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와 : 좋은사람들 일행40명 , 불랙야크 81산 인증 산행 , 클린산행 3차124 회째 .
산행지 : 강원홍천 공작산(887.4) . 약수봉 (558.6) .
산행코스 : 406번 지방도 (노천저수지옆) 공작산 입구 - 4코스 공작릉 - 현위치 1 - 6 지점 - 공작산 갈림 -
정상 - 빽 - 공작산 갈림 - 안공작재 - 헬기장 - 현위치 5 - 7지점 - 5 - 6 지점 - 수리봉 우회 -
묘지 갈림 - 현위치 5 - 1 지점 - 약수봉 정상 - 수타사 - 버스 주차장 .
산행거리 : 11 k (gps거리) + 클린산행 추가거리 0.8% 0.88 k = 계11.8 k
산행시간 : 09.43분 40" - 14.36분37" = 4.46분 (기타시간 약40분 포함)
날 씨 : 25 - 28도 . 전국으로 비소식 . 출발시 부슬비 ,도중소강 , 12.10분 경부터 본격적인 비 . 바람없음 .
기 타 : *디카정시 * 디카번호 1961 - 2044 = 84장중 .
* 클린산행 3차 124회 . 대2봉 처리 . 산행거리 0.8 % 추가함 0.88 k .
* 기록분류 : 스크렙 25권 . no 740번 . blog.daum.net/lsm37 전체보기 . 불랙야크 100명산 .
산행개념도 .
공작산 등산안내도 .
약수봉 등산안내도 .
새벽부터 비가 내린다 . 전국이 비소식 . 406번 지방도 공작산 입구에 도착하자 약한 비가 내린다 .
차에서 대장이 두팀으로 나눈다 . 종주팀과 원위치 팀 종주팀 인원이 약간 많다 .
종주팀 먼저 올려 보내고 원위치팀 잠시후에 출발 시킨다 .
각자 우의를 준비하며 산행준비도 겸한다 .
오늘은 우중 산행을 각오하고 왔다 .
나는 비가 많이 올경우 클린산행을 포기 하기로 하고 비상용으로 갖이고 다니는 스틱 한짝을 뽑는다 .
지도 위치통신이 늦어져 기다리는 사이 모두 출발하였다 . 맨 후미가 된다 .
클린산행 준비는 왼쪽 베낭고리에 매달린 봉지를 잡아당기고 , 쓰레기 집게를 오른손에 잡으면 끝이다 .
약한비가 내린다 . 나는 베낭카바만 쒸우고 진행한다 .
공작산(887.4)은 홍천군 동면과 화촌면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
산세의 아름답기가 " 한마리의 공작새 가 나래를 활짝 펼친 " 형국 이라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봄에는 철쭉군락 , 여름에는 맑고 풍부한 계곡수와 울창한 산림 , 수려한 경관으로 산림청 100대명산으로 선정되였다 . 가을단풍 과 겨울 설경도 유난히 아름답다 . 그간 두번 다녀본 기억이 난다 .
1코스 , 공작현에서 오르는길로 , 2개의 암봉과 철쭉군락지를 지나며 , 가장 긴코스 이다 .
2코스 , 문바위골의 웅장한 암벽 을 지나며 1코스와 합류한다 .
3코스 , 문바위 골로 가다가 좌측 안골 계곡으로 가는 제일 완만한 물이 흐르는 계곡길을 따라간다 .
4코스 , 정상까지 가장빠른 공작릉 코스 이다 .
종주팀은 비오는것을 감안 가장 빠른 4코스로 진행하며 ,
하산지점 까지 (출발09.30분 - 오후 3.30분 ) 6시간 이 주어진다 . 무난하고 여유있는 시간이다 .
마지막 한분을 여기서 앞서간다 .
현위치 공작산 3 - 1 지점 . 우리는 공작릉 4번 코스로 올라간다 .
(공작산 입구 0.35 k ) (공작릉 정상 2.34 k ) (안골 정상 2.58 k ) (문바위골 정상 2.83 k )
또 맨 뒤에서 따라간다 .
현위치 공작산 1 - 6 지점 . (공작산 정상 0.24 k ) (공작산 입구 2.45 k ) (공작현 입구 2.46 k )
현위치 공작산 1 - 6 지점 . 이 지점 쯤에 이르자 우의를 다 벗고 있다 . 비가 멈추었다 .
