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야저수지 (420)농가앞 도착. 각자몸풀기및 준비. 10시29분산행시작합니다 .
생달 6각정
출발1.1 K지점. 사기점삼거리에서 , 큰터골 팀과 왕바위골팀으로 나뉘어 산행함.
나뭇가지에 연출된 고드름 1.
2
작은폭포수 속의 겨울풍경속에 봄이느껴짐니다 .
출발3.4 K지점. 합수곡 지나갑니다 .
3.9 K지점. 돌무덤 지나는 이천 박사장님.
4.7 K지점, 옹달샘가는길 .
5.2 K지점. 1230 안부삼거리 .(여기부터 갈곶산까지 4.2 K 백두대간길)
선달산 이정표
6.3 K지점. 선달산정상.
잠시 내려가다가 ,우측으로 강원도와 경북경계능선으로가면 어래산
8.4 K지점 . 늦은목이재 4거리 . 큰터골로 내려가는길.
9.4 K지점 . 갈곶산(966)삼거리. (백두대간길은 소백산쪽으로 갈리고,,)
봉황산 가기전 헬기장에서 ,,,,,( (이곳이 봉황산인가하고 삼각점과 산소를 찾아보지만 ,,,,통과)
11.5 K 지점. 봉황산삼각점 과 무덤.
봉황산에서 약0.4 K내려와 안부삼거리에서 좌로하산길.
부석사 경내에 들어온듯
자인암 과 응진전으로 생각합니다 .
조사당 . 고려시대 제2목조 건축물 . 철망속에 선비화가 자라고 있다 .
부석사를 창건한 의상대사가 가지고 다니던 지팡이를 , 조사당처마밑에 꽂앗더니 살아서 현재에 이른다고 합니다 .
이선비화의 학명은 골담초라 한답니다 . 겨울철이라 잎은 매말라 있습니다 .
조사당 우측에 있는 취현암은 , 중생의 출입을 금하고 있습니다 .
부석사 삼층석탑.
부석사 무량수전 법당 . 부석사의 본전으로 아미타불을 모시고 , 신라형식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오래된 목조건물중 하나로 유명
하답니다 .
부석입니다 . 뜬돌? 의상대사와 연관이 깊은바위로 , 조선숙종때 이중환의 택리지 기록에의하면 ,
아래, 윗 바위사이에 약간의 틈이있어 , 실을넣어 양쪽에서 당기면 걸림없이 드나들어 뜬돌임을 알수있다하여 부석이라
부르며 절이름도 부석사라 불렀답니다 .
무량수전 법당앞에 다시한번 , 서봅니다 .
대북과 어북인가요 . 어북은 너무높아 어덯케 칠까요 궁굼합니다 . 우측에 범종이 있군요 .
경내를 뒤로하며 다시한번 뒤돌아봅니다 .
태백산 부석사 일주문 . 일주문중 조형미가 일품입니다 . 오늘사진중 제일 마음에드는 사진입니다 .
14 K종착지점. (개념도로 환산한 거리) 오늘도 안산,줄산한 모든 회원님 감사합니다 .









'2009년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03.05=전남장성담양=병봉산,불태산 (0) | 2010.06.19 |
---|---|
09.02.26=충북제천=등곡산,황학산,떡갈봉,월형산 (0) | 2010.06.19 |
09.02.12=강화=마니산,숙피산 (0) | 2010.06.19 |
09.01.29=경북김천=곤천산.황악산,형제봉,신선봉. (0) | 2010.06.19 |
09.01.15=충북보령=백월산.성태산 (0) | 2010.06.11 |
댓글 5 신고 | 인쇄 | 스크랩(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