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년백두대간 연속종주

05.01(일) 1. 백두대간 종주 (lsm37의 80세 및 산행거리 3만 km 기념산행 )증산리-천왕봉-벽소령 구간

lsm37 산행인 2016. 5. 1. 18:50


( 노고산 헬기장 야영 다음날  의상능선 증취봉 에서) 


백두대간 종주 계획 .(04.10 - 27일 작성)

1) 팀명칭 :미정 . 가칭  " 젊음의 도전과 실버의 반란 " 또는 " 이산 " 팀 (이산 팀장님과 함께 갑니다)

2) 의미 : lsm  37 의  80세 및 산행 3만 km 기념산행 

          * 증산리 들머리에서 산행 누적거리 29.520.52 km로 출발 - 태백산 정상에서 30.000km 180m 에 마추었습니다)

          * 또 하나는  완주 성공하면 스스로 <2번째 조난시>때어낸  "산행인" 으로 복귀 하기로 합니다 .

3) 목적 : 안전한 완주 . 1. 시작부터 하산주 까지 즐기는 산행을 한다 . 

                      2. 전 구간 무리하지 않는다 . 

                          3. 여유와 자연을 벗삼아 자연속에 동화 한다 . 

                          4. 현장 중심으로 진행한다 .

4) 실 행 (세부계획 별첨)     

          1. 기간 : 2016.05월1일 - 06월말 전(2개월 내)  * 실행일  약 44일간 보급 밑 기타 일정 포함 .

          2. 거리및시간 : 대간 약 680 km + 추가거리 60 km = 약 740.19 km 설정 .  * 구간 : 천왕봉 - 진부령 총 44구간 으로 나눔 .

                                총 323시간10분 = 시간당 2.26 km 설정 . 1일평균 산행거리 16.83 km 설정 . 1일 평균 산행시간 7.10분 설정 .

                                 (1일 최소거리 7.8 km(33구간) , 최장거리 26.1 km (31구간)

                                 (1일 최단시간 3.25분(33구간) , 최장시간 11.20분 (26구간) 

          3. 시간 등분 : 24시간 3등분  a. 산잠 및 준비 8시간 .  b.산행시간 8 시간 . c. 식사및 기타 예비 8 시간 =  계 24시간  

          4. 산행 등분 : 식전 2 시간 + 조식후 3 시간 + 중식후 3 시간 = 계 8 시간 내 . 

          5. 조정 : 실행은 3 항4 조 현장중심 으로 진행 하며 , 실행시 세부계획은 참고사항이 된다 .

     * 최종 준비과정에서 약간의 변경사항이 있다 . D 2 일전(4.29일) 미진한 부분이 있다 . 

         * 지금부터 새로 운행 장비를 꾸민다면 베낭무게를 2.5 kg은 줄일수 있다 . 아마도 완주후에 꾸민다면 2 kg 더 줄일수 있다 .

           이러한 아쉬움을 안고 실행을 한다 . 안전한 완주를 꿈꾸며 ,,,,,    

5) 기 록 : 종전과 같은 방법으며 , 단순 기록중심 으로 한다 .

6) 준 비 : 1) 운행장비 = 베낭 50리터 정도 + 랜턴 + 스틱 + 무릅아데 등 

              2) 침구류 = 텐트및 방수포 + 에어매트 + 침낭 + 세면도구 등

              3) 취사도구 = 버너 코펠 + 수저 칼 + 부탄가스 230g, 450g 등

              4) 의류 = 긴바지 2 , 반바지1 , 긴팔티 2, 반팔 1 , 모자,런닝,빤스,양말 각2 . 방풍의상 1, 보온의류 상하1 ,  등산화 등 

              5)부식류 = 식수 3 리터, 쌀 , 누룽지 , 라면 , 미숫가루 , 떡국 ,건조국, 된장,간식,과당류 약간 (도합 2인 6 식 범위)

              6)기타 = 지도,필기구,휴대폰,디카(카메라),보조배터리,충전 케이불,로프약간,비날봉지(쓰레기봉지),휴지,구급약 등

* 베낭 중량은 15 Kg 정도(내 체중 대비)가  적정중량으로 파악을 하지만 약2-2.5 Kg 초과될 듯 합니다 .

