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12.08(화)일반산행 / 남한산성 종주 산행 .

lsm37 산행인 2020. 12. 8. 14:01

언제 = 2020.12.08(화)

누구와 = 나 홀로 산행.  

산행지 = 일반 산행 / 서울 근교 / 남한산성 종주 산행.

산행코스 = 마천역 1번 출구-산불초소-서문-(성 밖길)-산성 전망대-북문(성안길)-동장대-장경사 신지 옹성-장경사

               -동문-남장대-남문(성 밖길)-서암문-5코스로 하행-일장천-산불초소-만남의 장소-마천역 2번 출구.

산행거리 = gps 총 거리 13.25km (도상거리 00.00km) (평균 거리 2.78km) (최고 5.40km) (고도 530m. 70m)

                                           (오르내림 1,300m - 1,322m)

산행시간 = 05.45분 55"- 10.25분 00" = 4.40분 00"(기타 시간 15분 00" 포함)                             

날   씨 = 맑음(새벽안개). - 5도. 미세먼지 보통. 습도 80 - 50 %. 바람 없음. 

기   타 = 클린산행 안 함.    

폰 사진 = 80장 중 61장으로 구성.

실   행.

gps 통계 & 트랙. 

새벽 영하 5도 정도였는데 45%가 남은 배터리가 얼러서 ,

청량산 삼각점 꼭짓점(5코스 갈림)에서 작동을 중지하여 , 작동되지 않은 거리/시간을 추가하였다.

 

마찬역 1번 출구. 

오늘 산행은 어제 매일 산행을 가지 않은 벌칙 산행이 된다. 

산행 초기에 피곤하다는 이유로 매일 산행을 게을리할 때마다 종주산행을 한 적이 있어 그 맥락에서 한 산행이다.

앞으로도 피곤하다고 잠을 잘 못 잤다고 핑계를 대며 매일 산행을 기피할 때는 무조건 종주산행을 할 것이다.

 

만남의 장소. 

 

산불초소. 클린산행 안 함.

의외로 주변이 환하다고 생각하니 중천에 초승달이 웃고 있다. 오늘은 렌턴을 켜지 않고 올라간다. 

 

3코스 서낭당. 어제 쉬었더니 발걸음은 가볍다. 내 사고가 나를 옭아매는 것 같다. 어떻든 산에 오면 기분은 참 좋다.

이제 생각해 보니 이틀 전 일요일 산성 종주한 생각이 난다.

내일 매일 산행을 하지않으면 모래 또 종주산행을 해야한다 . 내일은 꼭 매일산행을 하자.

 

서문. 오늘은 시계 방향으로 돈다.

 

산성 전망대. 롯데타워 점멸등이 켜젔을때 찰칵 쉽지 않아 몇 번 시도한다. 롯데타워 불빛이 밝혀 저야 야경도 사라 난다.

 

성 밖길로 진행 연주봉 옹성 암문 통과하며 동녘이 밝아온다.

동장대에서 아침해를 볼 수 있을까? 그러자면 부지런히 가야 할 것 같다. 

 

북문으로 내려가는 길. 나무 사이로 고골 마을과 하남시 일부가 조망된다. 

 

북문에 도착한다.

 

여기서부터 남문까지 성안길로 갈 수 있다.

 

하남시 일부가 잘 보이는 지점이다.

오래전에 이곳을 고골이라고 불렀고 춘궁리라는 마을이 있다. 옛 궁궐이 있었던 곳이라고 한다.

 

고도 430 m 지점에서 지나온 길을 뒤 돌아본다.

사진 좌측이 남문이고 무명 봉지나 영춘정이 솟아있고 중앙 수어장대. 우측에 서문이고 맨 끝 부분에 연주봉 옹성이다.

 

하늘에 붉은 줄무늬 구름이 머리 위로 흘러간다.

 

멋진 구름이다.

 

가파른 성길을 힘겹게 올라가면 동장대가 보인다. 아침해가 올라오는 조짐이 보여 발걸음을 빨리하였다.

동장대 왼편에 암문이 보인다. 본선에서 봉암성으로 연결되는 암문이다.

 

동장대. 마침 해님이 동산 위에 떠 올랐다. 정시에 맞추어 올라왔다. 

 

아침해와 구름이 조화를 이룬다. 장관이다.

 

본성에서 제일 높은 곳 동장대에서 일출을 보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동장대. 여기서 롯데타워가 조망되지만 사진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구름이 뻗어 나오는 곳 남한산 정상부이다. 봉암성은 벌봉을 포함하여 남한산 정상 주변을 포함한다.

 

퍼져 나가는 구름의 끝부분은 서편하늘 끝까지  가로지르고 흘러간다. 황홀한 경관이다. 

 

장경사 신지 옹성과 일출을 감상한다. 해님 우측 봉이 한봉이다.

 

성안길로 계속 진행한다.

보이는 한봉 위에 둥근 해를 올려놓고 팔 광화토를 만들려고 하지만 5-6분을 기다리지 못하고 지나친다. 

 

능선을 오르내리며 시도를 해보지만 시간을 더 투자해야 한다.

 

화토 팔피만 한 장 만든다.

 

장경사로 내려가는 길. 중앙에 성남 검단산 (신남성) 정상 통신시설물이 보인다. 

 

한봉 우측에 해님. 언제인가 팔광 만들어 본 적이 있다. 

 

장경사 지나온 지점. 한봉과 마주하고 있는 성벽으로 한봉과 제일 가까운 지점이다. 

