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랙야크 100명산 .

14.09.18 (목) = 새마포,불랙야크84산 = 강원영월평창= 백덕산,신선봉 ,사자산(클린3차143회산행)

lsm37 산행인 2014. 9. 20. 13:18

누구와 : 새마포 산악회 80명과 , 불랙야크84산 인증산행 겸 클린3차143회 산행 .

산행지 : 강원영월평창 백덕산(1348.9) , 신선봉1089) , 사자산(1160)

산행코스 : 영월법흥리 대촌 사자교 -  백덕산장 - 백년교 - 관음사(흥원사)들머리 - 고인돌 - 마지막 계곡

                촛대바위 - 신선봉 - 전위봉 - 백덕산 정상 - 서울대나무 - 당치갈림 - 작은당치 - 1145봉 - 당치

                - 사자산 3봉(지도상 사자산) - 사자산 정상표시 - 홍바위 - 삼각점 - 사자산1봉(칠봉산) - 연화봉

                갈림 - 절골 경작지 - 법흥사 - 주차장(하산지점 ) - 적멸보궁 - 주차장 .

산행거리 : gps거리 14.54 k + 들머리 0.45 k + 적멸보궁 1.3 k + 클린산행 추가거리1.629 k = 계 17.919 k .

산행시간 : 10.12분03" - 16.08분51" = 5.56분48" + 들머리5분 + 적멸보궁 31분= 계 6.32분

날   씨 : 구름약간 (하얀 구름사이로 파란 하늘이 보임) , 20도 .바람없음 .

기   타 ; * 디카정시  * 디카번호 3018 - 3147 = 130장중 .

            * 클린3차143회산행 (전구간 . 보통 , 대2봉지 , 문막휴게소 처리 ) . 산행거리 1.629 k 추가함 .

기록분류 : 스크렙 no 750번 .  blog.daum.net/lsm37   가데고리 불랙야크 100명산 .

 

 

영월군 안내도 .

오늘 산행 코스는

1코스 = 법흥교 - 법흥사 - 절골 - 연화봉 - 사자산 0 1089봉 - 삿갓봉 삼거리 - 화채봉 갈림길 - 널목재 -

            1 ,2 ,3 ,4 ,5 ,6 - 구봉대산 - 음다래기골 - 법흥교 = 16.5 k (7시간)

2코스 = 사자교 - 사슴사육장 - 신선바위봉 - 백덕산 - 1273봉 - 작은당재 - 당재 - 사자산 - 연화봉 - 법흥사

            주차장 = 15 k (7시간)

3코스 = 구봉산장 - 금강교 - 널목재 - 양이봉 - 아이봉 - 관망봉 - 구봉대산 - 구봉산장 = 8.4 k (5시간)

 

각자 원하는 코스를 선택 합니다 . 나는  백덕산을 통과하는 2 코스 로 가야 합니다 .  

 

백덕산 안내 .

 

구봉대산 안내 .

 

산행은 10.07분 08" 사자교에서 시작 됩니다 . 클린산행 도 동시에 시작합니다 .

 

산여울 캠프장 .백덕산장 .

 

백년교 .

 

백덕산 등산안내도 .       (산행들머리 사자교 2 k )     (백덕산 정상 4.5 k )

 

흥원사 (지도상 관음사로 표기) 다리 건느기 전 우측 산행 들머리 .

 

2코스 인원은 약10여명 , 2 코스를 반대방향 으로 역순하는 인원도 있습니다 . 

오늘 함께 하는 인원 일부입니다 . 오늘 나와 함께 산행하는 최희동 님은 3일 연속 산행중 입니다 .

대단한 체력 입니다 . 

 

괴인돌 골  , 약1.1 k 거리 내에 계곡을 8번 가로지릅 니다 . 비가 많이 오면 이코스 산행은 위험 합니다 .

 

고인돌 위쪽부분 ,

 

고인돌 아래쪽 부분 .

