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3.25(월)북알예행50차<마지막 날>(남한산성 종주,좌행3+4코스)산행 .
누구와 = 나홀로 산행 .
산행지 = 북알예행50차<마지막 날>(남한산성 종주,좌행3+4코스)산행 .
산행거리 = 12.77 km(평균3.16 km) ( 최고 7.20 km)
산행시간 = 05.46분53" - 09.55분35" = 4.08분52"(기타시간 06분16" 포함)
날 씨 = 흐림 / -3도~+8도<시간별 온도차큼>/ 미세먼지나쁨 / 정상능선 서북풍 차다 .
기 타 = 디카번호 6710 - 6778 = 69장중 65 장으로 구성 .
* 북알예행(남한산성종주)산행은(18.11.23일 - 19.3.25일) 138일동안 예정대로 50회 완주하였다 .
* 138일동안 북알예행(남한산성중주)산행만 50회종주하며(예정일자 3 월말) ,
총거리 628 km 총산행시간 212 시간 04분 소요 , 1회 평균거리 12.56 km / 시간평균 3.1 km로 기록되었다 .
* 앞으로 북한산종주 10회를 완주하고 마지막은 오산종주로 마무리한다 . 예정일자는 5월말 전이다 .
gps 통계 & 트렉 .
마천역 1번출구에서 산행시작 .
오늘이 북알예행산행 마지막 50회 산행이다 .
오늘 주된 탐방코스는 <수어장대> <사대문> <본성에 있는11개암문> <옹성> <옹성치> <장대>등 이다 .
만남의 장소 .
산불초소 . 3코스 상행 . 스틱을 사용하려는데 한짝만 작동하여 외짝스틱을 사용한다 .
3코스 중간 쉼터 포인트 . 두분도 열심히 매일산행을 하시는 분이다 . 여기서 몸풀기 운동을 하시며 서문까지 다녀가신다 .
내가 새벽첫차로 오는날마다 만나는팀들은 거의 같은 위치에서 조우하는데 , 그분들은 매일빠지지않고 산에 오시는분들이다 . 대단한 열정이다 .
서낭당 .
사대문중 서문 . 사대문은 내외문이 윗부분이 무지개모양으로 둥굴게만든 "홍예문"이다 .
서문 . 수어장대 우측에있어 우익문이라고 한다 . 오늘 좌행하는날 . 왼쪽으로 종주한다 .
연주봉 옹성암문(관리번호 제5암문) . 형식적인 옹성치는 암문위에 있고 옹성은 약 150 m능선으로 나가있다 .
성안은 평거식문이고 밖은 홍예문이다 .
성을따라 가면 , 북장대지 . 성벽에 형식적인 옹치가(장치)설치되여있다 .
부연 설명을 하자면 옹성에 옹성치가 설치되고 장대앞에도 옹치(장치)가 설치되였다 . 그 기능은 다르며 남장대를 제외하면 형식적인 모양뿐이다 .
북문 . 전승문이다 . 한때 기습한적군을 물리처 크게 승리했다고 붙여졌다 .
종주는 성길을 따라 한바퀴 도는것 . 보이는 봉우리가 동장대이다 .
동장대로 가며 뒤돌아 지나온 성길과 수어장대(중앙 높은곳) 조망 . 성밖길은 눈이 남아있다 . 지금 기온은 - 3도 북서풍이 차갑게 분다 .
제4암문 . 성안쪽은 평거식문 .
성밖은 홍예문 이다 .
제3암문 . 동장대 암문이다 . 이 암문은 외성으로연결된 봉암성과 한봉으로 연결된다 . 장비와 많은 인원이 다니는 길로 비교적 큰 문이다 .
봉암성과 연결되는 외성에 있는 제 12암문 .
동장대 . 봉암성이 내려다보이는 위치에 있다 . 이곳치는 옛성 여장모양을 유지하며 보수하지않고 고증으로 삼고있다 .
