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 서울 오산종주 왕복산행 예고 .
최초 작성일 20.05.18일(월)
실행일 = 6.4~5((목, 금) 또는 6.8~9(월, 화) , 날씨 따라 연기될 수도.
누구와 = 나 홀로 산행.
산행지 = 서울 오산종주 왕복 산행.
산행코스 = 우이 역-하루재-백운대-산성 주능선-비봉능선-족두리봉 정상-백-백운대-하루재-우이역-
도봉 주능선-신선봉-포대능선-산불초소-사패능선-사패산 정상-범골 능선-회룡역-동막골-
수락산 정상-덕능 고개-불암산 정상-백-덕능 고개-수락산 정상-동막골-회룡역-범골 능선-
사패산 정상-산불초소-신선봉-원통사-우이 역 하산 지점.
산행거리 = 약 80 km.
산행시간 = 07.00~다음날 21.30분(오후 9시 도착) = 총 소요시간 39시간 30분 예정(40시간 내)
날씨 조건 = 음 보름 2-3일 전후 맑은 날. 우천 및 악천후 시 연기.
기 타 = 영상 / 폰 사용. 스틱 사용. 배낭 소 / 7~8 kg 내. 간편 기본 장비 외 보온 외투. 렌턴 2개.
보조배터 리 등. 3회 매식 / 간식 및 정제 식수 6 리터.
안전산행 = 전 구간 적용.
산행의 의미 = 70대에 1차 완주 후 , 80대에 2차 완주를 하며 , 90대에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생각하며 ,
90대에 왕복은 못해도 편도 종주를 해보자라는 목표를 설정한다.
그러자면 그때까지 몸 관리를 잘 유지해야 한다 .
* 이번 3차 산행은 2 차 산행에서 미비했던 점을 보완한다.
1, 왕복 시 신선봉과 백운대를 힘들다는 이유로 건너뛰며 , 완주 후 후회한 점 ,
2, 사전 예정시간이 40시간 내였는데 55분 초과된 것 , 렌턴 문제로 해결할 수 있다.
완주의 가능성 = 확률은 49대 51이다. 01의 확률로 실행한다. 40시간 내 잠시도 방심하면 실패한다.
문제점 = 1, 체력의 저하 100 분율 95 % 최고점일 때 /현재 50 % 유지 / 가산 -3~5 %. 보충이 어렵다.
2, 체력상항 2003,12,23일 산행시작 후 , 맹 훈련기 2년/ 숙련기 5년/ 성숙기 3년 /쇠퇴기 진행 중.
3, 이번에 실패하면 재 도전은 불투명하다.
산행코스 = 다양하다. 들머리 = 불광역, 독바위역 / 상계역, 청록약수터, 학도암, 태능 100세문 ,
이번 3차는 우이역 ~ 북한산지역 왕복 후 도봉산, 사패산 , 수락산, 불암산 왕복 원위치 방법을 택한다.
* 지난 완주코스 = 1차 , 독바위역 정진초소 출발 - 원위치 . 2차 , 불광역 동아아파트 출발 - 원위치 . 시간계획 도표 =
시간 계획 첨부.
출발 =우이역(07.00)-백운대(09.00)-족두리봉(12.50)-백운대(17.50)-우이역(19.40~20.40)-신선봉(23.00)-사패산(01.00)-회룡역(02.30~03.30)-수락산(06.30)-불암산(09.00~09.10)-수락산(11.50)-회룡역(14.40~15.40분)-사패산(17.40분)-도봉산(20.00)-우이역(22.30<오후 10.30분>) (총시간 = 29.30분)
* 시간계획 = 왕복시 회룡역-우이역 구간 오차 발생 ,
다양한 코스 시간계획이 취합하는 과정에서 혼동되며 착오 발생 . 다시 수정한다 .
6월 중 실행.
실 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