늦게 출발한 나는 쉬는 시간이 없다 . 활기찬 발걸음이다 .
현위치 공작산 1 - 7 지점 . 수타사 가는 갈림길 .
(정상 0.12 k ) (공작산 입구 2.45 k ) (공작현 입구 2.64 k ) (안공작재 0.6 k . 약수봉 4.6 k . 수타사 6.9 k )
잠시 쉬어 간다 .
정상 가는길 .
로프 우측 벼랑 , 바람골 에서 냉기가 올라온다 . 사진보다 굉장히 가파른 절벽 이다 .
공작산(887.4) 100명산 인증 사진 겸 클린 사진 이다 .
순간에 까스를 날려버리는 바람이 분다 . 기온의 변화로 대기가 이동하는 중이다 .
다시 까스가 시야를 가리고 , 잠시후 ,,,,,
중간층 구름이 물러가면 맑은 시야로 산들이 보인다 .
다시 구름이 시야를 가린다 .
구름의 변화를 사진에 담기 바뿌다 . 나는 정상을 떠난다 .
현위치 공작산 1 - 7 지점 . 갈림길 원위치 한다 . 현재 비는 완전히 멈춘 상태다 .
(정상 0.12 k ) (공작산 입구 2.45 k ) (공작현 입구 2.64 k ) (안공작재 0.6 k . 약수봉 4.6 k . 수타사 6.9 k )
하산시간 약2시간 예정한다 . 날씨도 산행하기 딱 좋다 . 시간이 많이 남는다 .
잠시후 최희동 님과 일행들을 만나고 점심을 먹고 가기로 한다 .
20여분후 수타사로 하산한다 . 비가 오지 얺으니 원위치팀 들도 종주산행팀에 합류한다 .
정상에서 안공작재 가는 길 암릉이 약간 있다 . 밧줄타는 암릉이 있다 .
안전 밧줄이 있어 안전하다 .
중간 구름이 피여 오르며 시야가 맑아진다 . 여기저기서 탄성이 나온다 .
현위치 공작산 5 - 9 지점 . 안공작재 에 도착한다 . (정상 0.68 k ) (약수봉 4.04 k . 수타사 6.3 k )
(천지사 <큰골> 3.2 k . 굴운저수지 6 k )
현위치 공작산 5 - 8 지점 . 헬기장 . (공작산 정상 1.12 k ) (약수봉3.6 k . 수타사 5.9 k )
현위치 공작산 5 - 7 지점 . (종작산 정상 1.56 k ) (약수봉 3.16 k . 수타사 5.46 k )
일부 회원님들 식사 자리를 편다 . 하늘이 약간 어두워 진다 . 우리 일행들은 계속 진행한다 .
잠시후 비가 오기 시작한다 .
현위치 공작산 5 - 6 지점 . 9공작산 정상 2.01 k ) (약수봉 2.71 k . 수타사 5.01 k )
바로 빗발이 거세진다 . 비속에서도 클린산행은 계속된다 . 나는 우산을 계속 쓰고 간다 .
수리봉(755)은 우회한다 . 제법 넉넉한 봉우리 다 .
수리봉 가기직전 부터 거세진 빗발은 폭우로 돌변 한다 . 수리봉 내려가는길 약 100 m 급경사길 .
밧줄이 있어 다행스럽다 . 보기보다 경사가 깊다 .
12.10분후 부터 쏫아진 빗줄기 우산이 없으면 촬영불가 하다 . 하지만 클린산행은 계속된다 .
수리봉을 내려 앉으며 완만한 지형 안부가 나오고 원주 한씨묘 ? 묘소 갈림길 에서 잠시 정지 한다 .
내 앞에 최희동 님 과 한분 두분이 지나갔다 . 폭우는 계속된다 . 왼쪽 베낭고리에 메단 클린 봉지에 빗물이 무게를 더한다 .
우산 , 스틱 한짝 , 매달린 쓰레기 봉지 , 집게 , 가끔은 사진도 찍어야 한다 .
여기서 클린산행 일시 중단한다 . 폭우속에 쓰레기 봉지를 베낭에 매다는데 대장님 잏행들이 지나간다 .
