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2.03(토)서울환종주 27개산 종주(7차)산행(담터고개 - 광나루역 구간) .
누구와 : 나홀로 서울환종주 7 차산행 .
산행지 : 담터고개 - 광진역 구간 .(구룡산,망우산,용마산,아차산 산행)
산행코스 : 담터고개 - 갈매역 - 구룡산 - 망우산 - 용마산 - 아차산 - 광진역 산행 .
산행거리 : 16.57 km . (평균속력 3.34 km ) 고도<고,저>356 m . 56 m . 오르내림 910 m - 938 m .
산행시간 : 08.22분13" - 13.40분38" = 5.18분25" (이동시간 4.57분39" + 기타 0.23분20")
날 씨 : 맑음 . 7도 . 바람없음 . 산행하기 좋은 날씨 .
기 타 : 클린 안함 . 디카번호 0321 - 425 = 105장중 55 장으로 구성 .
상봉역 07.28분차 - 07.55분 갈매역 도착 . 탐터고개로 이동 이 거리는 오늘산행에 포함되지 않음 .
삼육대학교 후문 . 탐터고개에서 산행 시작합니다 .
담터마을 은 작은 야산이 담을 쌓은듯 마을을 감싸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온다 .
장기마을 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담터마을의 한문표기에서 나타난 것이다 .
옛날에는 담터마을로 불리우다가 일제시대에 양주군 노원면 장기리로 불리어 졌고 해방이후 다시 담터 라 부른다 .
화랑로 담터고개 4거리에서 우측 서울 신내동 방향 47 번국도 를 따라갑니다 .
다시 갈매역앞을 통과합니다 . 계속 47번 도로를 따라 갑니다 .
동구능로 를 지나 ,
다음 갈매순환로를 지나서 ,
서울 신내동과 경기 구리경계 언덕 에서 좌측 중량경찰서 방향으로 갑니다 .
이 코스는 구리 갈매공공주택건설 전 코스이며 ,
지금은 갈매역에서 동구능로 또는 갈매순환로를 따라가다가 갈매고등학교 신축부지에서 구룡산으로 가는 코스를 이용하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
중량경찰서 진입로 도를를 계속따라 갑니다 .
좌측에 깨끗한 화장실을 지나서 언덕을 돌아 가면 ,
이 굴다리를 통과합니다 . 굴다리를 지나면 구리 - 포천 고속도로 건설현장으로 도로를 통과 할수 없습니다 .
공사 현장에서 좌측으로 야산이 보이는데 예비사단 주둔지 입니다 . 예비사단 정문을 찾아갑니다 .
갈매역에서 동구능방향이나 갈매순환로로 가면 - 갈매고등학교 신축부지에서 구룡산을 지나면 예비사단철조망을 끼고 이리로 나옵니다 .
나는 구룡산을 텃치하지 못하고 지나쳐 왔습니다 . 이로인해 이번구간을 다시 산행을 해야 한다는 기로에 놓입니다 . 고민중 입니다 .
예비사단 정문 .
부대정문앞 구 도로는 구리 - 포천 고속도로 공사가 진행중 입니다 .
잘 아는길이지만 여기서 알바를 합니다 . 능선을 따라 오르며 부대철조망 안으로 들어가서 , 거리 460 m 16분 시간을 낭비하고 원위치 합니다 .
부대앞 다리를 지나 우측 이계단이 산행로 입니다 .
이후 구리 둘레길을 따라갑니다 .
좀 전에 부대앞에서 초소 안쪽으로 들어가면 나올수 없습니다 . 내가 알바한 초소 철조망 밖으로 통과합니다 .
부대철조망이 좌측으로 꺽이는 지점 . 직진합니다 .
딸기원 입구 . 구리 둘레길은 신호등을 건너 ,
나는 신호등을 건너 구리 둘레길과 갈리며 삼봉사 방향으로 올라 갑니다 .
.
삼봉사 입구를 지나면 망우리 공동묘지로 들어가는 입구 .
망우리 공동묘지 주차장 .
공동묘지 관리소를 지나면 양갈래길 . 망우산 은 좌측 포장길로 진행합니다 .
우측 포장길은 서울둘레길 2코스가 화랑대역에서 출발 망우리 공원묘지에서 만나 이곳에서 갈라졌다가 사각정자쉼터에서 다시 만나 ,
서울 환종주길과 나란히 광진역까지 이어집니다 .
이지점에서 구리 둘레길과 다시 만납니다 . 포장도를 벗어나 묘지숲으로 진행 합니다 .
계속 공동묘지를 지나며 한강을 조망합니다 .
망우산 3보루 .
망우산 (182)정상 . 이곳이 망우산 2 보루 .
망우산의 유래 . 망우리에 정씨의 조상이 있었는데 그 조상중 태조와 동문수학 하던 친한 친구가 있었다 .
어느날 정사에 골치가 아프던 태조가 자기가 묻힐 자리나 찾는다고 돌아다니다가 지금의 동구능 자리를 찾았다 .
