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09(목)강송/충남논산,양촌/바랑산(555.4)큰층(547)월성봉(650.9)산행 .
누구와 = 강송산악회 .
산행지 = 충남논산시 양촌면/바랑산(555.4)큰층(547)월성봉(650.9)산행 .
산행코스 = 채광 2리회관 - 절터골 - 갈림길 - 바랑산 - 큰층 - 뜸터고개 - 월성봉 - 능선 갈림길<법계사 갈림> - 수락주차장 갈림<무주재> - 계곡합수점 -
용바위 - 앉은굿당 - 대둔산참전유공자비 .
산행거리 = gps 총거리 8.90 km(도상거리 8.54 km) (평균 000 km) (최고 7.20 km) (고도 672 m. 84 m) (오르내림 962 m - 927 m)
산행시간 = 10.10분18" - 13.23분11" = 3.13분(기타시간 10분45" 포함)
날 씨 = 맑고,구름 많음 60% / 영하 3도 - 영상 6 도 /미세먼지 보통 / 바람없음 . 산행하기 좋은날씨 .
기 타 = 디카번호 6607 - 6772 = 166장중110장으로 구성 . 동영상 6765 = 32초 .
* 월성봉 정상에 눈꽃이 장관이다 . 금년에 눈꽃 처음본다 .
산행 개념도 .
A , B 팀 출발지점 과 하산지점은 위령비 .
개념도 확대 .
대둔산 도립공원과의 연계도 . 참고 .
산행은 논산시 양촌면 채광 2 리 마을회관에서 시작한다 . 원위치 산행이지만 하산은 마을회관에 오기전 위령탑까지 버스가 올라와있었다 .
오늘도 A ,B 코스로 나뉘어 산행을 하고 나는 A 코스로 간다 .
A 코스 일행들 .
임도를 따라가다가 이지점에서 우측 능선으로 오른다 .
월성산 , 바랑산 등상로 . 오산리 갈림길 . 허총무일행과 나는 후미팀에 속한다 . 선두 일행들은 모두 앞서갔다 .
허총무 일행들 . 여기서 나는 일행들보다 7 분후 뒤 쫒아간다 . 한동안 단독산행을 한다 .
절터 지나며 능선으로 오르는길 경사가 급하다 .
능선으로 오르는길 . 바위 전망대에서 지나온 길을 뒤 돌아본다 .바로 아래 임도가 보인다 .
서래야님 과 또 한분 . 맨 후미에 오는 일행이다 . 바랑산 올라가는길 길도 희미하고 경사도 급하다 .
출발 3.06 km 지점 . 바랑산 (555.4)정상 .
정상에서 만난 이분은 산을 잘알고 잘 타는분으로 알바했거나 코스외 다른봉을 다녀온듯하다 . 선두그릅에 갈 분이다 .
바랑산 안내 . 산의 생김새가 바랑처럼 생겼다 하여 바랑산이라 부른다 . 바랑은 스님이 불구나 시주물을 넣는 구럭이다 .
바랑산에서 월성봉(다리성봉)지나 능선갈림길까지 남쪽 사면은 응회암류의 기반암 절벽이 산정을 이루고 있어 , 산세 또한 절경을 보여준다 .
오늘 대단한 경관을 보게된다 .
바랑산(555.4) 정상에서 셀프 .
출발 3.06 km 지점 / 고도 470 m . 절터에서 정상까지 거리 760 m / 고도 272 m 치고 올라왔다 . 지도상에 표시된 산행로와 약간 다르게 올라왔다 .
바랑산 0.1 km 지점 . 월성봉 1.8 km 지점 .
양촌면 사무소 일대 농경지 조망 .
지나온 능선길 조망 . 절터지나서 조망대 봉우리가 보인다 . 보이는 능선을 타고 올라왔다 .
양촌면 일대조망 . 우측봉이 조망대봉이고 좌측봉이 큰층봉우리 시작봉이다 .
영주사 갈림길 이정표 .
영주사는 대둔산 여러 들머리중 하나이기도 하다 . 오산 2 리는 오늘 하산지점이다 . 우리는 월성봉으로 간다 .
큰층 시작되는 응회암류 기반암 절벽이 장관으로 조망된다 . 산행로 남쪽면이다 .