 

이 고인돌은 선사시대의 지석묘가 아닌 ,

석희암이 녹아서 형성된 종유석 모양의 큰 바위 입니다 .

자연석 으로 네다섯 군데 돌이 고여져(종유석) 있으므로 " 고인돌' 이라 합니다 .

 

안에는 대여섯 명이 들어갈수 있는굴이 있는데 , 고인돌 부근에는  산 기도를 올리거나 굿을 하는 무당들의 발 걸음이 그치지 않고 있다 . 신령 스러운 느낌을 주는 바위 입니다 .

 

고인돌 골 계곡을 따라 올라가는 산행로는  여기서 계곡과 갈린다 .

계곡 물은 옥수와 같이 깨끗하다 . 식수로도 사용 가능하다 .

 

여기서 산행로는 좌측 능선으로 급경사도를 따라 촛대바위 주능선 접선 지점까지 올라간다 ,

거리는 1.33 k .  고도 차 470 m , 소요시간은 46분 ,  오늘 산행중 제일 힘든 구간이다 .

이구간을 피해 역으로 돌기도 한다 . (백덕산 정상 2.8 k )      (촛대봉 1.33 k )     (관음사<흥원사> 1.7 k ) 

   

가파른 경사는 계속되고 ,     (백덕산 정상 1.3 k )     (관음사 3.2 k )

 

큰 바위를 만나 잠시 완만한 지점을 만나는가 하지만 ,

곧 가파른 계단과 로프지대가 나타난다 .

 

힘겹게 오르면 촛대바위 다 .     (백덕배 정상 1.1 k )     (관음사 3.4 k )

개념도 상에서 보면 신선봉을 지나서 촛대바위 와 만나 정상으로 가는것 같지만 ,

 Gps를 잘 보면 잠시후 신선봉을 만나게 된다 .

 

개념도 와 gps 지도와 오차가 있다 . 이러한 오차도 즐기며 이해하면 편안하다 .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다 .  둘은 다 같이 자연이고 , 산 과 물 은 함께 내가 즐길거리 이다 .  

 

춧대바위 . 멋진 글이 있다 .

산(山) 은 자고로  지자요수(知者樂水) 요  , 인자 요산(仁者樂山)이라 했던가 .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와하고 ,   어진 사람은 산 을 찾는다 했다 .  (* 樂 자는 음으로 요로 읽는다)

백덕산 능선 위에  우뚝 서 있는 촛대바위 고목에 눌려 줄지도 늘지도 않는다 . 

 

이 옛 말을 풀이해 보면 , 

지혜롭고 머리가 좋은 사람은 물에서 움직이는 고기를 낚고 , 덕 있는 사람은 산에서 마음을 닦는다 . 

백덕산 위에 우뚝 서 있는 촛대바위 는 늘수도 없고 , 세월을 이겨낸 고목은 바위에 기대여 세월을 낙는다

자연의 조화로다 .   

 

촛대바위 를 맞은편에서 수호하고 있는 바위 다 .

 

작은 봉우리가 있고 위험 지역은 절벽지대이다 . 갈림길에서 좌측으로 간다 .

 

산행로 좌측으로 작은 봉우리에  이러한 바위가 있고 , gps 에서는 이곳이 신선봉(1089)으로 기록되여 있다 .

이 지점은 작은 지능선으로 암벽을 이루고 있다 .     (정상 0.6 k )      gps 와 거리표 거의 일치한다 .

이 지점을 통과 할때 , 이곳이 신선봉 이라고는 상상도 못했다 . 

 

이곳이 백덕산 정상 가기 직전에 있는 1335봉 전위봉 이다 .    (백덕산 0.22 k )

 

전위봉 과 정상 중간에 있는 안부 거리표 .      (백덕산 0.1 k )     (관음사 4.4  k )     (신선봉 0.6 k )

 

백덕산 가기전  뒤 돌아 전위봉 을 본다 .