묘자리를 정해 놓고 흐뭇해 하던 태조는 묘자리와 가까이에 있는 동문수학하던 정씨집에 찾아가 ,
이제 나 후세에 들어갈 자리를 마련해 놨으니 " 모든 시름을 잊었네" 라고 말한후 , 그때부터 걱정을 잊었다는 의미로 "망우리" 라고 했다 한다 .
망우산 전망대 공사중 .
아차산 일대 보루군(사적 455호) .
이곳 아차산은 용마산과 망우산 등 주변 산지가 연결되어 있고 , 조선시대까지는 이 모두를 아차산이라고 불렀다 .
아차산에는 능선을 따라 작은 봉우리마다 " 보루 " 라는 군사유적지가 있다 . 보루란 적을 막거나 적의 움직임을 살피기 위해 주로 산꼭대기에 만든 요새인데 ,
교통로 확보를 위해 주변 전망과 감시를 하는 초소로 여러개가 조를 이루고 있다 .
아차산의 보루들은 삼국시대 고구려가 만든것으로 475년 고구려(장수왕 63년)가 한간유역에 진출한후 551년 신라와 백제에 의해 물러날때까지 사용하였다 .
삼국시대 한강유역은 백제와 신라에게는 중국과 교류할수 있는 해상교통로로서 매우 중요하였다 .
4세기 중반 이후부터는 남진정책을 펼치던 고구려 에게도 한강남족 공략을 위해 반듯이 확보해야만 하는 전략적 요충지 였다 .
특히 아차산의 보루군은 백제한성기의 도성인 풍납토성과 한강건너 남쪽지역이 한강이 한눈에 조망되는 곳에 있어 한강을 사이에두고 대치관계에 있던 ,
당시의 고구려와 백제의 긴장관계를 잘 보여주고 있다 .
아차산에 산재한 약 20 여개의 보루들은 각각의 위치에 따른 저마다의 기능이 있다 .
가장북쪽의 수락산 보루에서는 남쪽의 아차산 일대가 잘 보이며 , 임진강 유역으로 부터 양주분지 , 중량천 , 한강유역에 이르는 고대 교통로 감시가 용이하다 .
망우산 보루에서는 북쪽 의정부에이르는 길목까지 볼수있고 , 용마산 보루들은 중량천일대를 방어하기에 적당하며 , 아차산 줄기의 보루들은 왕숙천변을 방어
하기에 유리하다 . 한강변의 낮은 구릉에도 지금은 사라졌지만 구의동보루와 자양동보루가 있어 아차산 일대와 한강변 평지를 조망할수 있었다 .
순환도로 삼거리 정자쉼터 . (망우산 2보루 0.6 km ) (관룡탑 보루길 0.8 km ) (한다리길 마을 2.7 km )
구리둘레길 갈림삼거리 . (관룡탑 0.59 km ) (정자쉼터 0.18 km ) 좌측길은 시루봉 갈림길이다 .
망우산 1 보루 .
망우산 보루중 훼손이 심한 2 , 3 보루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망우산 남쪽끝 봉우리(280.3)에 자리하고 있으며 용마산 보루와 시루봉 보루일대가 잘 조망되며 고구려 보루다 .
아차산 등산로 안내도 .
서울둘레길 2 - 17 지점 깔딱고개 . 계속해서 서울둘레길과 서울환종주길은 광진역까지 함께 나란히 함께갑니다 .
(사가정 1.6 km ) (서울둘레길 용마산 1.5 km ) (서울둘레길 망우산주차장 2.8 km ) (아치올 마을 0.9 km )
깔딱고개 570 계단길 .
570 계단을 오르며 한강을 조망합니다 .
낄띡고개 위 . 570계단을 올라왔다 . 올라온 사람의 수명이 35분 늘었으며 90 kcal 소비하였다 합니다 .
삼천갑자 동방석이 . 오르는데 35분 내려가는데 25분 합 60분 , 하루에 24번 오르면 불로장수 합니다 . 나는 불로장수 안 할랍니다 .
깔딱고개 위 바위 전망대 . 조망이 후련합니다 . 조망만 해도 수명은 늘어납니다 .
용마산 5 보루 헬기장 . 해발 316 m 에 위치하며 둘레는 약 132 m 내부면적은 936 평방메타 정도로 추정 .
용마산 능선에는 7개의 보루가 있으며 , 5 보루 는 서쪽의 중량천일대를 한눈에 볼수 있다 .
서울 둘레길 2 - 18 지점 . 용마산 4 보루 헬기장 . 용마산과 아차산이로 갈리는 지점이다 .
용마산 3 보루 헬기장 .
용마산 (348)정상에서 쎌프 .
운동시설 . 운동으로 다져진 멋진 육체미를 본다 . 예술작품을 보는것 같다 . 남성미가 넘쳐난다 . 잠시 발걸음을 멈추고 바라본다 .
여기 수평대를 잡고 있는 사람 , 수평대 위에서 허리 깍기 운동을 한다 . 넉을 놓고 바라보다가 디카로 찰영을 못했다 .
내가 대단하십니다 라고 인사를 하자 미소를 짖는다 . 바라보는 나도 즐겁고 기쁘다 . 감사합니다 .
