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와 : 삼토회 회원 7명 .
산행지 : 경기 장흥. 고령산(앵무봉 622) . 개명산(형제봉546) .
산행코스 : 말머리 고개 - 441봉 - 봉화대 - 수리봉 갈림 - 형제봉 갈림 - 고령산(앵무봉)
(622) - 빽 - 돌고개 유원지 갈림 - 형제봉(개명산,546) - 천문대 - 권율장군 묘.
산행거리 : 10.4 k . ( 도상표시 거리 9.1 k + 기타거리 1.3 k = 10.4 k )
구간거리 : 말머리 고개 - 0.8 k - 무명봉 - 0.7 k - 봉화대(고령산봉화대) - 0.8 k - 수리봉
갈림 - 1.4 k - 돌고개유원지,형제봉 갈림 - 0.3 k - 부대헬기장 - 0.5 k - 고령
산(앵자봉 622)정상 - 빽 - 0.8 k + 0.2 k - 돌고개유원지,형제봉 갈림 - 0.9 k +
0.5 k - 형제봉 능선위 - 0.6 k - 개명산(형제봉 546.8) - 0.6 k - 전망봉우리 -
1.3 k - 권율장군묘소 갈림 - 0.8 k - 권율장군 묘소 - 0.2 k - 버스 정류장 .
= 10.4 k .
소요시간 : 09.43분23" - 14.38분44" = 4.55분 (기타시간 54분 포함)
기타시간 : 점심시간 43분 + 기타 11분 = 54분 .
날 씨 : 영하 6도 . 연무 . 바람없음 . 눈 약간 . 아이젠 꼭 .
기 타 : 디카시간 정시 . 디카번호 4306 - 4395 = 90장중 50장 .
전에 한백팀 (화요팀) 과 가본 코스중 수리봉 만 빠졌음 .
장흥 숲길로 알고 출발 하였으나 정상적인 산행으로도 손색이 없는 코스입니다 .
개략도 .
구파발역(2번출구)에서 합류한후 , 350번 마이크로 버스를 이용 말머리 고개에 도착 .
개명산(고령산) 등산 안내도 .
나는 앵무봉(고령산 622) 과 형제봉 (개명산 546.8 k )을 이렇게 구분 합니다 .
말머리 고개 . 산행 들머리 . 여기서 고령산 1.5 k 는 봉화대를 말 합니다 .
크라운 해태제과 연수원 뒤 능선으로 오르는길은 , 우측 급경사도를 치고 오르는길과 ,
임도 따라 잠시가면 우측으로 오르는 완만한 산행로가 있습니다 .
무명 삼각점 봉 (441) . 경도 126시 57분 33초 . 위도 37시 45분 52초 .
여기서 아이젠을 착용하고 오름 내림은 계속됩니다 .
말머리고개 0.8 k 거리 무명봉 . (고령상 봉화대 0.7 k ) 앞에 봉화대가 보입니다 .
봉화대 (기산 보루성 ) 거리표 . (말머리 고개 1.5 k ) (앵무봉 2.8 k )
앵무봉이 멀리 조망됩니다 .
봉화대 (기산 보루성 ) . 기산 보루성(530 m )은 ,
남쪽으로 높이 4 m 길이 13 m , 북쪽으로 높이 1 m 길이 4 m 정도의 성벽이 잘 남아 있고 ,
활석을 이용해 바른층 쌓기로 축조한 성으로 북쪽 한켠에는 400 x 460 x 100cm 정도의 구덩이가 ,
현재도 남아 있으며 이는 접수시설 이나 봉화대로 추정 합니다 .
성의 축조시대는 삼국시대로 추정하며 , 조선시대에 개축한 모습을 띠고 있어 삼국시대 부터 계속 사용하였음을 알수 있습니다 .
현재 양주시 전지역에 분포된 28개의 보루중 하나로 ,
그중 규모가 가장큰 대모산성 과 불곡산 제2 보루성 만이 복원되였으며 ,
이곳 기산 보루성은 규모는 작지만 성곽형태가 비교적 잘 보전되여 있어 복원이 이루어 저야 되겠습니다 .