동장대에서 봉암성을 본다 .
봉암성은 벌봉을 포함하고있으며 제13암문 , 외동장대부근(남한산정상)에 제 14암문이 파손된체 무너저있고 중간에 포대를 사이에두고 한봉으로 이어지는 제15암문이 있다 . 제 16암문은 한봉 가기전에 본성방향으로 설치되여있었으나 지금은 없는것으로 안다 .
앞에 보이는 능선 아래봉이 한봉이다 . 동녘에 해가 구름속에갇혀있다 . 오늘 일출은 06.29분이다 .
제2암문 장경사신지옹성 암문 .
장경사 신지옹성 .
이것이 장경사 신지옹성이다 . 옹성 나무뒤에 보이는 것이 한봉이다 .
제2암문 . 암문 성내외가 평거식문이다 . 장경사 신지옹성은 본성이 완성된후에 한봉을 견제하기위하여 축성된 옹성이다 .
암문 옆 본성과 옹성사이 보수하기 오래전부터 무너진 상태로 있을때는 나는 이것이 옹성밖으로 통하는 암문자리로 알고있었다 .
한봉입구에 있는 제16암문이 장경사신지옹성과 출입하던 암문이라는 설명(제2암문 설명에서)으로보아 이곳에도 암문이 복원되여 있어야 하는데 ,
빠져있는지 의문이다 . 옹성의 대문일부를 을 열어놓을수는 없다 .
장경사로 가기전 . 제1암문 을 당겨본다 . 밖은 홍예문이고 안쪽은 평거식문이다 . 잠시후 가보기로 한다 .
장경사 .
제1암문 . 장경사 암문 .
이암문은 오래전 남한산성 탐방기록을 올릴때 조사해본 바로는 , 성안 밖 바닥에 여러겹의 돌들을 쌓아 수로로도 겸하여 사용한듯 합니다 .
장경사 일대에서 흘러나오는 빗물의 양이 잠시후에 볼 장경사 수구통의 용량으로는 턱없이 작아 이 암문을이용 물을 성밖으로 흘려 보냈을 것으로 추정했다 . 암문의 구조가 성안쪽이넓고 성밖쪽이 좁다고 하는데 물을 밖으로 내보내는 기능상 구조라고 생각한다 . 목측으로는 구분할수없었다 .
또한 이 암문을 이용 한봉에있는 제16암문과 물류가 왕래했을것으로 추정된다 .
장경사 암문을 지나며 장경사 수구통을 본다 . 장경사 일대의 빗물이 외부로 나가는 수구통은 이것뿐이다 . 겸하여 암문을 수문겸용으로 사용 추정 .
그때 궁굼증을 제1암문을 유심히 관찰하며 얻은 결론이다 . 암문의 주기번호는 관리상 번호로 장경사암문부터 시계반대방향으로 붙였다 .
성벽과 여장사이에 설치된 두기의 포구 . 어느성에서도 볼수없는 포구의 모습이다 . 유일하게 이곳에서만 본다 . 바로앞이 한봉성이다 .
가까이 있어 한봉에 적군 또는 포대를 공격할수있는 장점이 있지만 한봉보다 낮은곳에 있어 먼저 포격받을수도 있다 .
필요에 의해 급히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 장경사 신지옹성이 꼭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
남한산성 . 전에 탐방기를 기록할때 200여회를 종주(지금은 300여회)하였지만 쓰는 기간중에 궁굼한것이 있어 9번을 더 돌아봤다 .
그러며 느낀다 . 남한산성은 참으로 아름다운 성이다 . 요세와 같다 . 내가 사랑하는 산성이다 .
1만의 병사로 능히 10만의 공성을 막아낼수있는 자연과 조화를 이룬 성이라고 , 내 산행의 발원지이기에 더욱 애착이 가는성이다 .