축성한 후에 급히 만든 포구 2기가 있다. 성벽 여장 아래 만등 한봉을 향한 포구다.

 

타구 사이로 해님을 본다.

 

수어장대 아래 행궁. 동문에서 종로로 올라가는 포장도 성남으로 이어진 도로다.

 

동문. 사진 좌측에 동암문이 보인다.

 

남한산성 역사 테마길.

1코스 = 장수의 길.  1코스 = 국왕의 길 .  3코스 = 승병의길 . 4코스 = 옹성의 길 .  5코스 산성의 길 . 

테마길을 설명하자면 산성 도면과 시간이 필요하다. 다음 기회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오늘은 넘어간다.

 

남장대터로 올라가는 길. 오늘은 구름이 여러 가지 형태로 다채로운 모형들을 만들어 보여준다. 나는 즐기면 된다. 

 

오늘은 구름의 날이다.

 

 

 

남한산성 해돋이 명소. 갯벌 같은 구름 속으로 올라가는 해님.

 

제3 남 옹성 조망.

 

물결구름.

 

구름과 공간과 지상 산 능선부. 3 단계.

 

다시 본다.

 

그 모습은 수시로 바꿔 나간다.

 

남장대 옹치 위에서 남장대터를 본다.

 

남장대 구름 그리고 해님이 어우러 진다.

 

눈은 즐기고 발걸음은 시간과 함께 흘러간다.

제1남 옹성 암문.

우측 도로는 산성을 통해서 의문의 성문을(옛 단파 매표소) 통해 성남 검단산 통신시설로 연결되는 도로다.

 

제1남 옹성 옹치에서 옹성을 본다. 얼마 전에 발굴을 마쳤다. 

 

발걸음은 남문을 내려다본다.

 

남문 밖 경관이다. 남문에서 성 밖길로 간다.

 

남문. 밖으로 나간다.

 

성 밖길.

 

영춘정이 있는 봉우리와 수어장대 일부가 보인다.

 

롯데타워는 서울의 명물이다. 어데서도 보인다. 

 

서암문. 이곳도 막혀있다. 2021년 2.10일까지 공사기간이다. 

 

청량산 삼각점이 있는 성곡 지점 외각이다. 5코스 갈림길. 예정은 6코스로 하행하기로 하였으나 시간을 단축한다. 

5코스로 하행하는 길에 핸드폰이 꽝 얼었다. 액정이 암흑으로 나온다 . 요지부동 . 금년 처음 겪는일이다 . 얼었다 . 

현재 기온은 영 5도 정도. 폰 노출이 심한 듯하다. 다음은 추운 날은 보온을 하여야겠다.

집에 가서 충전해보니 45% 가 남아 있었다. 어쩔 수 없는 일. 이후 기록은 수기로 한다.

09.40분 = 일장천 물 6병 받는다. 묵직하다.

09.55분 = 일장천 출발 (기타 시간 15분 )

10.05분  = 산불초소.

10.17분 = 만남의 장소.

10.25분 마천역 2번 출구 산행 마무리.

오늘은 구름의 날이다. 오랜만에 아름다운 구름의 모습을 본다. 코로나로 혼자 하는 산행도 할 수 있어 좋다.

                                   l  s  m  3 7    산 행 인    이 상 목    항상 감사합니다.

--------------------------------------------------------------------------------------------------------------------------------

산행 기준일 = 2003년 12월 23일 <첫 산행 개시일>-오늘날자(현재).

11월 말 현재 총산행일 = 4,814회(클린 1,007회) + 12월 진행 중 4회 =합계 48.18회(클린 1,007회)

               총 산행거리 = 11월 말 40,337.01 km + 12월 진행 중 44.81 km =합계 40,382.24 km.

* 산길로 걸어서 지구 한 바퀴 40,120 km 산행 목표는 2020.10.27(화) 일 북한산 백운대 정상에서 완주.

--------------------------------------------------------------------------------------------------------------------------------

다음날.

1) 날자 = 20.12.02(수) 매일 산행 = 6 + 0 코스

2) 산행거리 = 총 거리(gps) 9.19km(도상 8.95km)(평균 3.05km)(최고 6.77km)(고도 510m , 62m)

                                               (오르내림 714m -710m).

3) 산행시간 = 05.47분 04"-08.51분 06" =3.04분 02"(기타 시간 07분 52"포함) 

4) 날씨 = 흐림 / 00도 / 미세먼지 00 / 바람 없음 / 습도 00%. 

5) 기타 = 클린산행 못함. 

6) 사진 첨부 = 폰 사진 첨부. 00장 중 00장으로 구성.

실행.

00

마천역 2번 출구에서 산행 마무리한다. 

12월 매일 산행 1회째(클린 0회) 거리 = 9.19km + 일반 산행 0회째(클린 0회)=누계 거리 9.19 km.

                                   l  s  m  3 7    산 행 인    이 상 목    항상 감사합니다.

--------------------------------------------------------------------------------------------------------------------------------

산행 기준일 = 2003년 12월 23일 <첫 산행 개시일>-오늘날자(현재).

11월 말 현재 총산행일 = 4,814회(클린 1,007회) + 12월 진행 중1회 =합계 9.19회(클린 000회)

               총 산행거리 = 11월 말 40,337.01 km + 12월 진행 중 9.19 km =합계 40,346.62 km.

* 산길로 걸어서 지구 한 바퀴 40,120 km 산행 목표는 2020.10.27(화) 일 북한산 백운대 정상에서 완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