* 별첨 세부계획은  800 포인트 구간으로(구간 거리 시간) 세분 , 분량이 많아서  불로그 산행의 시작과 현재에 사진으로기록 . 

   함께 종주를 할 이산 팀장님이 1일차 산장(연하천)예약 , 증산리 행 버스예약 (4월말 심야버스) 하였습니다 . 

7) 예행 산행 : 2 월19일 도봉산부터 시작된 예행산행 , 4 월18일까지 22 일간 325.44 km 산행 (베낭15 - 21 kg )을 마치고 ,

                     4월말까지는  예행산행 약400 km (베낭15-17 kg ) 산행이 예상 됩니다 .

                * 현재의 산행기록으로는  태백산 정상 에서 " 3 만 km 기념산행 " 을 할것으로 예상 합니다 . +- 오차 500 m 내로 마춰봅니다 .  

8) 결론 : 완주 확율은 50:50 입니다 . 개인 및 현장에서의 돌발 상황과 체력의 열세에서 오는 한계점 노출 .

             전 후자를 함께 즐기기로 합니다 . 

9) 사항 기록 : 출발 전일까지 예행산행 기록은 계속됩니다 . 

                                                                        l  s  m  3 7  산 행 . 이 상 목  항상  감사합니다 . 

---------------------------------------------------------------------------------------------------------------------------------------

lsm37 백두대간 종주계획 안 .

숙영           구         간                    구간거리 (누계  거리 )       구간시간 (시간 누계)     기   타 (숙영지)    

 1     증산리 - 벽소령 대피소       16.14 km  (16.14 km)         8.30분   (8.30분)       벽소령 대피소

 2     벽소령 - 성삼재                17.22 k     (33.36)             7.30분    (16.00)       성삼재휴게소 

 3     성삼재 - 여원재                 20.6 K      (53.96)             8.05분    (24.05)       여원재 민가 .

 4     여원재 - 복성이재              21.48K      (75.44)             8.35분    (32.40)       복성이재(사치재 식수) .

 5     복성이재 - 영취산              19.64K      (95.08)             8.40분    (40.20)       영취산 가기전 샘터

 6     영취산 - 육십령                 11.27K      (106.35)           4.25분    (44.45)       샘터막영지 .

 7     육십령 - 동업령                 19.31k      (125.66)           9.45분    (54.30)       동업령 .

 8     동업령 - 빼재                   13.22 k      (138.88)           5.55분    (60.25)       신풍령 휴게소 .

 9     빼재 - 덕산재                   15.51 k      (154.39)           6.30분    (66.55)       매점 휴게소 . 

10    덕산재 - 밀목재(1089.3)     18.3 k       (172.69)            8.00분    (74.55)       밀목재(1089.3 전망대)

11    밀목재 - 궤방령                 19.1 k       (191.79)           7.50분    (82.45)       궤방령 .

12    궤방령 - 추풍령                 10.89 k      (202.68)           4.30분    (86.15)       추풍령 휴게소 .

13    추풍령 - 용문산                 14.02 k      (216.7)             6.00분    (92.15)       용문산 (기도원 생필품구매)

14    용문산 - 백학산                 18.17 k      (234.87)           7.55분   (100.10)       백학산(정상 20분거리 물)

15    백학산 - 화령재                  22.5 k       (257.37)           8.40분   (108.50)      화령재 

16    화령재 - 천황봉(속리산)       20.63 k      (278 )              9.35분   (118.25)      천황봉 (석간수)

17    천황봉 - 늘재                    11.5 k       (289.5)             5.50분   (124.15)       늘재( 식수 및 개곡수)

18    늘 재 - 버라마가재              16.81 k      (306.31)           8.15분   (132.30)       버리미기재 (식수 보급가능)

19    버리미기재 - 963평전         16.57 k      (322.88)           7.20분  (139.50)       식수 야영 .

20    963평전 - 황학산                 9.12 k      (332)               3.45분   (143.35)       황학산 전 계곡수 .

21    황학산 - 조령제3관문           14.4 k        (346.4)            6.10분  (149.45)        조령제3관문 .

22    조령 3관문 - 하늘재             9.39 k       (355.79)            4.15분  (154.00)       하늘재(야영 보급)

23    하늘재 - 대미산                 13.12 k      (368.91)            6.15분   (160.15)      대미산 전( 눈물샘 야영)

24    대미산 - 저수재 휴게소         20.58 k      (389.49)            9.30분  (169.45)      저수재휴게소 .

