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1.22(토)불랙야크 양재점/백두대간 50구간(동대산,두로봉)산행
산행 번호 = 5,118(01월 22일 <토>)
누구와 = 블랙야크 양재점(유영열 셀 퍼) 일행들과..
산행지 = 강원 홍천 동대산 두로봉 산행.
산행코스 = 진고개탐방지원센터-동피골 갈림 삼거리-동대산-두로봉 조망지점-차돌밲이-신선목이-두로봉-
두로령-미룩암(북대)-북대 삼거리-상원탐방지원센터.
산행거리 = gps 총 거리 17.07km (도상거리 16.45km) (평균 거리 2.91km) (최고 5.44km) (고도 1,434m. 850m)
(오르내림 1,704m - 1,807m)
산행시간 = 09.57분 45" - 16.11분 00" = 6.13분 15"(기타 시간 34분 42" 포함)
날 씨 = 흐림,.-5~10도. 초미세먼지 나쁨. 습도 65%. 정상 능선에 약한 바람.
기 타 = 클린산행 안 함.
폰 사진 = 60장 중 48장으로 구성.
gps 통계 & 트랙.
개념도.
화살표시 = 산행 예정표.
붉은색 표시 = 실행 산행 표.
오늘 산행은 블랙야크 백두대간 50구간 중 ,
오대산 국립공원 진고개탐방지원센터에서 두로봉까지이며 , 오대산 비로봉 경유 상원사탐방지원센터 약 18 km산행이다.
1코스는 두로봉-상왕봉-비로봉-적멸보궁-상원사탐방지원센터.
2코스는 두로봉-두로봉 표지석-북대암-임도 따라 -상원탐방지원센터.
나와 홍순진 님은 2코스 산행을 하기로 정한다.
* 1코스 주자는 오후 2.30분 전에 두로봉 표지석을 통과하여야 하면 하는 시간 제약이 있다.
* 1코스 산행 회원이 있는지 알 수없으나 , 눈길이 막혀 다수 인원이 2코스로 하한 한 것으로 알고 있다.
실행도. 지도상 거리 및 시간표 16.4 km / 8.00 시간.
오늘 실행 및 시간표 17.07 km / 6.13분
실행 포인트별 거리 및 시간표.
진고개 탐방지원센터. 단체사진.
각자 산행 준비.
나도 산행 준비를 마치고 , 선두는 벌써 출발하였다.
* 백두대간 이 구간은 2016년 6월 7일(화)(탐방지원센터 앞 텐트) 07시 01분 출발 ,
42일간의 무지원 일시 대간 종주할 때(80세 기념 산행) 18 kg 배낭을 지고 ,
구룡령까지 23.73 km / 산행시간 11.34분(기타 시간 1.52분 포함) 산행을 하였다.
산행 들머리. 아이젠 착용하고 산행 시작한다. 어쩌다 보니 후미가 된다.
출발 1.66 km 지점.
동피골 갈림(1,412) 삼거리. (진고개 1.7 km) (동대산 0.1 km) (동피골 입구 2.6 km)
동피골은 하산 지점과 연결이 된다.
출발 1.74 km 지점. 동대산(1,433.5) 정상. 선두그룹은 앞서가고 후미 인원들이 올라온다.
동대산(1,433.5) 정상 셀프. 나는 만년 후미 산행을 한다.
여성셀퍼님. 오늘 후미 중 북대 삼거리에서 임도 따라 하산하는 회원들 가이드 역이다.
주력도 좋고 명 가이드 역할 , 수고 많습니다.
함께한 홍순진 님 폰 사진.
셀퍼님이 찍어 중 사진.
나머지 인원들이 오기를 기다린다.
함께 산행을 한 단짝 홍순진 님.
홍순진 님은 나와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하며 여러 가지를 챙겨주신다.
작은 코끼리 아니면 사슴처럼 생긴 나무.
동대산에서 두로봉 사이에 장엄한 고목이 많이 보인다.
백 년은 지났을법한 나무의 웅장한 모습이다.
내가 좋아하는 자연의 한 풍광들이다.
출발 4 km 지점 이정표. (동대산 2.2 km) (두로봉 4.5 km)
출발 4.49 km 지점. 차돌박이. (동대산 2.7 km) (두로봉 4 km)
차돌박이는 동대산과 두로봉 사이 능선부에 발달한 석영 암맥으로 ,
희고 두터운 차돌(석영)이 박혀있다고 해서 붙여졌다.