비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내리친다 . 디카가 물탕이다 . 언제 작동을 중지 할지 알수 없다 .
하지만 우산덕분에 사진을 찍는다 . 원하는 장면은 지나가고 ,,,,,
열명의 인원을 보고 , 지갑에서 디카를 꺼내느데 선두는 보이지 않는다 . 우중 산행 속도도 빠르다 .
안부에서 대장님 일행들 잠시 휴식한다 . 나는 지나친다 .
현위치 공작산 5 - 1 지점 . 작은골 (450)고개 . (약수봉 0.4 k . 수타사 2.7 k ) (공작산 4.32 k )
( 신봉로 지방도 6 k ) (굴운로 2.6 k . 국도44호 5 k )
여기서 0.4 k 약수봉 오르는길 , 계속 오름길 이다 .
현지점 에서 약수봉 정상 고도차 약130 m 길이 미끄러원서 인지 힘들어 보인다 .
약수봉 (558.6)정상 . 두분이 먼저 와 있다 최희동 님과 여자 한분 . 대단하신 분 들이다 .
두분 사진을 찍어준다 . 내사진은 없다 .
약수봉 정상에서 빗줄기가 약해진다 . (수타사 2.8 k ) (귕소 1.5 k )
쓰레기 봉지 한봉지는 베낭에 매달리고 , 새봉지 를 왼쪽 멜방에 메단다 . 클린산행 다시 시작한다 .
동봉사 신봉리로 가는 산행로도 좋다 . 먼저 오신 두분 . 우리는 우측 수타사 방향 이다 .
멋진 버섯이다 . 꽤 크다 . 스틱끝봉 과 비교해 본다 . 어느새 비는 부슬비로 변해있다 .
잠시후 수타사에서 약수봉으로 오르는 부부 일행을 만난다 . 우중 산행을 한다 .
우중에 산행을 하는사람들 미친 사람입니다 라고 농담을 한다 . 실은 나도 미친 사람에 속한다 .
마지막 갈림 길 . (약수봉 1.2 k ) (수타사 1.1 k ) (등산로 주차장 2.9 k )
우리는 수타사로 간다 .
화장실이 있고 , 수타사 숲 체험장 쓰레기 분리 수거대 . 이처럼 반가울 수가 없다 .
베낭을 내리고 쓰레기 봉지 2개를 이곳에서 처리한다 . 약수봉에서 시작한 봉지는 반봉지도 안된다 .
약120 m 우측으로 올라가면 수타사 3층 석탑이 있다 .
고려후기 삼층석탑 이다 . 아쉽게도 원형은 많이 헤손되여 있다 .
이곳은 1569(선조2년)에 중창한 덕치천 건너편 , 현 수타사 로 옮기기전 수타사 절터로 추정한다 .
강원도 문화제 자료 제11호 . 홍천군 동면 덕치리 . 3층 기단의 석탑 .
1층 몸돌에만 모서리 기둥이 새겨져 있다 . 2 , 3 층 의 몸돌은 없고 , 지붕돌 받침은 2 단과 3 단으로 되여 있으며 , 상륜부(탑의 맨위에 놓인 장식 )는 모두 없어지고 3층 지붕돌에 찰주를 세웠던 구멍이 있다 .
탑의 맨 꼭대기에 있는 , 둥근 돌은 이탑과 관련이 없는 것을 후에 얹어놓은 것이다 .
이곳이 옛 수타사 절터로 보는것은 3층 석탑이 있기 때문이다 .
약수봉 등산안내도 . 공작산 개념도 에 첨부되여 있다 .
홍천 수타사 동종 . 보물 제11 - 3 호 .
몸퉁밑 부분에 1670(현종11년)에 만들었다는 문구가 있는 조선 중기의 종 이다 .
종의 몸통 윗부분에는 인도의 옛 글자인 범자(梵字)를 새겼다 .
그 아래에는 구름위에 서서 양손에 긴 연꽃 가지를 쥐고 있는 4구의 보살 입상이 있다 .
보살입상 아래에는 종과 관련된 여러 기록들이 빙 돌려 있는데 , 종을 만든 시기와 찬여한 여러사람들의 이름이 각 각 네모난 틀안에 새겨져 있다 .