25    저수재 - 죽령휴게소            19.64 k      (409.13)            9.05분  (178.50)       죽령휴게소 .

26    죽령 - 고치령                    24.83 k      (433.96)           11.20분  (190.10)      고치령 . (식수양호)

27    고치령 - 박달영                  20.4 k       (454.36)            9.50분   (205.10)      박달영 (식수양호)

28    박달영 - 신선봉전망대          6.02 k      (470.38)           7.00분   (207.10)      차돌배기 샘물  .

29    신선봉 전망대 - 화방재         3.78 k       (484.16)           7.40분    (214.50)    어평휴게소 .

30    화방재 - 피재                    21.45 k      (505.61)            7.40분   (222.30)       간이매점 .

31    피 재 - 댓재 휴게소             26.1 K       (531.71)           10.00분   (232.30)     댓재휴게소 .

32    댓재 - 원방재                     21.3 K       (553.01)            8.55분   (241.25)      원방재 (야영 계곡수)

33    원방재 - 백봉령                  7.8 K         (560.81)            3.25분   (244.50)      대형포장마차

34    백봉령 - 삽달영                 18.5 K        (579.31)            8.55분   (253.45)      포장마차 .

35    삽달영 - 닭목재                 14.15 K       (593.46)            5.10분   (258.55)      닭목재 지나 빈집 .

36    닭목재 - 대관령휴게소         12.95 K       (606.41)            5.40분   (264.35)      대관령 휴게소 .

37    대관령 - 노인봉 산장           21.95 K       (628.36)            6.05분   (270.40)      무인산장 샘 야영 .

38    노인봉산장 - 1210.1봉 안부  17.4 K        (645.76)            7.20분   (278.00)      안부 샘터 야영지 .

39    안부 샘터 - 왕승골갈림         17.25 K      (663.01)           7.00분   (285.00)       샘 계곡수 야영지 .

40    왕승골 갈림 - 단목령            24.3 K       (687.31)            9.35분   (294.35)       큰 계곡수

41    단목령 - 한계령 휴게소         13.55 K      (700.86)            5.15분   (299.50)       한계령 휴게소 .

42    한계령휴게소 - 마등령         15.23 K       (716.09)            9.35분  (309.25)       샘 계곡 .

43    마등령 - 미시령 휴게소          8.5 K        (724.59)            5.15분  (314.40)       미시령 휴게소 .

44   미시령휴게소 - 진부령기념비  15.6 K        (740.19)            8.30분  (323.10)       진부령 기념비 

                                   총 예정거리           740.19 Km .     총 예정시간   323시간10분 .

* 상기 산행 일정표는 lsm 37 이 작성한  계획으로 최종계획은 43일로 확정하며 , 실행에서는 - 39일 까지 가능하리라는 속내를 가지고 있습니다 . 

* 숙박 구분 = 산장대피소 2회(지리산 , 설악산 구간) , 민가 및 여관 휴게소 10일 (밧데리 충전 과 식품구매) , 야영 30 - 31일 .     

* 800포인트 세부 산행계회표는 불로그 " 산행의 시작과 현재" 에 30장의 사진에 기록되여 있습니다 . 


매일산행시 1차 장비 점검의 날 . 남한산성 가족산행중 .


1 . 산행 기본장비 = 베낭(50-55L) . 렌턴<건전지> . 우중장비 . 스틱 . 무릅아데(예비 베낭에) . 

   * 텐트는 이산 님 이 2인용으로 준비 .


2 . 침구류 = 방수포 . 에어매트 . 침낭 . 세면도구 일습 .



3 . 취사도구 = 버너 . 코펠 수저  칼 . 가스 230 + 450 . 된장 . 국거리 . 조미료 (소금+조선간장+다시다 + 멸치2봉) . 라면 5개 .

     쌀 (2인분 3개 3인분1개 = 9식분) . 커피 30봉 .식탁보 . 휴지및 쑤세미 . 취사박스 . 누룽지 . (최종 정리 전)


4 . 의류 = 모자2 .빤스 ,런닝 .장갑 .양말 각 2개 . 상의 장티 2장 .상의 반티 1장 .하의 장 2장 .하의 반1장 . 보온 상,하,모 .

