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17.04.11(화)한백팀.경기이천.정개산(467)천덕산(634)원적산(564)산행 .

lsm37 산행인 2017. 4. 12. 17:46

누구와 : 한백팀 (홍대장님, 임 최 강 황 고문님 나 계 6명) .

산행지 : 경기 이천 . 정개산(467)천덕산(634)원적산(564)산행 .

산행코스 : 동원대 넘고개 - 범바위약수 - 주능선 1 - 주능선 2 - 정개산 - 주능선 3 - 440.6봉 - 천덕산 - 원적산 - 산수유마을 - 도립1 마을회관 . 

산행거리 : gps 거리 9.99 km + 접속거리 0.55 km = 계 10.54 km + 클린거리1.054 km = 계 11.6 km .

           평균속력 2.36 km . 오르내림 969 m - 1025 m .

산행시간 : 09.35분30" - 15.13분23" = 5.38분(기타시간 = 식사 간식 33분 + 기타 28분 = 61분 포함)

날   씨 : 오전 흐림 . 오후 맑음(구름약간)13 - 15도 . 바람없음 .

기   타 : 클린산행 (산행거리 10% 추가) 대1봉 100% , 대1봉 75% 수집 . 산수유마을 6괴정 처리 .

          디카번호 5157 - 5261 = 105장중 80 장으로 구성 .

09시에 초월역이서 만나기로 했는데 좀 빨리왔다 . 오늘 6 분이 합류하여 버스로 이동한다 .


동원대앞 정류장 . 신촌리 넘고개 . 앵자지맥이 넘고개로 이어진다 . 



동원대학교 정문안으로 진행 .


동원대 새천년관에서 오른쪽 숲으로 진행 . 능선길을 막아놓았다 . 


산행준비를 하고 우측 임도로 떨어진다 . 나도 클린산행 준비를 한다 . 봉투 집게 번거로워 스틱은 사용하지 않는다 .


임도 따라 진행 . 


범바위(284) 약수터 . 


범바위 약수터 . 가파른 계단길 부터 시작된다 . 



주능 1 봉(출발 1.98 km 지점) . 넘고개를 지나온 앵자지맥 능선이 동원대 켐퍼스를 지나 이곳으로 연결된다 . 


우리보다 늦게 동원대를 출발한 산악회일행(동원대켐퍼스 지나옴)들 먼저와서 쉬고있다 . 


앵자지맥 능선을 따라간다 . 


주능 2 봉 . 433.4 삼각점 . 


주능 2 봉 . 타 산악회 선두그릅 회원들 .


철탑봉(465)서담봉(469) 막 지나서 있다 . 출발 3.08 km 지점 . 바로 철탑위에 정개산이 보인다 .


산행로 우측에 빗겨져 있는 소당산(정개산467)정상 . 출발 3.17 km 지점 .

이 산은 솥뚜껑을 엎어놓은 듯한 모양의 산으로 , 정개는 솥뚜껑 한자표기 . 함께한 일행들  .

 

정상 거리표 .     (범바위 약수터 1.65 km . 주능선 2 봉 760 m )


봉현고개((379)지석리 갈림 .     (지석리 1.3 km )     (범바위약수터 1.9 km . 정개산 250 m )     (천덕봉4.17 km . 원적봉 5.19 km )


잠시 쉬는중 . 사과 간식시간 .


골프장(492) 갈림길 .     (범바위 약수터2.4 km . 정개산 750 m )     (덕천봉 3.67 km . 원적봉 4.69 km)     (산수유축제장 5.92 km . 영원사 6.47 km )

 

주능 3 봉 (492)정상 . 간식시간 사과 , 도토리묵 ,막걸리 , 겸하여 점심식사도 한다 . 


주능 3 봉(492)정상 .    (범바위 약수 4.07 km . 정개산 2.42 km )     (천덕봉 2 km . 원적봉 3.02 km )     (산수유 축제 4.25 km . 영원사 4.8 km )


440.6봉 삼각점 봉 . 출발 5.71 km 지점 .    (천덕봉 1.6 km . 원적산 2.6 km . 앵자봉 12.65 km )     (정개산 2.7 km . 동원대학 5.44 km . 사태봉산 14.52 km )


앞으로 갈  천덕산 과 원원적산 조망 .


아취 소나무 .



경고문 . 군부대 사격장 탄착지점 . 박격포탄 불발탄 이나 유탄 지점이 광범위하게 표시되어 있다 . 


헬기장 .먼저온 산악회 회원들이 있다 . 


깃발 봉 에서 조망한다 . 


좌측 골프장 .


우측에도 골프장 .


앞서가는 일행들이 보인다 . 천덕산 정상과 원적봉 정상이 조망된다 . 


뒤돌아 지나온 능선길도 조망한다 . 


오르는 우측 계곡쪽 , 군부대와 이천시내가 조망된다 . 


앞서 가는 일행들 . 나는 항상 뒤로 쳐진다 . 


아니 뒤에 오는 일행도 있다 . 


천덕산 오르는 길 .



천덕산 정상 .     (원적산 1 km )     

                   (정개산 4.3 km. 동원대학 7.04 km . 사태봉산 16.12 km )     (앵자봉 11.05 km . 유사 1리 정류장 4.11 km .삼합리정류장 3.37 km )


천덕봉(634)정상 셀프 사진 . 넘고개에서 따라온 앵자지맥은 여기서 북쪽 앵자봉으로 갈린다 . 