봉화대(530)에서 바라본 앵자봉 가는 능선길이 잘 조망됩니다 .
중앙 봉우리에 시설물이 많이 보이는 봉은 공군 기지가 있는 봉이며 , 우측에 앵자봉 , 좌측에 형제봉이 조망됩니다 .
기산 보루성을 둘러보기로 하고 잠시 빽 합니다 .
현재 남아있는 기산 보루성 남쪽 성벽 .
보루성은 적의 공격이나 접근을 막기 위하여 돌이나 흙으로 쌓은 진지를 말하며 , 양주시 일대 28개의 보루중 하나인 고령산 이 보루는 기산리에 있어 기산보루성 이라고 부르며 , 오래전 부터 주민들이 봉화대로 부르고 있다 .
다시 성위에 올라 한바퀴 돌아본다 . 성위 북쪽 지점에 뭉덩이가 있고 ,
이 웅덩이를 집수장 이나 봉화대터로 보는 모양 입니다 .
성 서남쪽 밑에 돔으로 지은 절이 있습니다 .
수리봉 갈림 . (석현리 2.5 k ) (가산리 2.3 k ) (봉화대 0.8 k )
돌고개 유원지 갈림 . (돌고개 유원지 1.4 k ) (앵무봉 1.4 k ) (수리봉 1.3 k ) (말머리 고개 3 k )
전망이 좋은 암봉에 올라 , 돌고개 유원지와 장흥 식물원을 조망합니다 .
몇개의 암봉을 지나며 ,,,,,뒤돌아 봅니다 .
돌고개 유원지 ,형제봉 우회하는 갈림길 . (앵무봉 758 m ) 도원정사 2.6 k ) (돌고래 유원지 1.4 k )
배경은 공군 부대 봉 입니다 .
앵무봉 정상도 봅니다 .
앵무봉 과 형제봉 중간에 공군 부대 봉이 있어 형제봉을 가자면 빙 돌아야 합니다 .
공군부대 헬기장 . 앵무봉 329 m ) (수리봉 2.1 k ) (말머리 고개 3.9 k )
부대 주변은 지뢰매설 지역으로 경고 표시가 많이 보입니다 . 정해진 산행로만을 따라 정상으로 갑니다 .
고령산 앵무봉 (622) 정상 팔각정 에 도착합니다 .
정상에 있는 등산 안내도 .
정상 가리표 . (개명산 <형제봉 > 2.1 k ) (권율장군묘 4.6 k) (수리봉 2.4 k ) (말머리 고개 4.2 k )
(돌고개 유원지 2.1 k ) (기산리 <안고령>, 마장저수지 2.6 k )
정상 구간별 거리표 . 접근 버스 노선 안내도 .
표지석 . 앵무봉 (고령산) 622 m .
정상에서 점심시간 . 막걸리 , 쇄주 , 담근술 , 간단한 식사 .
즐거운 시간 입니다 .
긱사를 마치고 ,,,,,
하산로를 확인 합니다 .
강회장님 은 정상에서 갈립니다 . 먼저 하산 하기로 합니다 .
우리는 형제봉을 거쳐 권율장군 묘로 하산하기로 합니다 .
형제봉으로 가는길 , 부대가 있어 부대쪽문 까지 확인하고 빽 합니다 .
다시 헬기장으로 돌아와서 수리봉 방향으로 잠시 내려가면 ,,,,,
11.24분 통과한 돌고개 유원지 , 형제봉 갈림 거리표 . (대원정사 1.5 k ) (돌고개유원지 2.7 k )
오전에 올라온 갈림길 에서 , 대원정사 방향으로 갈라집니다 .
공군부대봉을 우회하는 지루한 길이 계속 됩니다 .
잠시 휴식중 ,,,,,
부대에서 형제봉으로 연결되는 능선 마루 삼거리 .
(형제봉 0.6 k ) (앵무봉 정상 1.7 k ) (대원정사 0.3 k ) (돌고개 유원지 1.5 k )
잠시 휴긱중 ,,,,, (형제봉 <개명산256 m ) (대원정사 636 m )
형제봉(개명산 546.8) 정상 거리표 . (일영리 3.6 k ) (권율장군 묘 2.7 k )
형제봉 (546.8)정상에서 셀프로 ,,,,,
형제봉 에서 형제들 처럼 .