             (착용 별도)

5 . 디카(카메라) . 폰 = 충전 관련기구 및 부속 포함 .

    * 카메라는 적당한 기종을 추천받지 못하여 이번기회에는 구입하지 않고 , 사용중인 디카로 기록하기로 합니다 .

6 . 구급약 = 벤드 .

7 . 기  타 = 지도 , 노트 , 산행계획표 . 필기구 . 방수용 용도별 . 휴지 . 


* 계속 점검중 ,,,,, 베낭 무게가 17.5 k 가 넘을까 걱정이다 . 준비 과정에서 미진한 부분은 안고 출발한다 . 

* 표현된 lsm 37의 산행계획<산행의 시작과 현재, 본 계획서>은 함께 출발하는 파트너  이산 팀장의 산행계획으로 실행을 한다 .

 (실행계획에는 고도표가 있다 / 약간의 오류는 실행후 보완하여 산행기록에 표현된다 )  

 이 기록은 실행으로 계속 이어진다 . 요는 현장운행 에 최적으로 도움을주는 정리된 자료의 선택이다 .   

------------------------------------------------------------------------------------------------------------------------------------

최종 이산 팀장의 백두대간 종주 계획표 .

05.01일(일)     중상리 - 천왕봉 - 벽소령대피소 또는 연하천대피소 = 16.2 k - 19.5 k     소요시간 9.40분 - 11.20분 .     (대피소)

05.02일(월)     벽소령 또는 연하천대피소 - 성삼재휴게소        = 16.7 k - 20 k                4.00분 - 07.40분 .     (야영)

05.03일(화)     성삼재휴게소 - 여원재                              = 20.1 k                       8.30분 .             (민박)

05.04일(수)     여원재 - 지리산휴게소                         = 13.9 k                       6.30분 .              (야영)

05.05일(목)     지리산휴게소 - 중재                           = 18.1 k                       7.30분 .              (야영)

                 지리산 권역 .                             계  85 k .                 계  39시간 50분 . 

 

05.06일(금)     중재 - 육십령휴게소                                 = 19.1 k                       9.00분 .             (야영)

05.07일(토)     육십령휴게소 - 동업령                         = 17.9 k                        9.50분 .             (야영)

05.08일(일)     동업령 - 신풍령(빼재 , 수재)                   = 16.8 k                        8.45분 .              (야영)

05.09일(월)     신풍령 - 덕산재                                     = 15.5 k                        6.30분 .          (신라가든)

05.10일(화)     덕산재 - 석기봉정자                           = 14.6 k                       7.30분 .              (야영)

05.11일(수)     석기봉정자 - 황악산- 헬기장                   = 19.1 k                        8.30분 .              (야영)

05.12일(목)     황악산 - 추풍령 휴게소                        = 15.8 k                             7.15분 .              (민박)

                 덕유산 권역                                   계  118.8 k                  계  57시간 20분 .


05.13일(금)     추풍령휴게소 - 큰재                           = 18.8 k                        8.20분 .              (야영)

05.14일(토)     큰재 - 지기재                                 = 18.7 k                        7.40분 .              (야영)

05.15일(일)     지기재 - 화령재                               = 16.4 k                        6.35분 .               (화령장) 

05.16일(월)     화령재 - 천왕봉 헬기장                        = 17.5 k                             9.15분 .              (야영)

05.17일(화)     천왕봉 - 고모치                               = 18.6 k                        9.00분 .              (야영)

05.18일(수)     고모치 - 지름티재                                   = 18.9 k                       9.30분 .              (야영)

05.19일(목)     지름티재 - 이화령휴게소                       = 16.9 k                        7.50분 .          (더덕나라 펜션)

                 속리산 권역                             계  125.8 k                   계  59시간 20분 . 

            

05.20일(금)     이화령 휴게소 - 하늘재                        = 17.5 k                             8.50분 .               (야영)

05.21일(토)     하늘재 - 작은차갓재                                = 19.2 k                        9.00분 .                (야영)

05.22일(일)     작은차갓재 - 시루봉헬기장                     = 15.3 k                        8.10분 .                (야영)

05.23일(월)     시루봉헬기장 - 죽령휴게소                     = 18.4 k                        9.00분 .                (야영)

05.24일(화)     죽령휴게소 - 국망봉                           = 15.2 k                        6.00분 .                (야영)

05.25일(수)     국망봉 - 마구령                               = 18.9 k                        9.00분 .                (야영)

05.26일(목)     마구령 - 도래기재                             = 19.4 k                        9.20분 .                (야영)

                 소백산 권역                             계  123.9 k                   계  59시간20분 .              


