등이

많이 존재하고 있어 지형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매우 뛰어나다 .

 

1) 삼각산 = 명승제10호 삼각산으로 지정된 백운대와 인수봉 만경대 일원은 전체가 하나의 화강암 덩어리로서 ,

               암석돔의 형태를 잘 간직하고 있는 북한산의 대표적 지형자산 이다 .

2) 족두리봉의 다양한 지형자원 = 북한산 가운데서도 토아 , 그르브 , 나마 , 산지타포니 등 다양한 유형의 지형자원을 모두 갖춘

                                        보기드문 지형자원의 보고이다 .

3) 토어지형 = 사모바위는 북한산의 대표적인 토어 지형가운데 하나이다 .

                 토어 란 차별적인 침식, 풍화작용의 결과 지표면에 연결되어 , 독립적인 형태로 노출된 바위 덩어리를 말한다 .

                 북한산의 정상부근에서 다양한 형태의 토어 지형을 만날수 있는데 ,

                 독특한 영태의 기암괴석들은 북한산의 또 다른 장관을 연출하고있다 . 

4) 산지타포니 지형 = 암석이 물리적 , 화학적 풍화작용을 받은 결과 암석이 측면에 벌집처럼 생긴 구멍 형태의 지형을 풍화혈 ,

                          또는 타포니라 한다 . 이중 산악지대에서 발달한 것을 산지타포니라 하는데 ,

                          북한산의 다양한 산지타포니 들은 마치 바위에 조각을 새긴 것처럼 경이로운 경관을 연출한다 .

5) 애추지형 = 절벽에서 암석이 오랜 세월동안 하나씩 떨어져 나와 일정한 경사를 이룬 지형을 애추라고 말한다 .

                  북한산에는 청수동암문 하단을 비롯해 , 구기계곡 , 하루재 , 노적봉 등에서 여러 형태의 애추를 관찰할수 있다 .

 

원효봉(505) = 명칭은 봉우리 아래에 있는 원효암에서 유래한 것으로 , 원효암은 신라시대 원효대사가 수도하던 토굴이다 .

염초봉(662) = 본래이름은 영취봉 이다 .

백운대(836.5) = 북한산의 최고봉으로 화강암의 험한 암벽을 노출하고 있다 . 산마루에서 바라보는 기암절벽의 조망이 일품이다 .

만경대(799.5) = 만수봉 이라고도 한다 . 북쪽의 인수봉 백운대와 만경대를 합쳐 삼각산 이라고도 한다 .

                    백운대나 인수봉과 같이 단일암봉이 아닌 여러모양의 암봉들이 남북으로 늘어져 보느 방향에 따라 각기 다른 모습으로 , 

                    보이기 때문에 만가지의 경치를 볼수있다하여 만경대란 이름이 붙어졌다 .

노적봉(716) = 봉우리의 모양이 노적가리를 쌓아놓은 모습과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임진왜란 당시 군량미가 떨어져 고심하던 중 ,

                  이봉우리에 가마니를 덮어 군량미인 것처럼 속여 위기를 넘겼다는 이야기가 있다 .

  

 

정순금 님 , 석인 님 .

 

하산중 돼지풀이 있는가 계속 관찰하며 왔다 . 이곳에 돼지풀이 자라고 있다 .

산성탐방지원센타에서 260 m 위 지점 고도약 74 m 이다 . 돼지풀은 고도 100 m 미만지대에서 서식하는가 보다 . 탐방소 중간에도 또 있다 .

 

숲속에 들어가 보이는 돼지풀을 완전히 제거하는 석인 님이다 .

 

석인님은 항상 솔선수범한다 . 박수를 보냅니다 .

 

마지막으로 바라본 북한산 이다 . 아름다운 산이다 .

 

산성탐방지원센타 .

 

탐방소 바로 아래에 있는 식당가 첫집 . 하산주 식당 . 클린봉지 대1봉(80%) 식당에서 처리 한다 .

 

17.33분 - 19.35분 = 2.02분간 막걸리 당1병씩 처리한다 . 많은 애기를 나눈다 .

 

막걸리의 상승작용이다 . 내 사진의 특징은 90%이상 스넾이다 . 마음까지도 읽어낸다 . 하산주가 끝나야 산행의 여운도 끝이난다 .

오늘 함께 작업을 하고 같이 음식을 나누며  즐거운 시간을 보낸 여러분과 , 또한 함께 산행을한 일행들 ,

만나서 반갑고 함께하여 즐겁고 행복했습니다 . 모든 분께 감사드립니다 . 곧 만나기를 기대합니다 .

                                                                 l  s  m  37  산 행   이 상 목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