이 석영 암맥은 중생대 쥐라기(약 1억 8,000만 년 전 ~1억 5,000만 년 전)에 마그마가 기반암을 관입하며
형성되었고 , 이후 지표면과 기반암이 지속적으로 평화를 받아 제거되면서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고사목. 파란만장한 생을 마치고 자연으로 돌아가는 중이다. 나의 모습을 뒤 돌아보는 것 같다.,
구멍 뚫린 나무. 형태도 다양하다.
출발 5.80 km 지점 이정표. (두로봉 3 km) (동대산 3.7 km)
출발 6.62 km 지점 신선목이(1,114).
동대산과 두로봉 사이 고도가 제일 낮은 1,114 m 안부쯤에 해당한다.
여기서부터 두로봉 거리 1,181 m / 고도는 304 m 올라간다.
거리 대비 진고개에서 동대산 오름과 비슷한 고도를 탄다.
선두 일행들 식사를 마치고 우리를 앞질러간다.
출발 7.92 km. 능선이 열리는 지점에서 백마봉(1,094.1)이 조망된다.
백마봉은 노인봉과 능선으로 연계된 봉우리다. 백마봉 왼편으로 동해가 보인다.
백마봉 당겨서 본다. 전형적인 겨울 산의 모습이다.
두로봉 정상이 보인다.
출발 8.43 km 지점. 두로봉(1,421.9) 표지목.
이곳이 인증 장소. 정상석은 로프로 막은 능선 너머에 있다.
정상에서 홍순진 님과.
홍순진 님 폰 용량이 적다.
현 위치 안내도.
여성 셀퍼님 기다리고 있다. 셀퍼님이 찍어준 홍순진님과 내 사진이 2장 있다 .
잠시 후 도루령으로 하행한다.
주목 군락지.
출발 10.04 km 지점. 두로령 임도에 도착한다. 이임도는 홍천군 내면 탕방지원센터와 연계된다.
이 두로령 임도에 오후 2.30분 전에 도착하면 상왕봉 ~바로봉으로 갈 수 있다.
우리는 출발 전에 임도를 따라 하산하기로 하였다.
선두 비로봉으로 간 일행들 산행로가 열리지 않아 되돌아오고 있었다. 결국 다수 인원이 임도를 따라 하산한다.
두로령.
(두로봉 1.6 km) (상원탐방지원센터 6.4 km) (상왕봉 1.9 km. 비로봉 4.2 km) (내면탐방지원센터 6.3 km)
미륵암 <북대>
새로 지은 미륵암 <북대>
출발 11.83 km 지점. 북대 삼거리 . 비로봉에서 내려오는 일행들을 만난다 . 우리일행들이 아니다 .
북대삼거리 이정표.
(북대 미륵암 0.4 km. 두로봉 1.8 km) (상원탐방지원센타 4.6 km) (상왕봉 2.1 km . 비로봉 4.4 km)
상원탐방지원센터. 산행 안내도.
상원탐방지원센터.
주차장. 산행 종료.
홍순진 님 막걸리(큰 통 2개)와 안주를 준비했다. 지진 두부를 배추김치에 싸서 먹는 막걸리 안주 최고다.
많은 회원들이 동참하며 기분 좋은 하산주를 즐긴다. 나도 넉 잔을 마신다. 홍순진 님 감사합니다.
2022.01월 매일 산행 11회째(클린0회) 거리= 84.87km+일반 산행 4회째(클린 0회)거리= 59.81km 144.68km.
l s m 3 7 자연 인 이 상 목 항상 감사합니다.
---------------------------------------------------------------------------------------------------------------------
2021.12월 말 현재 총산행일 = 5,102회(클린 1,130회) + 01월 진행 중 16회 = 합계 5,118회(클린 1,130회)
총 산행거리 = 12월 말 42,757.67 km + 01월 진행 중 144.68 km = 합계 42,902.59 km.
---------------------------------------------------------------------------------------------------------------------
* 2차 산행 목표는 2026년 90대에 서울 오산종주 완주하는 것이다.
불가능에 가깝지만 , 지금부터 5년간 체력을 보완해야 한다. 최선을 다할 것이다. 꿈은 실현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