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16.02.28(일)=일반산행/검단산.용마산.남한산.청량산 연계산행 .

lsm37 산행인 2016. 2. 27. 10:35

누구와 : 나홀로 산행 .

산행지 : 검단산 . 두리봉 . 용마산 . 남한산 . 청량산 연계산행 .

산행코스 : 에니메이션교 - 월남참전용사탑 - 유길준묘 - 전망대 - 검단산 - 두리봉 - 용마산 - 은고개 - 남한산 - 동장대 - 남한산성북문 - 서문 - 

            산불초소 - 만남의장소 - 마천역 .

산행거리 : gps거리 20.91 k .

산행시간 : 09.09분37" - 16.29분11" = 7.20분 (기타시간 식사 22분 + 기타 33분 = 계55분)

날   씨 : 흐림 . 영상 3도 . 오후2시부터 눈 3시경 폭설 이 계속됨 .(오전 바람없음 . 오후 눈과 함께 약간의 바람 )

기   타 : 디카정시  디카번호 2608 - 2701 = 94장중 54장으로 구성 .

* 오늘 산행은 5일 연속산행 4번째 산행이다 . 1일 약 15 km 비박산행(장비13-15 kg )으로  5일간(5 일 x 15 km = 75 km)산행이 가능한지 가늠해 보는 

  산행이다 .   ( 1 , 2 , 3 , 4 일째 = 합계 거리 61.68 k 시간 24.57 분 )


2월부터 차고 다니던 발목 아데를 집에 두고 간다 . 둔촌역에서 1번버스로 이동 검단산 에니메이션교 하차 .

에니메이션교 에서 산행 시작한다 . 


검단산 산행들머리 . 월남참전 기념비 .


검단산 산행 안내도 . 나는 유길준묘 코스로 간다 . 

등산코스 = 산곡초교 - 곰터약수터 - 정상 = 3.1 k (1.50분) .     현충탑 코스 = 에니메이션교 - 현충탑 - 곱돌약수터 - 정상 = 4.2 k (2시간)

            유길준묘 코스 = 참전기념탑 - 유길준묘 - 전망바위 - 정상 = 3.5 k (1.50분)     아랫배알미 - 감시초소 - 정상 = 2.9 k (1.40분)

            윗배알미 - 감시초소 - 송전탑 -삼거리 - 정상 = 4.7 k (2.10분)


유길준묘소 .


약수터 삼거리 .


매바위 전망대 갈림 .     (전망바위 0.98 k )     (에니메이션교 2.54 k )


테크 전망대 . 


맑은 날이면 양수리 조망이 쉬원하지만 오늘은 좋지않다 .


검단산(657)정상 . 막걸리 장사 . 평일에는 나오지 않는다 . 


정상에서 셀프 사진 .

검단산(657)은 하남시의 동쪽에 위치한 산으로 , 백제 한성시대 하남 위례성의 숭산(崇山) , 진산(鎭山)으로 , 왕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신성한 산으로 전한다 .


정상 거리표 .     (에니메이션교<유길준묘>3.52 k . 현충탑 3.48 k )     (아랫배알미 2.1 k )

내 gps 거리는 3.97 k 실제거리와 오차가 있다 . 조망이 좋은 장소지만 오늘은 볼 거라거 없다 . 3분후 통과한다 .


산곡초교 갈림길 . 이곳에도 막걸리 장사가 있다 . 나는 거의 이용하지 않는다 . 강동남 종주시 딱 한번 이곳에서 막걸리 한잔 한것이 전부다 . 


두리봉(고추봉) .     (검단산 2.1 k )     (용마산 1.62 k )     (엄미리 버스정류장 4.46 k . 벌봉 9.58 k )  길을 묻는 사람과 대화중 5분이 지난다 .


두리봉(고추봉) .     (검단산 2.1 k )     (용마산 1.62 k )     (엄미리 버스정류장 4.46 k . 벌봉 9.58 k ) 


용마산(595.7)정상 . 

용마산 산신께 제를 올리는 사람이 먼져 와 있다 . 약술 한잔과 오랜지 올리고 여러갖이를 빈다 . 산악회 , 라이온스 , 가족의 행복과 ,,,,, 계속된다 . 

폰 사진도 여러장 주문한다 . 

 

나도 셀프 한장을 찍는다 . , 분원리 일대의 조망이 좋은 곳이지만 9분후 훌적 떠난다 . 


용마산 거리표 .     (용마산 0.05 k )      (두리봉 1.67 k . 검단산 3.77 k )      (벌봉  7.91 k )

    

은고개 갈림길 .      (용마산 1.23 k . 두리봉 2.85 k . 검단산 4.95 k )     (은고개 버스정류장 2.23 k . 벌봉 6.73 k ) 나는 우측으로 간다 . 


