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와 : 불랙야크 유영열 설악셀파 일행들과 , 62산 산행 .
산행지 : 경북 김천 . 황악산(1.111) .
산행코스 : 김천시 대항면 향천리 직지사 대형버스주차장 - 직지사 - 부도군 - 운수계곡 갈림 - 내원계곡
갈림 - 함수점 - 사려통문 바위 - 신선봉 바람재 갈림 능선 - 바람재 갈림 - 형제봉 - 황악산 정
상 인증 - 빽 형제봉 - 신선봉 - 망월봉 - 임도 - 부도 - 직지사 - 버스주차장 .하산종료 .
산행거리 : GPS 거리 . 14.79 k + 쓰레기줍기 10% 추가 1.479 k = 계 16.269 K .
소요시간 : 10.23분37" - 14.56분28" = 4.33분 (기타시간 31분 포함)
기타시간 : 직지사 탐방 . 대기 및 정상 인증 시간 31분 .
날 씨 : 전국적으로 비 소식 . 산행중 계속 비 . 영상약10도 . 하산후 약간의 추위를 느낌 .
기 타 : * 디카시간 1분 빠름 . 디카번호 6385 - 6478 = 94장중 약60장으로 .
* 쓰레기줍기 산행 3차 6회 . 산행거리 10% 1.479 k 추가함 .
* 계속 비맞으며 산행 . 지정된 코스보다 추가코스 산행 함 .
직지사 대형주차장 에 도착합니다 .
각자 산행준비를 하고 , 각자 알아서 산행 시작합니다 .
산행코스 는 비오는 관계로 내원계곡 따라 제일 가까운 코스로 정상에 올라 원위치 하기로 합니다 .
하산후 출발시간은 오후4시로 공지합니다 .
시간의 여유가 있어 나는 정상에서 신선봉 망월봉 경유 하산 하기로 거리및소요시간 체크 합니다 .
지정된 코스 산행은 10 k 내 , 신선봉으로 우회하여도 14 k 내의 산행으로 , 시간은 여유가 있습니다 .
우중산행 과 안개속에서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산행으로 , 하산시 산행로 이탈을 조심해야 합니다 .
어쩌다 보니 출발이 좀 늦어집니다 .
상가지앞 소형 주차장 .
직지사 가는길 공원에 조성된 조각품중에서 마음에 드는 작품이 있어 디카에 담아봅니다 .
산행기점 0.86 k 지점 . 동국제일 가람 황악산 문 . 산문중에서는 제일 거창하게 커보인다 .
직지사 안내도 .
거대한 가람 입니다 .
직지사는 신라 전성기인 19대 눌지왕 2년 (418) 아도화상이 창건하였다고 전합니다 .
직지(直指) 라는 명칭은 "直指人心 見性成佛" 이라는 선종의 가르침에서 유래 되었다 .
선덕여왕 14년(645)자장율사가 중수 하였고 , 경순왕 4년(930) 천묵대사가 2차 중수 하였다고 전한다 .
고려태조 19년 (936)능여조사가 중창하여 대가람이 되었고 큰 스님들을 많이 배출하여
" 동국제일가람 " 이라 일컬었다 .
산행기점 1.58 k 지점 . 직지사 본사 입구 .
이후 ,조선 정종원년(1399)중건이 있었고 ,
성종19년(1488)에는 학조대사가 중수하여 조선의 8 대 사찰로꼽히며 많은 국사 왕사가 수도정진 하던곳으로 , 임진왜란때 큰공을세운 사명대사가 출가한 절이기도 하다 .
황악산 직지사 일주문 .
선조 29년(1596) 왜적의 방화로 , 대부분의 전각 당우가 소실된 것을 선조 35년(1602)부터 중창하기 시작하여 , 약 60년만인 현종3년(1662)에야 완전히 복구 하였다 .
근세에 들어서는 고종년간에 일부 중수가 있었으며 1960년대부터 50여년에 걸친 중창 중수를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
대양문 .
금강문 .
금강문 문간에 설치된 불화 .
천왕문 .
천왕문 문간에 설치된 사천왕상 .
만세루와 범종각 .
대웅전 .