 

도착 1분후 , 백덕산(1348.9) 정상에서 인증 사진을 찍는다 .

만 산이 발아래 놓여 있어 나는 조망 한다 . 하늘아래 뫼 위에 올라 있다고 ,

 

정상에서 조망한다 . 방금 지나온 전위봉 (1335)과 우측으로 올라온 능선길이 조망된다 .

계속 우측으로 조망 한다 .

 

능선길 과 백년골 계곡이 조망 됩니다 .

 

백덕산 (1348.9)정상 . 산세는 험한 편 으로 능선의 곳곳 마다 절벽을 이룬다 .

바위봉 으로 이루어진 정상 에서는  가리왕산 과 오대산의 산군 과 함께 , 

남족 으로는 소백산 ,   서족 으로는 치악산맥이 보인다 . 

크고 작은 폭포 와 소,담 이 수없이 이어진 법릉 계곡 일대에는 잘 보전 된 원시림 과 주목 단지가 있으며 ,  

남 서족 기슭에는 영월 흥녕사지 징호대사탑비(보물 제 612호) 가 법흥사에 있다 . 나는 법흥사로 하산 한다 .

 

올라온 능선길 과 하산할 능선길이 함께 조망 됩니다 .

 

정상에서 동북 방향은 맑은 가을 하늘이다 . 가을이 닥아 오고있다 .

 

정상에서 조망을 하고 , 클린 셀프 사진 이다 .

 

잠시후  올라온  최희동 님이 클린 산행 인증 사진을 찍어 준다 .

식사후 백덕산 주변을 함바퀴 뒤지니 쓰레기 봉지가 만탕이 됐다 . 베낭에 매달고 두봉지로 시작한다 . 

 

정상에서 식사를 한다 . 보통은 하산후 식사하는 습관이지만 , 오늘은 새마포 찹쌀 밥 이다 . 

만 산을 내려다 보며 먹는 점심 , 이 이상 좋은 식당은 없다 . 신선이 나를 부러워 한다 . 당연지사 다 . 

 

정상을 떠나며 , 좌측 등산로 표시는 용바위 방향 하산로 이다 . 우리는 사자능선 으로 직진한다 .

 

나무가 서울대 마크를 닮았다 하여 , 서울대 나무 라 한다 .

 

v자 위에 올라 사진을 찍는다 .

 

당재 갈림길(1273)삼거리 .    (당재 1.8 k )      (백덕산 0.5 k )      (먹골 4.7 k ) 

우측길은 먹골행 , 좌측 당치로 간다 . 사자능선 길이다 .

 

완만한 능선 따라 산갈대가 무성하다 .

 

작은당재(1144) .      (당치<재> 1.1 k )     (백덕산 1.2 k ) 

좌측 계곡으로 하산하는 갈림길 삼거리 .     (관음사 3.2 k )     (법흥사 4 k )

 

바로 이분  , 함께한 일행으로 선두에서 gps로 방향을 잘 잡아준다 . 낮익은 분으로 전에 만난적이 있다 .

백덕산 산행을 하기위하여 광주에서 고속버스 타고 하루전에 상경한 진정한 산 사나이 로 산도 잘 탄다 . 

    

1145봉에서 , 비네소골 밤나무골 마을 . 아름다운 마을이다 .

 

현위치 안부 .       (문재 3.8 k )     (백덕산 2 k )     (우측하산  비네소골 3 k )

 

사자산 3봉(1181) . <서래야 * 박건석 > 사자능선 상 에는  몇개의 사자봉이 있다 .

 

큰 바위를 우회한다 .

 

조망하기 좋은 장소가 있어 , 사자능선을 조망한다 .

 

현위치 .     (문재 2.8 k )     (백덕산 3 k )

 

스텐판으로 사자산(1127) 정상표시된 지점 .     (백덕산 3.4 k )     (문재터널 2.7 k )     (홍바위 0.5 k )

 

사자산 정상이 조금은 햇 갈린다 .

