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도

10.04.08=전북진안=광대봉,마이산.

lsm37 산행인 2010. 6. 22. 12:56
10.04.08=전북진안.광대봉(608.8)마이산(686)|●…─산행사진 : 사람
lsm37 | 조회 86 | 10.04.10 09:49 http://cafe.daum.net/gangsong/NROJ/2691 

 

 전북 진안의  마이산,  40 여년전  관광버스를 타고   북부주차장을  넘어  탑사에 가본   기억이 ,   아련히 남아있는  산으로

다시 가보고싶은 산이 였습니다 .

멀리서 본  산의 형태가  상어지느러미  같기도 하고  ,   말의 귀를닮은   암마이봉(서봉 628 ) 과  숫마이봉(동봉 678 ) 의 모습이

신기하고 조금은  특이한 산이였습니다 .

 

수성암으로 형성된 산은 ,  호수였던 지역이  지각변동에 의하여  바닥이 솟아올라 , 지금과같은  봉우리가 되였답니다 .

두 봉우리에는   크고 작은 구멍이   벌집처럼 뚫려  있는데 , 이는 내부에서 표면으로  진행한   풍화작용 에 의하여 형성된 , 타포니

지형이라고  한답니다 .  이와같이 부부형 타포니 지형으로는  세계에서 제일잘 발달한 , 학술적으로도 귀중한 자료라 합니다 .

 

또한  , 100 여년전  이갑용 처사 (1860-1957 )가  30여년에 걸처 쌓았다는 120여개의 탑중  , 현재 남아있는 80여개의 탑들을   잘

드려다보면  , 축조의 방법이   경이롭고 신기하기 까지합니다 .

돌탑은 대부분  주변의 자연석으로 쌓았으나,  천지탑 등 주요탑 들은  전국팔도의 명산에서  옮겨온 돌들을  한두개식 끼워넣고 ,

 천지음양 의 이치와  팔진도법을 적용하여 , 공력을 드려  쌓았다고 합니다 .

 

원추형 탑은 (천지쌍탑 , 약사탑 , 월광탑 , 일광탑 , ) 보살을 상징하고 , 일자형으로  크고 작은  수많은 탑들은 ( 오방탑 , 중앙탑 외)

나한의 수호신장 들을  의미한답니다 .

마이산이  국가지정  명승제 12호로  자연의 극치라면  ,     탑사는  인간이 가꾼 , 문화의 극치라 하겠습니다 .

 

마이산의 이름은  시대와  계절따라  달리불리워 집니다 .

신라인은  서다산 , 고려인은 용출산 ,  조선 초기에는 속금산 이라 하고 , 조선태종때 비로써   마이산 이라고 부른답니다 .

 

          봄에는 , 안개속에  우뚝솟은  두 봉우라가   쌍돛배 같다하여    돛대봉 .

          여름에는 ,  수목사이에서 드러난 봉우리가   용의 뿔과 같다하여   용각봉 .

          가을에는 , 단풍든 모습이   말의 귀 같다하여    마이봉 .

          겨울에는 ,  눈이 쌓이지않아    먹물을 찍은   붙 끝처럼 보인다하여   문필봉 .

 

이렇듯  , 자연 과 문화가 어우러진   진안의 진산인  마이산  .     봄 ,  여름 , 가을 , 그리고  겨울 ,  4계의 풍광이  탑영제에 비친 ,

멋진  마이산의 모습을  상상하며 , 오늘은 4월의 모습만 보고  가렵니다 .

 

강송산악회 회원  46명을 태운  대형버스는 - 30번국도따라  진안군 마령면  넓은평야를지나  -  49번지방도를 들어서며  -  평지리 인공수정소앞 에  도착합니다 .

길을건너 , 안전산행을 위한 기본체조를 한후 산행은 시작됩니다 .

 

 10시26분 .  

 도로앞 산행들머리 이정표 .  (합미산성 0.5 K )   (관대봉 3.1 K - 3.3 K)   (보흥사3.8 K )   (고금당5.5 K )

 어느듯 산행은 시작되고 ,  후미로 나도 출발합니다 .

 

10시37분 . 

 합미산성  성안입니다 .  산성의 흔적을 보건데  그리크지 않는 성입니다 .

강정마을 남동편 봉우리에 축성된 성으로 ,  남서북 성벽은 흔적만 있고  남동쪽 일부 성벽은 약 50-70여 M가 보존되여 있음을 봅니다 .

흔적으로 추정컨데 성의둘래 약600 M  성고는 4-5 M로 추정됩니다 .

성의 용도로는 군량미를 쌓아놓는 산성으로 보여짐니다 .

 

  잠시후  성곽 박으로 나갑니다 .

남동쪽 성벽으로 비교적 잘보전된 성벽을 지납니다 .

 

 10시44분 . 

첫번째 나타나는  474봉을 지나며 ,,,

 

 10.56분 . 

안부를지나 ,  495봉에서 관대봉을 바라봅니다 .

 

  당겨 봅니다 .

 

 11.09분 . 

 관대봉 위험표시 우회길 안내 .    (관대봉0.2 K )  (합미산성2.3 K )  (고금당2.6 K )

 

 11.11분 . 