천덕봉은 광주시와 여주시 이천시 시계 봉우리 다 . 원적산은 우측 동쪽으로 간다 . 

정상주변을 클린하니 대1 봉이 만탕이다 . 베낭에 짊어지고 대 2 봉째다 .




정상에서 능선따라 614.5봉과 원적산을 조망한다 . 


원적산으로 하행 한다 . 


정상에서 지나온 능선길을 조망한다 . 맨뒤에 철탑이 보이고 정개산(467) , 뽀죽한 봉우리 주능선 3 봉 (492)


원적산으로 하행중인 일행들 .



원적산(564)정상 .


원적산 정상 .


정상에서 조망한다 . 이천시 백사면 경사리 , 도림리 , 송말리 뒷산 .



영원사 갈림 .     (원적봉 0.1 km )     (영원사 1.64 km )     (낙수제 0.97 km . 산수유 축제장 1.13 km )


만발한 진달래 꽃밭 . 



쉼터에서 잠시 쉬며 일행을 기다린다 .


낙수제 삼거리 .     (낙수제 60 m . 산수유 축제장 220 m )     (원적봉 1,01 km . 천덕봉 2,03 km )


낙수제는 우측 계곡이다 . 


산수유 마을 종합 안내도 .


현위치에서 거리 .


산수유 단지 진입  .


축제장 그네 .

산수유 축제는 매년 4 월 두째주말 . 금년은 4.7일 - 9일(3일간 /금,토,일) 오늘은 축제 파장 분위기 이다 . 


산수유 나무 오래된 늙은 나무가 대부분이다 . 


세대교체 시기가 늦었는가 ? 

 

 여섯그루의 정자나무중 현재 까지 살아있는 세그루와 후손이 심은 세그루가 자라고 있다 .  

육괴정은 여섯분을 상징하는 정자 와 여섯분이 한 그루씩 심은 여섯그루의 정자나무를 함께 생각하게 한다 .


6 현 숭모제 (2017년 4월9일) . 도림리 육괴정 (향토유적 제 13호)이천 백사면 도립리 .

지금의 육괴정 건물은 팔각지붕에 한식 골기와를 얹은 본당과 이를 둘러싼 담장과 대문으로 되어있어 , 정자가아닌 사당의 형태로 변모 하였다 . 

지금의 본당은 정면 9  m 측면 이 3.78 m 이다 .

내부에는 임진왜란 당시 순절한 엄용순의 손엄유윤 의 충신정문과 , 남당 엄선생 육괴정서 , 육괴정 중수기 등의 현액이 걸려있다 . 

 

조선중종 14년 (1519) 기묘 사화로 조광조를 중심으로 이상정치를 추구하던 신진 사류들이 크게 몰락 , 이때 난을 피해 낙향한 엄용순이 건립했다는 정자이다 . 

육괴정이란 이름은 당대의 남당 엄용순을 비롯하여 명현 여섯 선비가 우의를 기리는 뜻에서 정자앞에 못을 파서 연을 심고 , 

각각 한 그루식 모두 6 그루의 느티나무를 심었다는 대서 유래되었다 . 

그러나 세월이 지나는 동안 연못은 메워지고 , 6 그루의 느티나무중 3 그루가 고사하여 후손들이 다시심어 그 대를 이으고 있다 .

 

육괴정(느티나무)중 살아있는 세 그루 중 한 나무 . 까치가 두군대 둥지를 틀었다 . 


클린 대1봉 100% , 대1봉 75 % . 까치집이 있는 육괴정자 나무에 쑤레기 분리수거대에서 분리 처리한다 . 고맙습니다 . 


산수유 막걸리 .약간 붉은색이 나고 6 도 달착지근 한 맛 이다 .

 

하산 전주 다 . 


육괴정 느티나무 아래서 .


살아있는 두 나무 .


살아있는 세번째 나무 . 현재 2017년 - 1519년 = 498 년 묘목을 심었으니 약 500년 수령이다 . 후손이 심은 나무도 잘 자라고 있다 . 


까치가 둥지를 튼 육괴정  .



남당(연못) . 육괴정 앞 마당에 있다 .

이 연못은 조선 중종 14년(1519) 기묘사화 때 진사 엄용순이 은둔하여 이곳에 연못을 파고 남당이라 하니 , 

이는 남천(이천 고을에 연못)연못이라는 뜻이며  모재 김안국을 비롯한 신진사류 시인묵객 들이 도의강론 하던 조선시대 전형적인 연못이다 . 


도림리 육괴정 버스 정류장 . 행사기간 전후로는 버스가 들어오지 않는다 . 도립 1 리 마을회관 앞까지 가야한다 . 


걷고싶은  둘레길 종합안내 . 하지만 나는 산길로만 걷고싶다 . 


도립리 마을회관으로 가는길 . 중간 중간에 축제의 분위기가 남아 있다 . 


도림 1 리 마을회관 . 산행 종료한다 . 귀경중 하산주후 해산한다 . 함께한 한백팀 홍대장님 , 임 , 강 , 황 , 최고문님께 감사합니다 . 즐거운 산행이 였습니다 . 

                                                        l  s  m   3 7   산 행 인  이 상 목  항상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