동문 가기전 서문기점 중간지점 , 남장대 올라가는 성길과 검단산(신남성)을 조망한다 . 신남성은 답사를 못했다 .
산행겸 답사를 가본적이 있는데 이직도 지뢰표시가 남아있다 .
동문 . 행궁 좌측에 있어 좌익문 .
제11암문 . 동암문 .
동암문 . 성안은 평거식문이다 . 암문중 제일 크다 .
제11암문 . 성밖 홍예문이다 . 시구문이라고도 불렸다 .
조선말 천주교 박해때 순교한 천주교신자들의 시체가 밖으로 나간곳 , 천주교인들의 순례장소이다 .
제10암문 . 해돋이 명소 . 평거식 / 홍예문이다 .
제10암문에서 동쪽을 본다 . 해는 구름속에서 나올줄을 모른다 .
제3남옹성 .
제3남옹성치 . 옹성치는 설명문과는 조금 다른용도로 본다 . 포대 지휘소가 적당하다 . 지휘부가 위치한 곳에는 장치가 설치되여있다 .
장대앞에는 장치가 설치되여 있으며 산성에서 없는곳은 서장대뿐이다 . 서장대자리는 수어장대가 들어가 있다 .
제3남옹성옆에 돌로 축조된 유물들이 보인다 . 용도가 궁굼하다 .
제 9암문 . 제3남옹성암문 . 평거식 / 홍예문이다 .
남장대 .
남장대 . 제2남 옹성치 산성에서 규모가 제일크다 . 신남성과 마주하고있다 .
제2남 옹성치 .
제2남옹성 . 산성에서 규모가 제일크다 . 자세한것은 남한산성탐방기에서 볼수있다 .
제8암문 . 제2남 옹성치 암문 . 평거식 / 홍예문이다 .
제1남옹성 . 작년에 복원 마무리하였다 .
제7암문 . 제1남옹성 암문 . 성안팍이 홍예문이다 . 암문은 그 용도에 따라 규모를 달리하였다 .
제1남옹성옹치 .
이 문은 성남검단산 군시설물과 통하는 문이다 . 문화재와는 별개의 문이다 .
남문 . 지화문 .
성안에서 보는 홍예식남문 석축과 주변 성돌은 1892 - 1893년 이폴리트 프랑뎅(프랑스영사및 전권공사)이찍은 사진과 똑같다 .
벌어진 성돌과 무늬까지 변함이 없다 . 그당시는 성안에 돌계단으로 되여있어 우마차는 통행할수없었다 .
126년의 세월이 흘렀지만 변한것은 사람들 뿐이다 .
그 당시의 사진 .
제6암문 . 서암문 . 밖에서 본다 .
서암문 . 안과 밖 평거식이다 .
수어장대 .
수어장대 . 북알예행산행 50회 마무리 하며 처음으로 수어장대 방문한다 .
수어장대와 청량당 .
수어장대 입구 .
롯데타워 . 미세먼지 나쁨 .
서문 원위치 한다 .
마천역 1번출구(05.46분53") - 서문(06.41분14") = 2.73 km (0.56분) 3 코스 .
서문(06.41분14") - 서문 원위치 (09.01분04") = 7.23 km (2.20분) 좌행 .
서문(09.01분04") - 마천역 2번출구(09.54분09") = 2.81 km (0.53분) 4코스 .물5병 . 기타시간 6분 포함 .
계 = 12.77 km(4.09분) 좌행 / 기타시간 6분 포함 / 물5병 베낭 17.5 kg .
4코스 중간 포인트 돌탑 .
유일천 물5병받는다 . 출발때 보다 온도가 많이 올랐다 .
산불초소 .
만남의 장소 .
마천역 2번출구 . 오늘 산행 마무리 한다 . 북알예행산행 50회 중간에 좀 지루했다 . 무사히 끝나서 즐겁다 . 다음은 북한산 종주로 이어진다 .
l s m 3 7 산 행 인 이 상 목 항상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