직지사 대웅전은 보물 제 1576호로 지정되였으며 , 대웅전 삼존불탱화(보물 제 670호) , 석조약사여래좌상(보물 제 319호) , 문경 도천사지 동, 서 삼층석탑(보물 제 606호) , 문경 도천사지 삼층석탑(보물 제 607호) ,
전 구미 강락사지 삼층석탑(보물 제 1186호) 을 비롯한 많은 문화재가 , 직지성보 박물관에 보관 전시하고 있으며 , 가람내에는 100여동의 건물이 보존되어 있다 .
직지성보 박물관 .
건물 외부에 전시된 범종과 직지사 목조 수조 .
직지성보 박물관은 ,
대한불교 조계종 제8 교구 본사인 직지사와 그 관할 아래있는 김천 , 상주 , 구미 , 문경 , 예천 등 ,
경북북부지역 소재 60여 사찰에 전해오는 불교문화재를 보존 , 관리 , 전시 , 연구하는 불교 전문 박물관으로 국보를 비롯해 5.700여점이 전시되어 있다 .
*구미 도리사 금동육각사리함 . * 예천 한천사 금동 자물쇠 . * 문경 김룡사 동종 등,,,,,
박물관 앞뜰에 전시된 수로와 관련이 있는 유물인듯 .
석불 좌상 .
설법전 .
법화당 과 남월제 .
이곳으로 나오면 직지사 일주문에서 갈라진 산행로와 여기서 다시 만난다 .
직지사를 우측으로 끼고 포장도를 따라 올라간다 .
직지사를 나오며 일행들을 만난다 .
산행기점 2.35 k 지점 . 직지사 부도군 .
수많은 부도가 보이고 아직도 많은 공간을 비워둔것 은 산재해 있는 부도가 더 있다는 의미인가 ?
신선봉 , 망월봉 방향으로 하산 할 때는 바라보는 부도군 좌측으로 하산 하게된다 .
망월사 등산로 안내 . 오늘 예정된 산행로는 보이지 않는다 . 하지만 참고가 된다 .
황악산 등상안내도 . (황악산정상 4.400 m ) (운수암 1.400 m )
내원교 내원계곡으로 진입한다 . 계속 포장도를 따라 올라간다 .
산행로를 우측으로 벗어나 , 직지사 경내 맨윗쪽에 있는 불전을 찾아간다 .
주변에 조성된 절터가 많이 남아있다 . 돌로 쌓은 축대는 견고하다 .
빈 공간이 많다 .
제일 높은곳에 위치한 불전에 도착한다 .
전망이 좋지만 오늘은 안개구름 속이다 .
산행기점 3.13 k 지점(328)이다 . 더이상 산행로는 없다 . 이 불전들의 이름을 알수없어 안타갑다 .
여기서 다시 빽 을 한다 .
산행기점 3.45 k 지점 . 잠시후 산행로 를 만나고 , 계속 내원계곡을 따라 올라간다 .
알바도 하고 절 탐방도 하며 , 일행이 많이 뫃였다 . 대여섯 분이 앞서 간다 .
내원계곡을 계속 따라간다 .
산행기점 3.85 k 지점 이다 . 내원계곡 합수점 . 계곡이 양쪽으로 갈린다 . 우측계곡물이 많이 흐른다 .
나는 선두그릅이 가는 좌측계곡 길로 뒤따라 간다 .
좌측에 흐르는 계곡에 작은 폭포 몇개를 지난다 .
아직은 내원계곡이다 .
선두로 대여섯분이 앞서가고 있다 .
또 작은 폭포가 보이고 ,,,,,
산행기점 4.27 k 지점 이다 . 사려통문(思慮通門) 깊이 생각하며 지나가라고 한다 .
사려통문을 지나며 고도가 가팔라 진다 .
작은 폭포가 있고 ,
고도를 올리며 서서히 처지는 일행들이 나온다 .
약30분 이상을 치고 오른듯하다 . 뒤에 오는 일행들이 보이지 않는다 .
산행기점 6.07 k 지점이다 . 나의 gps거리이다 . (바람재 갈림 0.47 k . 황악산 1.87 k ) (신선봉 0.82 k )
신선봉과 정상으로 갈리는 능선 삼거리 이다 .
이곳에는 거리표가 없다 . 처음에는 이곳을 비로봉 삼거리로 알았다 .
산행기점 6.07 k 지점 이다 . (황악산정상 1.4 k ) (신선봉 1.4 k ) (바람재 0.7 k )
바람재 갈림 삼거리 . 이곳에 도착 거리표를 확인하며 , 정코스를 벗어나서 조금 멀리 돌아왔음을 안다 .