05.27일(금)     도래기재 - 부쇠봉                             = 18.9 k                        9.30분 .                (야영) 

05.28일(토)     부쇠봉 - 금대봉                               = 18.4 k                        8.30분 .                (야영)

05.29일(일)     금대봉 - 심수령(피재)                         = 8.8 k                               3.40분 .          (태백시 숙박)

05.30일(월)     심수령(피재) - 지각산 헬기장                  = 15.6 k                         6.50분 .                (야영)

05.31일(화)     지각산 헬기장 - 청옥산                        = 19.3 k                              9.00분 .                (야영)

06.01일(수)     청옥산 - 백봉령                              = 18.9 k                         12.00분 .            (백봉령펜션)

                 오대산 권역                                   계  99.9 k                    계  57시간10분 . 

                        

06.02일(목)     백봉령 - 삽당령                              = 18.3 k                          8.20분 .                (야영)

06.03일(금)     삽당령 - 고루포기산                          = 18.7 k                          8.50분 .                (야영)

06.04일(토)     고루포기산 - 곤신봉                          = 16.6 k                          6.10분 .                (야영)

06.05일(일)     곤신봉 - 진고개                              = 16.3 k                          6.30분 .             (진고개 민박)

06.06일(월)     진고개 - 응복산                              = 15.5 k                          7.20분 .                (야영)

                 오대산 권역                              계  85.4 k                    계  57시간10분 .


06.07일(화)     응복산 - 연가리골 샘터                       = 17.5 k                                8.10분 .                (야영)

06.08일(수)     연가리골 샘터 - 북암령                       = 16.4 k                           6.40분 .                (야영)

06.09일(목)     북암령 - 한계령                              = 15.9 k                           8.00분 .              (양양 민박)

06.10일(금)     한계령 - 희운각 대피소                       = 13.2 k                           9.36분 .             (희운각대피소)

06.11일(토)     희운각 대피소 - 미시령                       = 13.9 k                           9.10분 .                 (야영)

06.12일(일)     미시령 - 진부령 기념탑                           = 14.7 k                                 8.00분 .              (속초시내로 )    

                 설악산 권역                                       계  91.6 k                           계  49시간36분


                     7 개 권역                                    합계 730.4 k                        370시간 56분 .

* 숙박 내용 = 대피소 2일(국립공원내) .  민박 및 숙박  9일(보급구매 및밧데리 충전 )  .   텐트 31일 (야영) =  계 42일 . 

좋은 계획이라 생각합니다 . 계획대로 실행되기를 바람니다 .  미진한 부분은 안고 실행 합니다 .


백두대간은  백두산 장군봉에서  지리산 천왕봉까지 국토를 남북으로 잇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산줄기로 1.570 km 에 이르며 ,

이번에 지리산에서 진부령 까지 도상거리 718.76 km(내 gps거리 750.52 km)를 종주 하였습니다 .

생전에 백두산 장군봉까지 연이어 산행하는 것이 나의 바램 입니다 .


18c 초 조선 영조대의 실학자 여암 신경준이 " 산경표 " 에서 우리나라의 큰 산줄기를 백두대간으로 정의 하였으며 ,

이는 우리민족의 고유한 지리인식체계 로서 남 북으로 487 개의 산 , 봉 , 령 등 으로 구성된 마루금은 , 작은 물줄기 하나도 거스르지 않으며 ,

또한 백두대간은 마루금을 따라 하나의 정간 (장백정간) 

13개의 정맥(낙남정맥 , 청북 정맥 , 청남 정맥 , 해서 정맥 , 임진북예성남 정맥 , 한북정맥 , 낙동정맥 , 한남금북정맥 , 한남 정맥 , 금북정맥 ,

                 금남호남 정맥 , 금남 정맥 , 호남 정맥 )으로 갈리며 ,

우리나라의 10대 큰강(압록강 , 두만강 , 청천강 , 대동강 , 예성강 , 임진강 , 한강 , 금강 , 섬진강 , 낙동강)을 구분 ,

정맥에서 가지쳐 뻗은 기맥은  작고 큰 하천을 구분합니다 .