그 아래에는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撞座)가 4개 있는데 , 마치 불꽃같이 화려한 모양 이다 .
이종은 당시 가장 유명한 종을 만드는데 장인이 였던 사인(思印) 비구가 주도하여 조성한 것이다 .
다른종 들은 몸통과 종고라를 한번에 만드는 것이 일반적 인데 , 이종은 따로 따로 만들어 붙이는 방법이다 .
이 처럼 만든사람 과 만든 시기를 분명히 알수있고 , 보전상태도 거의 완벽 하다 .
제작 방법도 독특하여 조선 중기의 범종 연구에 중요한 작품 이다 .
종각은 크지 않고 동종만 보관하도록 되여 있다 .
수타사 입구 .
본전 각 .
두개의 전각을 잘 보지 않음을 후희 하고 있다 .
종각에 함께 있어야할 목어 ,
이 또한 , 운판은 보이지 않는다 .
홍천 수타사 소조사천왕상(塑造四天王像) . 강원도 유형 문화재 제121 호 .
사천왕상 은 동서남북 사방을 지키고 불교를 수호하는 역활을 한다 .
수타사 사천왕상은 나무로 심을 만들어 새끼줄로 감고 , 그위에 진흙을 발라 형태를 만들고 채색한 것이다 . 머리 뒤쪽의 불꽃 모양이나 , 손에 들고 있는 각종 물건들은 부분적으로 나무를 사용 하였다 .
크기는 각각 3 m 가 넘으며 , 수타사 사적기에 강희15년에 사천왕상을 만들었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1676년(숙종 2년)에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 한다 .
긴막대기 위에 깃발을 단 당(幢)을 쥐고 있는 서방 광목천 왕 .
왼쪽에는 비파를 켜고 있는 북방 다문천왕 .
칼을 들고 있는 동방지국천왕 . 용과 여의주를 쥐고 있는 남방증장천왕 .
모두가 눈을 부릅뜬 험상궂은 얼굴에 갑옷을 입고 , 발 아래에는 여러 가지 모습의 악귀를 밟고 있다 .
수국화 . 비가 왔음일까 향기를 맞지 못했다 .
수타사 를 떠나며 , 앗차 ! 성보박물관을 보지 못한 큰 실수를 한다 .
수타사 가 소장한 보물 제745 호 인 "월인석보" . 가로 409 cm . 세로 628 cm 에 달하는 .
초대형 월인석보 쾌불이 전시되여 있다는데 보지를 못했다 .
월인석보 쾌불 의 도난 및 훼손방지 를 위하여 , 수타사 경내에 4억원의 예산을 들여 지은 성보 박물관을 보지 못하여 끝내 아쉬웠다 . 월인석보 쾌불이 이에 걸맞는 당간지주에 걸려 있는 것을 보고 싶다 .
수타사 에서 약400 m 내려오면 상가가 있고 , 상가를 지나면 생태숲길 교육관 .
바로 밑에 버스 주차장 .
화장실에서 씻고 마른 옷으로 갈아입고 , 간단히 하산주를 하고 나니 3.35분 이다 .
3.40분경 좋은 사람들 버스는 현장을 출발한다 .
즐겁고 신나는 공작산 산행이 였다 . 성보 박물관을 보지 못한 아쉬움은 다음 기회를 만들어 낸다 .
l s m 3 7 산 행 . 이 상 목 감사 합니다 .
'불랙야크 100명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09.11 (목) = 전북영암=불갑산(영실봉610) 불랙야크83산, 클린3차137회 산행 . (0) | 2014.09.12 |
---|---|
14.08.29 (금) = 불랙야크82산. 전북장수 장안산(1236.9),영취산1075.6)클린129회산행 (0) | 2014.08.30 |
14.08.13-14(수목) = 불랙야크 80산 강원삼척 = 응봉산 , 덕평계곡 .클린산행 118회. (0) | 2014.08.16 |
14.08.02 (토) = 불랙야크 79산 = 강릉 오대산 노인봉(1338.1)소금강 클린3차107회 산행 (0) | 2014.08.04 |
14,07.05(토) = 불랙야크 77,78산 = 포항 내연산(삼지봉),경주 남산(긍오봉)인증 및 (크린73,74회) (0) | 2014.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