이곳에서 먼저 올라온 일행을 만난다 . 이분과 는 함께 하산하며 하산주도 함께한다 .
잠시후 지형을 파악하고 바람재 갈림을 둘이서 떠나며 뒤돌아 본다 . 비는 계속온다 .
산행기점 6.98 k 지점이다 . (황악산정상 0.6 k ) (바람재 1.5 k ) (직지사 3.6 k )
형제봉(1035)정상이다 . 직지사 3.6 k 인데 우리들은 산행기점 6.98 k 곱배기를 돌아왔다 .
황악산 (1.111)정상 . 산행기점 7.8 k 지점 . 능선 삼거리에서 심해진 빗줄기 정상에서는 더욱 심하다 .
백두대간 해설판 .
백두대간은 우리민족 고유의 지리인식 체계이며 ,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금강산 , 설악산을 거쳐 지리산에 이르는 한반도의 중심 산줄기이며 총 길이는 약1.400 km 이른다 .
백두 대간의 유래는 우리민족의 성산인 백두산의 신성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
백두산은 고대 단군신화로 부터 시작해서 , 언제나 크고 높으며 성스러운 산으로 여겨졌으며 ,
본격적으로 숭배화한 기록은 고려 태조 왕건의 탄생 설화부터라 생각된다 .
또한 조선 세종때 두만강 압록강을 경계로 하는 국경을 확보함에 따라 ,
백두산은 영토의식 성립과 함께 민족의 산으로 명실상부 하게 자리를 잡는다 .
백두대간 대열에 황악산(1.111)도 뚜렸이 자리 잡고있다 . 정상에서 인증 사진이다 .
정상에 오니 빗줄기는점점 세차진다 . 이 지점에서 쓰레기줍기산행 은 중단된다 .
정상에서 인증 하시는 분들이다 .
백두대간의 구성은 ,
1 대간 , 1 정간 , 13 정맥 , 으로 구성되며 ,
1 대간은 백두대간 이로 , 백두산 - 두륜산 , 금강산 , 설악산 , 오대산 , 태백산 , 속리산 , 덕유산 , 지리산
9개의 큰 산줄기로 이어지며 , 1정간과 13정맥으로 가지를 치고있다 .
1 정간은 장백정간 으로 고두산 - 서수라 곳산 으로 동해로 뻗고 ,
13 정맥은 *청북정맥 으로 낭림산 , 미곳산으로 신의주 바다로 흘러 내리고 ,
* 청남정맥은 낭림산 , 광량진 서해를 바라보고 ,
* 해서정맥은 두륜산 , 장산곶 황해로 뻗어내리고 ,
* 임진북예성남정맥은 화개산 , 진봉산으로 임진강예성강 중간능선을 가르며 한강하구에서
문수산과 마주 한다 .
* 한북정맥은 추가령 , 장명산으로 통일전망대로 이어지고 ,
* 한남정맥은 칠현산 , 김포 문수산에서 한강 하구에서 진봉산과 마주 바라보고 ,
* 한남금북정맥은 속리산 , 칠현산에서 금북정맥과 으로 이어지고 ,
* 금북정맥은 칠현산 , 태안 안흥진 에서 황해로 내리고 ,
* 금남정맥은 마이산 , 조령산에서 금강에 내리고 ,
* 금남호남정맥은 영취산 , 마이산에서 짧게 끝내고 ,
* 호남정맥은 마이산 , 백운산 에서 섬잔강 하구로 합류하고 ,
* 낙동정맥은 구봉산 , 부산 몰운대으로 이어진다 .
* 낙남정맥은 지리산 , 분산에서 멈춘다
1 대간1정간 13정맥은 전구간이 산줄기로 이어지며 산맥을 구획하고 ,
흐르는 물길은 우리나라 10개의 큰 강에 물을 대는 젖줄이자 금수강산을 이루는 구성체 로서 ,
두만강 , 압록강 , 청천겅 , 대동강 , 예성강 , 임진강 , 한강 , 금강 , 낙동강 , 섬진강 이다 .
15개의 산줄기는 뼈대이며 , 10개의 큰강은 핏줄 이다 . 그 뼈대와 핏줄사이에 살과 근육이 풍성히 자라며 ,
동방의 등불 금수강산을 이룬다 .
백두대간은 우리민족 만의 고유한 지리학적 인식 체계이며 우리나라의 지형에 이상적으로 꼭 맞는 분류다
우리의 조상님께 감사한다 .