까마득한 절벽이다 .
큰층(547) . 기반암 절벽을 이루는 일대를 지칭하는 명칭이 아닌가 생각된다 .
출발 3.73 km 지점 . 큰층(547 m)절벽 . 모든곳이 전망대이며 경관이 아찔할 정도다 . 아찔한 경관을 보자면 위험이 따른다 .
산이 있네 .
싸리문밖 느티나무 꼭대기 달을 걸어 놓으니 ,
속세의 시름이야 흐르는 세월의 강 을 건너네 .
산 이여 !
고독해 하지 마라 .
강 건너 덕배 머무는 이곳은 극락이니
행여
외로울까 이 마음 한응큼 때어 놓고 가네 ,
강 건너 덕배 님 을 추모하며 ,,,,,, 2007.11.18 산우일동 . 추모비 .
산에서 일어나는 안전사고는 위험한장소에서만 일어나지 않고 어디서든 안이한 방심에서 발생한다 .
큰 층은 계속된다 .
큰층 아래는 전부 절벽이다 .
큰층 능선위는 원만한 숲길이다 . 경관을 즐기려면 위험을 감수하며 절벽으로 가야한다 .
앞에 보이는 능선은 B 팀 산행로 이다 .
양촌면 사무소 일대 조망 .
절벽위에서 당겨본다 . 헬기에서 보는것 같다 . 아래 마을이 오산리 하산지점이다 . 중간이 있는 건물은 기도원 ? 종교시설 ? 알수 없다 .
큰층을 거의 지나간다 . 사진 좌측에 월성봉이 보인다 . 눈꽃이 피었다 .
월성봉(650.9)을 당겨서 본다 . 눈 세상이다 .
반면에 산 아래는 비닐하우스 세상이다 .
출발 4.03 km 지점 . 안부에 해당하는 뜸터고개(485) . (법계사 0.8 km) (바랑산 1.2 km) (월성봉 0.9 km)
여기서부터 대둔산 도립공원경계표시가 보인다 .월성봉 까지가 대둔산도립공원에 포함된다 .
뜸터고개(485) . 허 총무님을 만난다 . 여기서 월성봉 정상까지 빡세게 올라가야 한다 . 하지만 설화를 보러가는 발걸음은 가볍다 . 금년에 처음 볼 것이기 때문이다 .
분재 소나무 . 이 주변에도 절벽 조망처가 많이있다 .
절벽 조망처에서 월성봉 설화를 당겨서 조망한다 .
국가 지점번호 . 다 마 8082 9412 (546 m) . 대둔 07 - 5 지점 .
오늘 산행로에서는 월성봉일대 까지와 하산지점 굿당입구에 대둔산 도립공원 경계표시가 있다 .
앞서가는 허 총무님 . 발걸음이 빠르다 . 정상이 가까워지며 상고대가 보이기 시작한다 .
이정표 . (월성봉 0.1 km) (바랑산 1.7 km) (영주사 3.7 km)
파란 하늘에 흰눈 , 흰 구름도 두둥실 떠 간다 .
월성봉 탐방로 안내 . (흔들바위 0.18 km) (수락매표소<계곡>1.35 km) (바랑산 1,46 km)
수락리로 내려가는길이다 . 앞에 보이는봉우리 뒤가 대둔산 마천대 일대다 .
월성봉 (650.9)정상 시설물 .
한 겨울산 속에 들어와있는 기분이다 .
허총무님 . 큰층을 배경으로 ,
출발 4.81 km 지점 . 월성봉(650.9)정상 셀프 .
정상에서는 바랑산 - 큰층 능선이 한눈에 조망된다 .
대둔산 월성고지 전적지 .
이때 학살당하거나 공비들과 격전을벌이며 회생된 지역민들의 참전유공자 탑(오산 2 리)이 오늘의 하산지점이다 .
왼쪽 흔들바위 .
바랑산과 큰층 배경으로 흔들마위 . 올라가서 흔들어 볼까도 했지만 참는다 . 위험하다 .
백설을 뒤집어쓴 낙낙장송 .
허총무는 안끼는 장소가 없다 .
정상이 점점 멀어진다 .