굴다리 약수터 . 강태공들이 제법 있다 . 


돌 조각 작품이 있는집 .


중부고속도로 및 터널 .


은고개 .


은고개 장승 . 천하 대장군 과 지하 여장군 .

엄미리 장승 안내 = 지금으러 부터(2010.12.23) 370여 년전 병자호란의 전란을 겪으며 마을의 전염병과 악귀를 물리지고 부락의 안녕과 화합을 위하여 ,

                      산신께 고사를 드리고  마을어귀에 장승을 세워 마을을 수호하게 하였다고 전해오고 , 장승제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 

엄미리 장승의 특징은 기교를 부리지 않은 소박하고 단순함이 특징으로 , 전통을 가장 잘 보존하여 전해온 장승으로 널라 알려져 있다 . 


남한산 산행 들머리 . 상가로 빌딩 옆 .


초장부터 오름길이다 .  0.3 k 거리에 고도 150 m 를 오른다 . 


학교림 바로밑 에서 사발면으로 점심을 먹는다 . 이 코스에서 점심먹고 가는것도 처음이다 . 보통은  마천에서 하산주로 대신하였다 . 22분 소요된다 . 



학교림 (200) . 


철탑봉 (322) .


엄미리 계곡 갈림 .     (엄미리 계곡 0.7 k )     (은고개 3 k )     (벌봉 1.3 k )


점심식사때 날리던 눈이 여기서 부터  내리기 시작한다 . 비라면 우비를 입어야 겠지만 눈이면 맞으며 가는것도 운치가 있다 . 


챙성 암문 . 지금은 이 명칭을 쓰지 않는다 . 남한산성 안에 있는 암문은 다 확인하여 보았지만 / 이곳에 챙성 암문이 있엇다는 확신은 없다 . 

외동장대 부근에 암문이 있을것 이라는 생각에 주변을 뒤져 본적이 있다 . 외동장대는 남한산 지나서 벌봉 가다가 있다 . 가깝다 . 


챙성암문에서 남한산을 본다 . 우측능선 위가 남한산(522)정상이다 . 무너진 성안으로 들어간다 . 


챙성암문 .      (은고개 3.9 k )     (한봉 1.1 k )     (벌봉 0.4 k )     (본성 동장대 0.9 k )

주변에 한봉으로 가는 암문이 있고 , 한봉밑 계곡으로 오는 적을 겨냥한 포대가 있다 . 이곳 봉암성은 보수돼 있지 않다 . 


남한산 (522.1) 삼각점  . 전에는 없었다 . 


남한산(522.1)정상에서 셀프 사진 .


남한산에서 성따라 외동장대로 오르며 암문이 있다 . 


남한산성에는 3개의 외성이 있다 . 이곳 봉암성 , 한봉에 축성된 한봉성 , 성남 검단산 의 신남성  , 

하남시 고골에서 타고 올라온 눈안개가 장경사 신지옹성이 있는 계곡으로 빨려 내려간다 . 장관이다 . 한참을 보며 사진도 찍는다 . 

잠시후 동장대 암문을 지나 본성안으로 들어간다 . 


눈송이가 커지고 제법 쌓이기 시작한다 . 옥정사지 옥같이 맑은물이 나오는 샘물이 있었다 . 새들이 물 먹으로 온다 . 산새 들을 관찰하는 장소가 있었다 .  


북문으로 가는길 . 고골에서 계곡타고 올라온 눈발이 습도를 먹음고 넘어온다 . 눈발은 점점 굵어진다 . 


북문 . 길을 묻는 부부가 있어 남한산에서 부터 같이온다 . 


북문 .


서문으로 가는길 .


눈을 털며 맞으며 계속 간다 . 아직은 맞을만 하다 . 


서문 . 눈은 계속 오고 많이 쌓였다 . 우비를 입을 까 아이젠을 찰까 . 하지만 쌍스틱을 사용하며 그냥내려간다 . 이길은 수천번 다닌 길이다 . 


서문 에서 3번 코스로 하산한다 .


설경 .


산불초소 .


산불초소에서 호국사자사 가는길 .


이번겨울 서울에서는 제일많이 온 눈이다 . 






만남의장소 .


마천역 2번출구 .산행 마무리 한다 . gps 가 없을때는 이 코스를 17 - 18 k 로 기록했다 . 얼마전 20 k 가 약간 넘는것을 확인한적이 있다 . gps거리 21.91 k .

산행은 혼자하면 호젓해서 좋고 , 여러 회원들과 함께 하면 심심하지 않아서 좋다 . 이래도 좋고 저래도 좋다 . 산에 가는것은 생각만 해도 좋다 .

                                                                    l  s  m   3 7    산 행  이 상 목  한상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