빗방울은 점점 거세지고 흐릿한 사진발에 추가 인증 사진이다 .
정상에서 5 분 정도 지체한다 . 정상에서는 약간의 바람도 있다 . 춥고 떨린다 .
함께 올라오신분과 하산한다 .
산행기점 9.04 k 지점 . (황악산 정상 1.4 k ) (신선봉 1.4 k ) (바람재 0.7 k )
다시 바람재 갈림 삼거리 . 이곳이 황악산 정상과 신선봉 중간지점이다 .
쓰레기 봉투가 덜렁거려서 하산에 지장이 있어 베낭에 매달고 하산은 계속된다 .
비바람에 춥고 하산길은 약간 빠른 80%의 속도를 유지한다 .
산행기점 9.47 k 지점이다 . 상행시 올라온 능선이다 .
능선 삼거리 . (황악산정상 1.87 k ) (바람재 갈림 0.47 k ) (신선봉 0.82 k )
오늘 함께 산행한 일행이다 .
산행기점 10.29 k 지점 이다 . 이곳에서 빗발이 좀 뜸하다 . 다시 쓰레기줍기 산행으로 전환한다 .
신선봉(944) 정상 . (황악산 2.800 m . 운수암 5.800 m ) (직지사 3.000 m )
신선봉에서 내리막 경사가 계속된다 .
산행기점 11.54 k 지점이다 .
직지사 갈림길 안부 . (신성봉 1.600 m ) (황악산 4.400 m ) (직지사 1.400 m)
직지사 안부 갈림길 .
신선봉에서 여기 안부까지 = 거리 1.25 k 소요시간 22분 에 고도 379 m 를 내려왔다 .
대단한 경사 다 . 잠시 오르면 망월봉 이다 .
산행기점 11.76 k 지점 이다 .
망월봉 (597)정상 . (신선봉 1.800 m . 황악산 4.600 m) (직지사 1.200 m)
산행기점 12.9 k 지점 .
포장도 만남 . (신선봉 3.000 m . 황악산 5.800 m)
부도군 . 오늘의 산행 상,하행이 갈리는 지점이다 .
부도군에서 잠시 내려가면 , 첫번째 화장실이 있다 .
산행기점 13.11 k 지점이다 . 화장실 입구에 큰 쓰레기통이 비치되여 있다 . 쓰레기 수월하게 처리한다 .
법화궁 . 올라갈때 경내탐방하고 나온 지점이다 .
만덕전 .
만덕전 입구 . 금강역사가 정문을 지키고 있다 .
산행기점 14.42 k 지점 이다 .
동국제일가람 황악산 문 . 빗발은 약해젔지만 비는계속 내린다 . 봄 비다 . 조각품이 있는 소공원을 지나고 ,
상가지 앞 소형주차장 .
산행기점 14.79 k 지점 이다 .
대형 주차장 . 예정된 시간에 산행종료 한다 .
현재시각 2.57분 , 출발시간 까지는 약1시간의 여유가 있다 . 소중한 하산주 시간이다 .
하산짐 정리하고 간단히 씻고 , 한가한 식당에서 식사겸 하산주 시간이다 .
물론 함께 산행하신분과 둘이서 , 잠시후 강선복 님도 합류 한다 .
오늘 함께한 산행 즐거웠고 하산주 부담을 주었네요 . 만나서 반가웠고 자주 만나기를 기대합니다 .
l s m 3 7 . 산 행 . 이 상 목 감사합니다 .
나의불로그 blog.daum.net/lsm37 방문하면 댓글 남겨주세요 . 스크렙 된 글은 원문보기 로 들어 오세요 .
'불랙야크 100명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04.12(토) = 불랙야크 64,65 산행 = 전남 강진 . 덕룡산(420)주작산(475)종주 & 해남 두륜산(703) (0) | 2014.04.14 |
---|---|
14.04.05 (토) = 불랙야크 63 산행 = 강원평창,정선.백운산(882) (0) | 2014.04.07 |
14.03.19 (수) = 불랙야크 61산 = 강원춘천 . 오봉산(779) (0) | 2014.03.21 |
14.03.15 (토) = 불랙야크 59 ,60산행= 충북 단양 . 도락산,금수산 . (0) | 2014.03.17 |
14.03.08 (토) = 불랙야크 57 , 58 산 = 충북 청화산 , 구병산 . (0) | 2014.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