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도

09.02.19=경북봉화=선달산,갈곶산,봉황산,부석사

lsm37 산행인 2010. 6. 19. 15:49

물야저수지 (420)농가앞 도착.  각자몸풀기및 준비.  10시29분산행시작합니다 .  

 생달 6각정

 

 출발1.1 K지점. 사기점삼거리에서 ,  큰터골 팀과  왕바위골팀으로 나뉘어 산행함.

 나뭇가지에 연출된 고드름 1.

                           2

 작은폭포수 속의 겨울풍경속에   봄이느껴짐니다 .

 출발3.4 K지점. 합수곡 지나갑니다 .

 3.9 K지점. 돌무덤 지나는 이천 박사장님.

 4.7 K지점,  옹달샘가는길 .

5.2 K지점. 1230 안부삼거리 .(여기부터 갈곶산까지 4.2 K 백두대간길)

 선달산 이정표

 6.3 K지점. 선달산정상.

 

 

 잠시 내려가다가 ,우측으로 강원도와 경북경계능선으로가면 어래산

 8.4 K지점 . 늦은목이재 4거리 . 큰터골로 내려가는길.

 9.4 K지점 .  갈곶산(966)삼거리. (백두대간길은  소백산쪽으로 갈리고,,)

봉황산 가기전 헬기장에서 ,,,,,( (이곳이 봉황산인가하고 삼각점과 산소를 찾아보지만 ,,,,통과) 

 11.5 K 지점. 봉황산삼각점 과 무덤.

 봉황산에서 약0.4 K내려와 안부삼거리에서  좌로하산길.

 부석사 경내에  들어온듯

 자인암 과 응진전으로 생각합니다 .

 조사당 . 고려시대 제2목조 건축물 . 철망속에 선비화가 자라고 있다 .

 

 

 부석사를 창건한  의상대사가  가지고 다니던 지팡이를 , 조사당처마밑에 꽂앗더니 살아서 현재에 이른다고 합니다 .

이선비화의 학명은 골담초라 한답니다 .  겨울철이라 잎은 매말라 있습니다 .

 조사당 우측에 있는  취현암은 , 중생의 출입을 금하고 있습니다 .

 

 부석사 삼층석탑.

 부석사 무량수전 법당 .  부석사의 본전으로 아미타불을 모시고 , 신라형식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오래된 목조건물중 하나로 유명

하답니다 .

 부석입니다 .    뜬돌?       의상대사와 연관이 깊은바위로  ,      조선숙종때 이중환의 택리지 기록에의하면 ,

아래, 윗 바위사이에  약간의 틈이있어 ,   실을넣어 양쪽에서 당기면    걸림없이 드나들어  뜬돌임을 알수있다하여  부석이라

부르며  절이름도 부석사라 불렀답니다 .

 무량수전 법당앞에 다시한번  , 서봅니다 .

 대북과 어북인가요 .  어북은 너무높아 어덯케  칠까요  궁굼합니다 .    우측에 범종이 있군요 .

 경내를 뒤로하며    다시한번 뒤돌아봅니다 .

태백산 부석사 일주문 . 일주문중 조형미가 일품입니다 .  오늘사진중 제일 마음에드는  사진입니다 .  

 14 K종착지점. (개념도로 환산한 거리) 오늘도 안산,줄산한 모든 회원님 감사합니다 .

 

저작자 표시컨텐츠변경비영리
 
이 고문님의 세밀하고 빈틈없는 산행~~ 대단하십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또 뵙겠습니다 ! 09.02.20 15:32
lsm37
사훈다이님 댓글감사합니다 . 건강하시고 줄거운산행하시길 ,,, 09.02.27 13:28
 
자세한 설명 사진 항상 감사하고요,,,,설겆이 하시느라 주부습진 안걸리셨나요??고맙습니다 09.02.20 19:17
lsm37
주부습진이 무엇인지 모릅니다 . 손이 더부드러워 젔네요 . 누그나 말씀만 하시면 줄거운 마음으로 대행해 드리겟습니다 . 총무님 무엇이든 시켜만 주세요. 댓글감사 09.02.27 13:33
 
고문님의 자세한 설명이 세삼 부석사의 경치를 또다시 감상하게 합니다~ 존경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