 

홍바위 라고 짐작한다 .

 

삼각점 . 지도상에 1166봉으로 기록되여 있다 . 특징이 없는 봉우리 괄시를 밭는다 .

 

오늘 산행로 주변에 산갈대를 자주 본다 .

 

사자산 1봉(칠봉산.1167)정상 . 구봉대산 갈림길 . 셀프사진 .

 

잠시후 대여섯분이 뫃였다 . 최희동 님은 연속 3일째 산행으로 힘들텐데도 정상속도를 유지한다 .

나는 먼저 출발한다 . 백덕산 이후 사자능선 길은 완만한 산행로 이다 . 진행하며 쉬는 방법을 취한다 .

 

사자산 정상서 부터 하산로 경사도가 급하다 .

혼자 가는 호젓한 산행로 , 고즈넉함을 즐긴다 . 간간히 뒤에서 오는 일행들의 말소리가 들린다 .

 

암능이 있고 , 노송이 군락을 이루는 지점을 통과한다 . 연화봉 갈림길인가 . 또 내리막 길이다 .

 

내리막길 . 바위에서 조망한다 . 구봉대산 줄기를 본다 .

 

큰 바위 법흥사 방향 왼쪽은 절벽이다 .

 

그 절벽을 바라본다 .

 

나무숲에 가려 잘 보이지 않는다 .

 

걸친 바위가 있고 , 하루밤 비를 피할수 있는 은신처가 된다 .

 

절골에 진입한다 .

 

절골 경작지 채소밭 . 소나무가 집단으로 자란다 .

 

연화봉 이다 . 연꽃은 닮은 봉우리 . 불교와 연관이 있다 .

 

법흥사 . 우측 주차장에 버스가 보인다 .  

법흥사 주변에도 쓰레기는 많다 . 나머지 봉지가 찰때쯤 오늘 산행도 끝이 난다 .

 

우선 버스로 간다 . 이곳도 법흥사 경내에 위치한다 .

계곡 목재 다리건너에 소나무 군락지가 있다 . 하이원 평화 캠프장 이다 .

 

작은 폭포 와 작은 탑들이 보인다 . 맑은 물이 흐른다 .

 

새마포 산악회 2호차 . 하산지점 도착 .

gps 기록 마침 . 거리 14.54 k . 시간 10.12분03" - 16.08분51" = 5.56분 .

 

총무님이 주는 막걸리 한잔하고 , 법흥사 경내 탐방 시간이다 . 클린 산행도 계속된다 .

 

법흥사 전각 안내도 .

경내 탑사코스  . 거리 1.3 k 시간  .  소요시간 31분  .

25, 하이원 평화 캠프장 - 19, 원음루 - 21, 종각 -  8, 극락전 삼존불상  -  징효국사 부도 - 10, 징효대사 보인탑 - 12. 만다라전 - 13. 심우당 - 7, 수장 - 1, 적멸보궁 -  2, 토굴 - 빽  - 18, 종무소 - 주차장 원위치 .

 

법흥사 . 영월군 수주면 법흥리 .

통일 신라 말기  선문 9산중  사자산문의 중심 도량인 흥령선원지 의 엣터이다 .

자장율사 가 창건 했으며 ,도윤국사 와 징효국사 때 크게 산문이 번성 하였다 . 

 

진성여왕 4년에(891)병화로 소실 되었고 , 고려 혜종1년(944)에 중건 하였으나 , 

그뒤 또 다시 소실된채  전년 가까이 그 명맥만 이어 오다가 , 1902년 법흥사로 개칭 되었다 . 

 

이곳에는 부처님의 진실사리 를 모신 적멸보궁 과 징효대사 보인탑비(보물 제612호)징효대사 부도(도지정유형문화재 제72호)법흥사 부도(도지정 유형문화재 제 73호) 법흥사 석분 (도지정 유형문화재 제 109호)등이 있다 .   