나도 운동 하면되는데 못하고 있다 . 이 분은 나에게 동기를 주었다 . 동기는 계속 유효하다 . 다가오는 17 년을 기대해 본다 . 감사합니다 .
용마산을 빽하며 , 용마산 4 보루 밑 에서 아차산 4보루를 조망한다 .
아차산 4보루를 지난다 . 보루 조망이 쉬원하다 . 보루는 점점이 연계되어 설치되였다 .
둘레가 249 m 제법 큰 보루다 . 보루는 성벽과 건물터로 구성되였으며 , 지형의 경사면을 이용하여 바땉면을 돌로 쌓음과 동시에 안쪽 경사면을 뒷채움돌과
흙으로 다져 메우는 식으로 만들었고 외부 감시와 침입하는 적을 방어하기 유리한 곳에 치를 설치하였다 . 치를 설치하였음은 규모가 큰 보루다 .
성벽 안쪽의 건물터는 병사들의 생활에 필요한 온돌과 배수로 저수조 등이 배치 , 많은 유물이 발굴되었다 .
아차산 3 보루 .
아차산(296)정상 . 아차산 6개 보루중 가장 가운데 위치하며 , 동남쪽의 아차산 2 보루와 한강 이남은 물론 , 서쪽의 용마산 보루들을 바라볼수 있는 요충지 이다 .
성벽둘레 약450 m 내부면적 약 6,500 평방미터로 추정되며 아차산 일대의 보루중 가장 큰것으로 알려져 있다 .
아차 3 보루에서 한강을 조망한다 . 고구려 장수왕 63년 (475 - 551)77년동안 세대를 달리하며 보루를 지키던 장졸의 눈으로 한강을 굽어 본다 .
또한 백제의 장졸들은 몽촌토성에 장군대를 설치하고 강북의 동태를 살피고 있다 .
아차산 3 보루를 지난다 .
아차산 2보루를 통과한다 .
아차산 1 보루 .
5 보루에서 남쪽으로 200 m 떨어진 봉우리(250)에 위치한다 . 남쪽과 남동쪽으로 아차산성과 , 풍납토성 , 몽촌토성 자리를 한눈에 불 수 있고 ,
동북쪽으로는 아차산 5 보루를 볼수있다 .
1 보루에서 한강을 조망한다 .
1 보루를 지나며 잠실 롯데월드빌딩 조망 .
아차산성을 우회하여 관리사무소를 지나 ,
주차장 광장 . 아차산의 역사유적 .
아차산은 (285.8)인근에서 가장높은 지대로 남쪽으로 한강이남 지역 , 북쪽으로 북한산과 도봉산 일대를 한눈에 조망할수 있다 .
아차산성(사적 제 234호)은 아차산 정상부에서 남쪽으로 내려오는 능선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
이곳에서 백제의 개로왕이 고구려에 의해 처형당하고 , 고구려의 온달장군이 전사한 곳이다 .
광나루역(광진역)에서 오늘 산행을 마무리 한다 . l s m 3 7 산 행 인 이 상 목 항상 감사합니다 .
8차 환종주 산행은 광나루역에서 - 검단산 들머리 창모루 마을에서 마무리 됩니다 .
1차 = 15.01.13(화) = 창모루 마을 - 서문 = 18.46 km (검단산 , 용마산)
2차 = 15.01.21(수) = 서문 - 오리역 = 26.78 km (청량산 , 성남검단산 , 영장산 , 불곡산)
3차 = 15.01.30(목) = 오리역 - 대모산 갈림 = 34.49 km (광교산 , 백운산 , 바라산 , 청계산 매봉 , 인능산)
4차 = 15.02.07(토) = 대모산 갈림 - 석수역 = 24.02 km (대모산 , 구룡산 , 우면산 , 관악산 , 삼성산)
5차 = 15.02.21(토) = 석수역 - 명상길 구간 = 31.98 km (안산 , 인왕산 , 북악산)
6차 = 16.10.17(월) = 명상길 구간 - 담터고개 = 40.65 km (북한산 , 도봉산 , 사패산 , 수락산 , 불암산) * 이 구간은 5 산종주로 대체함 .
7차 = 16.12.03(토) = 담터고개 - 광나루역 = 16.57 km (망우산 , 용마산 , 아차산)
계 = 195.48 km (검던산 , 용마산 , 청량산 , 성남검단산 , 영장산 , 불곡산 , 광교산 , 백운산 , 바라산 , 청계산 , 인능산 , 대모산 , 구룡산 , 우면산 ,
관악산 , 삼성산 , 안산 , 인왕산 , 북악산 , 북한산 , 도봉산 , 사패산 , 수락산 , 불암산 , 망우산 , 용마산 , 아차산 = 27 개산 )
종주 거리 195.48 km 는 접속거리를 제외한 실제 연계거리 입니다 .
8차 = 00.00.00( ) = 광나루역 - 창모루마을 = 00.00 km (한강 자전거길 병행) 8차 구간은 12월 내에 마무리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