오늘 산행팀 , 강회장님 과 나빼고 모두 .
공군 부대를 배경으로 ,,,,,
다시 한번 ,,,,,
장흥 천문대 가기직전 , 전망대 봉우리 에서 , 하산 지점을 조망합니다 .
천문대를 바라보며 ,,,,,
천문대 .
나무계단 . (형제봉 1.1 k ) (권율장군묘 1.6 k )
권율장군 묘소 갈림길 . (형제봉 1.9 k ) (권율장군묘 0.8 k )
권율장군 묘소 . (경기도 기념물 제2호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 산168 - 1 소재)
맨뒤에 권율장군의 부친 권철의 묘 (전 영의정 )
두번째 권율장군의 형님 권순의 묘 .
맨 아래 권율 장군 의 묘 (중앙) . 바라보며 우측에 전부인 창녕 조씨 묘 .
바라보며 좌측에 후부인 죽산 박씨 묘 .
묘앞 에는 , 묘비 , 상석 , 향로석 , 상석 양쪽으로 동자석 한쌍 , 좌에 망주석 과 우에 문인석 한쌍을 배치 .
입구 우측에 재실 , 입구 좌측에 비각 과 신도비가 보인다 .
신도비는 마모가 심하여 음각 글씨를 알아 보기 어렵다 .
기존의 신도비가 마모가 심하여 철종 12년 1861년 후손들이 새로 세운 비.
비각을 세운 비 또한 글씨를 알아 보기 어렵다 .
탁본을 떠서 원문을 밝히고 누구나 글씨를 원형으로 불수 있으면 하는 바람이다 .
충장공 권율장군 , 호는 만취당 본관은 안동 조선중종 31년(1537- 1599)영의정 권철의 아들로 패어남 .
선조 15년 (1582)늦은나이에 문과에 급제하여 , 55세 때에는 의주목사로 여진족을 방어 하였다 .
임진왜란 중에는 (1592 - 1598 ) 전라좌도 절제사로 1천여명의 군사로 금산의 배티고개에서 1만여 왜군을 대파하고 , 그 공으로 전라도 순찰사로 만명의 군사로 수원 독산성에 진을 치고 서쪽으로 진출하는 왜군을 막았으며 , 1593.2월에는 행주산성으로 진을 옮겨 군관민 2.800명의 군사로써 3만의 왜군을 물리치는 대첩을 올렸다 .
이것이 임진왜란 3대 대첩 ( 진주대첩 , 한산도 대첩 , 행주대첩 ) 이다 . 대첩후 전군을 지휘하는 도원수가 되였으며 , 전란이 끝나고 세상을 떠나자 공을 기려 영의정으로 추서하고 , 선조37년 (1604)에는 선무공신 1등에 영가부원군 으로 봉하고 충장의 시호를 내렸다 .
묘역을 나오자 마침 2시간 간격의 530번 버스가 온다 . 종점인 구파발 역에서 전철을 타고 연신내로 이동 ,
다시 버스로 불광중학 으로 이동 , 단골집으로 꼴인한다 .
바로 이집이다 . 푸짐하고 인심도 좋다 . 그래서 단골집이 좋은가 보다 .
불광역 에서 2 차로 마무리 한다 . 즐거운 산행을 마무리 한다 .
l s m 3 7 산 행 . 이 상 목 감사합니다 .
'2014년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03.25 (화) 한백팀 = 경기 수리산 수암봉 종주산행 . (0) | 2014.03.26 |
---|---|
14.03.04 (화) = 한백팀 = 경기양평 = 한강기맥. 옥산 , 청계산 (농다치고개 - 양수리 두물머리구간 (0) | 2014.03.05 |
14.02.15 (토) = 삼토회 = 불곡산(335)대지산(326)산행 . (0) | 2014.02.17 |
14.02.11 (화) = 한백팀 = 하남위례길 + 남한산성 . (0) | 2014.02.12 |
14.01.21 (화) = 한백팀 = 경기광주 . 앵자봉(670.2)무갑산(581.7) (0) | 2014.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