백두대간 마루금에서 이어진 정맥과 물 줄기따라  역사 세력 , 언어 풍습 등 인문이 변천하고  자연환경 과 생태계가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


완주후의 소감

백두대간 마루금 을 따라 천왕봉에서 진부령까지 햇빛 과 바람과 물안개와 폭우까지도 맞으며 45일중 42일간을 한발 한발 걸어 완주했습니다  .

때로는 끝갈대없이 광활한 산 산 산 들의 능선를 보고 환호하기도 하며 , 희미한 산행로에서 산죽군락지 와 잡나무속에서 옷깃을 뜯기며 고생도 하고 ,

우거진 숲과  만개한 꽃들의 장원을 볼때는 환희하기도 하고  , 짖은 안개속에서 동서도 구별할수 없고  gps 도 연결되지 않는 골짜기에에서는 

방황하기도 하였습니다 . 하지만 모든 과정은  예상 범위안에 있었으며 종주를  즐기며 지나 왔습니다 .


제일 힘든일은 2 ,3 일 딱지 못하고 좁은 텐트안 침낭에서 땀냄새와 동거하는 일 입니다 .

도중 몇번의 힘든구간도 있었으나 , 예상보다  쉽게 완주할수 있었음은 쉬며가는 보행방법 덕분입니다 .

지난 2014년 부터 (쇠퇴기 진입시)시작하여  이번 예행산행 부터 꾸준히 연습해온 " 쉬며가는 보행 방법 " 으로 지리산 출발부터 종주시 까지 적용시켜 

왔습니다 .  하지만 이방법으로도 통하지 않는 마지막 2일간에 포함된 너덜길에서는 속수무책이였습니다 .

어즈럼 증이 있고 종주 마지막에 부상하면 어쩌나 하는 마음에 몸이 경직된 결과입니다 . 정말 혼났습니다 .


어려운 일들은 지나고 나면 추억속에서는 다 아름다운것 , 그래서 어렵게 지나간 추억은 행복을 담는 실로암의 샘물이 됩니다 .

완주의 기쁨과 희열은 모든 어려움 보다 보상의 기쁨이 더 큽니다 . 하여 여건이 되면 다시 또 그 길을 걷고 싶습니다 .

가기 전에는 계획이 있어 행복했고  완주하고 나니 추억이 있어 행복하며  " 산행 " 이란 생각만 하여도 설래이는 것은 ,

산을 좋와하는 사람들의  정서 입니다 .

 

실   행 .

4월 말일 남부터미널에서 심야버스로 중산리에 도착 . 임상녕 고문님과 이산 팀장 .

임고문님은 이산 님 과 나를 연결해준 장본인 입니다 . 첫 산행일 축하산행을 함께 왔습니다 . 천왕봉에서 일출울 보겠다며 먼저 출발하였습니다 .

 

이산 팀장님 과 나 . 금년 2월 6일 북한산에서 처음 만났습니다 . 임고문님 , 최희동 고문님 , lsm37 이상목  나 하고  , 이산 님은  조민희님과 함께 나왔습니다 .

이때 이산님은 백두대간 무지원 종주를 5월1일 시작하겠다는 결심을 밝히고 , 임고문 , 최고문 과  내 의사를 물었습니다 .

나는 일본 북알프스 150 km 7월20일 - 8월5일 안에 10일 기한으로 종주계획이 있어 함께 갈수없다고 하였습니다 .


이후 2월 20일 내가먼저  임고문님을 통하여  이산님과의 산행을  제의하고  도봉산에서 만나 , 백두대간 참여의사를 밝였습니다 .

이때 임고문님과  , 최고문님은 결심을 못하고 있는 상태였습니다 .  

이산 님과 3 번째 수락산 산행을 하며 , 이산님 은  5.1일 대간 전까지 20 kg 의 살을 빼겠다고 했습니다 . 