바랑산과 큰층 . 지나온 능선길 .
하산길 급한 내리막이다 .
양촌방향 법계사 갈림길 . (월성봉 0.63 km) (양촌<법계사>1.35 km) (수락주차장 2.39 km)
무수재 내려가는길 . 산행로 우측으로 기반암 절벽은 계속된다 .
옛 산성터 . 후미로 함께가는 일행이다 .
무수재 내려가는길 . 좌측에 월성봉정상이 보이고 지나온 능선길 이다 .
무수재로 내려가는길 .
뒤 돌아보니 허총무가 내려온다 . 허총무는사진을 많이찍다보니 뒤로 쳐 젔다 .
무수재로 내려가는길 . 양촌면 일대를 조망한다 . 오상 2리 하산지점도 보인다 .
소나무 전망대 . 기반암 절벽은 계속된다 .
대둔산 방향 조망 . 대둔산 정상엔 눈이 많이 쌓여있다 .
당겨서 본다 . 좌측 아래에 승전탑이 보인다 . 이탑은 동학형명 승전탑이다 .
대둔산 .
당겨서 본다 .
더 당겨서 본다 .
무수재로 가는길 . 뒤 돌아 조망한다 .
출발 6.17 km 지점(419) . 대둔 5 - 11 지점 .
출발 6.34 km 지점 . 무수재(370) . 수락주차장 갈림 .
무수재 거리표 . (양촌 오산리 2.75 km) (수락주차장 1.35 km) (월성봉 1.66 km . 바랑산 3.6 km) (마천대 4.25 km) (Wk개봉 2.2 km)
짜개봉은 B 팀 내려오는 봉우리 . B 팀과 무수재에서 만난다 .
무수재에서 일행들을 만나 함께 하산한다 . 박건석 서래야 님도 도착한다 . 산이름 붙이는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
계곡(220) 합수점 . (짜개봉 2.76 km)
길은 분명치 않고 계곡따라 하산한다 .
용바위 . 치성대 .
비닐하우스 굿당이다 .
산행 날머리 . 대둔산도립공원 경계표시 .
대전 광역시 무형 문화재 제 2 호 . 앉은굿 설경 보유자 송선자 하우스 .
앉은 굿당 시설물 .
굿당 시설물 .
지나온 능선길 .
지나온 능선길 .
응회암류 의 기반암 절벽 . 아래서 올려다 본다 .
확대해 본다 .
큰층 .
큰층 .
상행시 올라간 전망대봉과 능선길이 조망된다 .
큰층과 우측 월성봉 조망 .
하산지점 . 대둔산 참전유공자 탑
6.25 피학살 현장 . 충청남도 논산군 양촌면 오산리 .
이 곳으로부터 대둔산 쪽으로 약 1 km 떨어진 멱수바위 옆 계곡은1950년 9월 하순 논산군 일대의 주민 200 여 명이 학살당한 원통한 현장입니다 .
전세가 불리하여 대둔산으로 도주하던 북한 공산도당은 강경읍 농협창고에 가두었던 성동면 부적면 채운면 일대의 마을유지들과 청년회원 국민회원 군경 공무원
가족들을 이곳에서 돌과 죽창 쇠스랑 등으로 무자비하게 살해 하였습니다 .
당시의 현장은 산 사태로 무너진 돌더미에 덮여 아직도 찾아가지 못한 유골이 묻힌 채 원혼들의 넋이 서려있습니다 .
이에 6.25 동란 35주년을 맞아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회생된 영령들을 추모하고 피흘림 없는 조국통일을 기원하면서 한국방송공사는 삼가 이 비를 세웁니다 .
대둔산 참전 유공자 탑 . 2007년 6월 20일
상세내용 참조 . 김일성에 의해 저질러진 6.25 전쟁이다 . 역사에 확실한 기록으로 영구히 전해져야 한다 .
대둔산 참전 유공자탑 .
바로 옆 공지에서 하산주식후 귀경한다 . 함께한 모든분께 감사드리며 금년 처음으로 많은 눈과 상고대 눈꽃을 보았습니다 . 건강한 모습으로 다음주에 만나요 .
l s m 3 7 산 행 인 이 상 목 항상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