덕천교 갈림길 삼거리이정표 .  (태자굴1.1 K )  ( 덕천교3.1 K )  (암마이봉 6.1 K )  (합미산성3 K ) ( 탑사5.5 K )

                                          (북부주차장5 K )

강정리 덕천교에서 태자굴방향 산행코스와  합류하는 지점입니다 .

 

 11.15분 . 

 광대봉(608.8) 정상입니다 . 큰 암봉으로  사방을 조망할수 있습니다 .

광대봉은 -  마령쪽에서 바라보면 광대가 꼬깔을쓰고 춤추는것 같다고하여 불리는 이름입니다 .

 동북에서 바라보면  거대한 암반으로 솟아있으며  마이산과 같은시기에 같은조건으로 형성된 암봉으로 보입니다 .

 

 마이산을 봅니다 .

우측에서 - 좌측으로 - 다시 우측으로 s자형을 그리며 마이산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

태고적에 하늘호수가 매압과 융기를 거듭하며 , 지금의 장관을 연출합니다 . 자연의 조화입니다 .

 

 지나온 능선길을 뒤 돌아봅니다 .

 

 우측 계곡밑 , 보흥사를 내려다 봅니다 .

 

 11.17분 . 

광대봉 내려가는길  - 빗길과 눈길이 아니라면  -  밧줄 과 난간이 있어 별 어려움은 없습니다 .

 수성암으로 이루어진 타포니지형의 암반은  등산화와 밀착이 잘 됩니다 . 보기보다는  수월하게 밧줄을 탈수 있습니다 .  

 

 11.20분 . 

 안부 이정표 .

 

 11.24분 . 

 565봉 전망대봉 에서 , 좌측 비룡대. 삿갓바위들 .우측으로  마이산을 봅니다 .

 우측앞에있는 암봉은  멋진 삿갓바위입니다 .

 바위 북쪽면 마이산방향은 깍아지른 절벽이고 ,  남쪽능선으로 따라가면 강천교하산길 입니다 .

 지나가며 눈으로만 구경하는것이 더 실감이 납니다 .  

 

 11.24-11.27분 . 

 565봉 전망장소 에서 -  마이산이 제일 잘보이는 장소에서 바라봅니다 .  

                                            

 전망대봉에서     광대봉 하산길을  뒤돌아봅니다 . 난간 과 밧줄을 잡고  강송의 회원님들  내려오는 것이 보입니다 .

 

 11.29분 . 

 잘 보이는 장소에서 ,,,, 다시한번 조망합니다 .

 

 11.31. 

두번째봉 528봉 뒤로  고금당이 보이고 , 뾰쭉한 비룡대 . 삿갓바위 . ,,,, 앞으로갈 코스를  담아봅니다 .

 

 11.37분 .

 

 11.45분 . 

 528봉(탄금봉) 을  좌측에 두고 우회하여 ,  사면길로  잠시 내려가면 , 안부 식당가 분기점이정표 .

   (남부주차장 0.6 K )  (고금당0.6 K )  (광대봉1.9 K )

고금당방향은 좌측으로 틀어 내려갑니다 .

 

 11.55분 . 

 우측으로 고금당 황금색 불당을 보며 ,  능선따라  오름길을  직진하면   524.5봉 입니다 .

 524.5봉 오기전  고금당으로  우회하는 길도 있습니다 .

 

 11.59분 . 

 안부삼거리 고금당 분기 이정표 .  고금당 나옹암은  우측계곡으로  약200 M 내려갑니다 .

 

 12.00분 .

 고금당 황금지붕 에서 마이산을 배경으로 ,,,,,

 

 고금당 앞에서 ,,,,

옛금당사 자리에 있는 고금당 , 지붕은 황금색으로 찬란합니다 . 바로아래 나옹암이 보입니다 .

고려말 고승 나옹선사가 읊었다는 토굴가는  탑영제에서  올립니다 .

         

  김건씨와 함께합니다 .

 

 비룡대와 마이산을 배경으로  "나"

 

 

 나옹암을 보고 올라갑니다 .

 

 

 

 12.11분 . 

능선삼거리로  다시 원 위치 합니다 .

 

 12.15분 . 

 비룡대를 봅니다 .

 

 12.22분  . 

 비룡대를 배경으로 ,,,,,

 

 

 고금당과 나옹암 .

 

 남부주차장 입니다 .

 

 

 

 

 12.26분 . 

비룡대(527)에서 ,,,,  최고의 전망처로  팔각정에서  사방을 조망합니다 .

 

 

 삿갓4봉 .(532) 

 

 

 봉두봉(540) 뒤로 암,수바위 .

 

 

 12.35분 . 

 부부시비 분기점 , 안부삼거리 .

 

 12.43분 .

 

 12.48분 . 

 

 삿갓봉 능선 삼거리 지나서 ,,,,  제2쉼터 표지판에 봉두봉이라고 써 있는것을보고  좌측하행길로  마이산을보며 내려갑니다 . 

 *결과는 봉두봉(540) 을 놓치고 ,,, 암벽등반코스가 있다는 두개의 큰봉우리 봉두봉 - 탑영제에서 바라보면 장관입니다 .