 

산문 입구  금강문을 들어서면 2층에 원음루가 있다 .

 

올라가는 문은 잠겨있고 , 복고 , 목어 , 운판 이 보인다 .

 

범종은 별도로 모셨고 울림판도 있다 .

 

극락전 삼존불  . 우협시 지장보살 .  본존 아미타불 . 좌협시 관음보살 .

 

징효대사의 사리탑 부도(강원유형문화재 제72호) .

징효대사의 사리를 모신 묘탑 이다 . 부도의 위치로 보아 탑비와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볼수있다 .

 

징효대사 보인탑(보물 제612호) .

이 비는 943년(혜종1년)에 세운것이다 .

징효대사는 신라말 구산선문 의 하나인 사자산문파 를 연 철감선사 도윤의 제자로 ,

흥년사(법흥사 옛 이름)에서 선종의 법문을 크게 일으켰던 사람이다 . 

 

비석의 내용은 대사가 평생동안 한 일과 ,

신라 효공왕 이 징효대사 라는 시호 와 , 보인 이라는 탑명을 내린것 등을 적고 있다 . 

이 비석은 전체적 으로 섬세 하면서도 웅건한 느낌을 준다 .  

 

적멸보궁 .

부처님 의 진실사리를 모신 궁 이다 .

우리나라의 5대 적멸보궁 . 영월 사자산 법흥사 .

                                       평창 오대산 상원사 .

                                       인제 설악산 봉정암 .

                                       정선 태백산 정암사 .

                                       양산 영축산 통도사 .    멀리 연화봉이 보인다.

 

적별보궁 뒤에는 석분 과 부도가 있다 .

영월 법흥사 부도 (강원유형문화재 제73호)는 징효대사와 같은 형식이나 , 누구의 부도 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 부도 옆에 석분이 있다 .

 

영월법흥사 석분 (강원유형문화재 제109호)

이곳은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 가 도 를 닦던 곳이라고 전하며 . 고려시대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

돌방의 겉 모습은 흙을 몽긋하게 덮어 무덤처럼 보인다 .

 

입구는 네모 꼴이며 , 통로를 통해 돌방 안으로 들어가 보면 , 바닥은 평편하고 벽면은 둥그스름 하다 .

돌방벽은 6단 수직으로 쌓았고 , 7단부터 큰 돌로 모줄임 하여 10단 까지 쌓아 한장의 돌로 덮었다 .

돌벙 안의 크기는 높이 160 cm , 길이는 150 cm , 너비는 190 cm 정도 이다 .

 

돌방 안에는  지금의 돌방 뒤편에 있는 돌널 이 들어 있었다고 한다 .

돌널의 용도는 고승의 유골을 모셨던 것으로 보이며 , 돌방은 스님이 도를 닦던 곳으로 보인다 .

 

지금은 화강암으로 단을 쌓아 들어 갈수없다 .

 

보궁 안에는 부처님을 모시지 않는다 . 진실 사리를 모시기 때문이다 . 너무도 경건하여 접근 하기가 어렵다 .

 

법흥사 와 적멸보궁 을 둘러보고 원위치 하여 보니 ,

김 부회장 님이 막걸리를 권한다 . 대여섯 잔을 마시니 얼큰하다 . 하산주의 진미다 .

 

광주에서 오늘산행을 위하여 하루전 고속버스로 오신분  선두 길을 연다 . 덕분에 나는 편하게 왔다 .

모든 분께 감사합니다 . 새마포 1 ,2 호차 80명 모든 분께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

클린 쓰레기 대2봉지는 문막휴게소에서 처리 한다 .

 

                                             l  s  m  3 7    산 행   이 상 목   감사 합니다 .  

귀경후 한남동에서  박회장님 , 황석정 님 , 박덕배 님 함께 하산주를 나누며 즐거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