 

 

 13.01분 . 

 마이산 진입금지 .  

 

 못 가게된  암마이산  눈을 크게 뜨고 바라만 봅니다 . 아쉬움을 남기며 ,,,,, 보고 ,

 

 또 보고 ,,,,,

 

 탑사입구  (포장도로)

 

 

 

 

 

13.09분 . 

 탑사전경.  좌=영신각 . 중앙=대웅전  뒤=산신각 .  맨뒤 = 천지쌍탑 . 산신각 뒤로 =오방일자탑 . 

                              영신각 좌=월광탑 . 우 일광탑 . 중앙에  중앙탑 .

 

 천지 쌍탑 뒤로 숫마이봉 .

 

 

 우측  일광탑 .

 

 

 월광탑 뒤로 영신각.

 

 대웅전뒤로  천지쌍탑.

 

 

 

 13.17분 . 

 숫마이산 을  배경으로  은수사 .  큰 북이 있어  누구나 칠수 있다 합니다 . 북을치며 소원도 기원해 본답니다 .

하늘(은하수)에서  가장 가까운 절이라 하여  지어진 "은수사"  청매실나무는 천연기념물 입니다 .

또한 겨울철에는  정화수를 떠놓으면  역 고드름이 생기는 현상도 볼수있습니다 .

 

 13.18분 . 

 천황문 올라가는 나무계단 .

 

 13.23분 . 

 하늘에서 본  마이산 전경  뒤로    암마이봉 가는 스텐 계단이 보입니다 . 출입금지 . 고삐풀린 망아지 꾹 참아야 합니다 .

               천황문은 암 숫마이산 사이에  위치하고 ,  남으로 흐르는 물은 섬진강 ,  북으로 흐르면   금강의 분수령을 이루는

               곳입니다 .

 

 13.24분 . 

 화엄굴 안내문

 

 천황문에서 약 100 M  위에 위치한 화엄굴은   낙석의 위험으로 출입금지 , 디.카 만  살짝올라가서  화엄굴의  모습을 보고 옵니다 .

 

 화엄굴 내부모습, 하지만 후랏쉬가 안 터젔다 .  현재는 식수로 사용불가 .

 

 화엄굴에서  뒤돌아  암마이산을 봅니다 .

 

 디.카 올라가는것을 보고  뒤 쫏아오는 산행인들 .  못 말려 .

 

 13.29분 . 

 

 13.42분 .  다시 탑사로 내려와서 ,,,,

 

 

 

 천지쌍탑 .

 

 

 

 13.45분 . 

 천지탑을 지키는  오방탑 들 .

 

 13.46분 . 

 무명탑 뒤로  능소화 나무가 잘 보입니다 .

 

 오방일자탑.

 

 

 

 

 

 

 13.48분 .  중앙탑 .

 

 능소화 .  영신각 과 미륵불상 사이에  , 암벽을 타고   거대하게 자라있는  능소화는   27년전 인 1983년 4월 탑사 주지스님이

식수 하셨답니다 . 다시 30년후라면 봉두봉 정상까지  올라가지 말라는 법이 없지요 .  현재도 꽃이 피면 장관 이랍니다 .  

 

 능소화 .  다시 한번  더  봅니다 . 장관 입니다 .

 

 강송회원님들,,,,,

 

 

 

 

 

 

 

 

 강송회원님들,,,,,

 

 

 아쉬운듯 뒤 돌아봅니다 .

 

 14.05분 . 

 나도산 (530). 마이산 만 산이냐   나도 산 이다 라고   주장하는  나도산 입니다 . 인정합니다 .

 

 

 14.09분 . 

 탑영제 와  봉두봉  &  암 수  마이봉

               저수지 수면에   탑은 보일수 없지만  , 마이산은 보입니다 .  마음의 창을 열면  탑도 보인답니다 .

               그래서 탑영제 라  하나봅니다 .

 

 14.11분 .   고금당과  나옹암 과  탑영제 .

 

                               나옹 선사의 토굴가

                 청산은 나를 보고    말 없이   살라하고  ,

                            창공은  나를 보고     티 없이  살라하네  .

                 탐욕도   벗어 놓고     성 냄도 벗어 놓고 ,

                             물  같이   바람  같이  살다가   가라 하네 .                                        그  얼마나  좋을 까

                                                                                                                       그렇케 살기를 기원해 봅니다 .

 

 

 

 14.16분 . 

금당사 전경 .

814년 창건된 금당사에는 목불좌상 과 보물 괘불이 소장되여 있습니다 .

 

 

 14.17분 . 

 자연석  코끼리 상 .

 

오늘 산행도 마무리 합니다 .

마이산  금당사 일주문  앞에서 ,,,,,,, 

 산행거리 약 12 K      .     산행시간  3.57분(기타시간 39분포함)  (10.25 - 14.22분 = 3.57분)

일기  맑음 ,  현장기온 18 - 19도 . 산행하기 좋은 날씨 입니다 .

 

 

저작자 표시컨텐츠변경비영리
 
사진 잘 보고, 몇 커트 퍼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