나는 이산 님의 그 결의를 믿으며 , 나도 무거운 베낭을 메고 산행을 한 경험이 없어 다음날 2 월20일부터 4 월26일 까지14.5 kg - 21 kg 베낭을 짊어지고 ,

 두달 6일 동안 462.11 km 산행중 , 대간베낭을 메고 393.59 km 의 예행산행을 하며 , 베낭 무게에 대한 공포를 털어 냈습니다 .

오늘 모든 준비를 끝내고 대간 출발 합니다 .


중산리 탐방지원센타 앞 . 준비 과정에서 약 30분시간을 보내며 , 여유있는 모습입니다 . 파트너이며 팀장인 이산 님 든든 합니다 .


나의 백두대간 종주계획은  예고된 대로  , 내가 한참  완숙기인 2012년 말 - 13년 초에  36 일 완주 계획이 전구간 800포인트 별 소요시간 구간거리 기타

상세한 정보 포함 완성이 되었으나 , 중간 보급문제가 풀리지 않아 실행을 못하고 있었습니다 .

지금은 쇠퇴기에 접어들어 36일 종주계획을 재조정 43일 종주계획으로 수정하고 보니 , 이산님의 종주계획 과 거의 비슷하고 3 군대의 차이만 있었습니다 .

좀더 구체적인 일부분은   보급 및 밧데리 충전 과 불가피한 상황을 염두에 두고 숙박을 10일 야영을 32일로 확정 한것 입니다 .

------------------------------------------------------------------------------------------------------------------------------------

여기서 나의 산행여정 과 보행방법을 표현 합니다 . 

산행여정 은 4 단계 ,  2003년 12월23일 첫 산행후 04년 - 05년말 까지 2년 9일간을 1단계 훈련기(2003년12월23일부터 - 2005년 12월말) ,

                        2 단계 숙성기(2006 년 - 2010년 말까지) 5년 ,  3 단계 완숙기(2011년 - 2013년 말까지)3년 ,   

                        4 단계 쇠퇴기(2014년 - 2016년 현재 진행중) 2년 5개월 ~  4 단계로 구분합니다 .

보행방법은 2014년 쇠퇴기에 접어들며 , 나의 체력안배에 맞는 보행방법을 익혀가는 과정에서 정립하게된 보행방법 입니다 . 

숙성기 완숙기간 중 장거리산행 에 적용 한 보행방법을 에너지를 적게쓰는 방법으로 보완 하고 , 완숙기에 2년6개월간 익혀왔던 스틱 활용을 극대화 하며 ,

호흡(복 단식및 혼합) 과  발디딤(0.25" 쉬어주는 )등 을 리듬에 맞추는 경지 , 나는 "쉬며 가는 보행방법" 이라고 합니다 .


일명 거북이 걸음이라고 하며 , 보행의 동작이 전반적으로 느리지만 반면에 쉬지않고 체력을 재충전하며 장 시간 산행이 가능하여 효과적 입니다 . 

보행중 무릅관절을 치유하며 , 쉬며 가기때문에 에너지 소모가 적어 재충전 과 지속성이 있습니다 . 삼위일체 리듬을 타면 힘들지 않고 산행도 빠릅니다 . 


산행은 신체 모든부위가 참여 합니다 . 특히 무거운 베낭을 지면 신체 조직은 물론 주변의 자연지형도 응용하게됩니다 . 

특히 양손 , 허리 , 목 , 머리의 중량도 도움이 됩니다 . 

(물리적 훈련이 어느 단계에 오르면 , 자제력이 필요 합니다 . 자신도 모르는 자만심에 자제력을 잃는 경우가 많습니다 ) 

-------------------------------------------------------------------------------------------------------------------------------------- 

  

출렁다리를 지나면  장터목 갈림 삼거리 .

 

 파르티잔 들이 활동하던 시절  망바위 , 요즈음 나는 부부바위라고 부릅니다 .


로타리 산장 . 여기서 아침식사를 해결 합니다 .


법계사 . 바로밑에 풍부한 식수가 있어  장터목 산장까지 식수를 준비 합니다 .


개선문 (1700 m)     (중산리 4.6 k )     (법계사 1.2 k )     (천왕봉 0.8 k )



지금은 물이 제법있다 . 항상 믿으면 안된다 . 물 맛은 쉬원하다 .

천왕샘은 서부 경남지역의 식수원인 낙동강의 발원지로  이곳 천왕샘의 방향에서 솟구친물은  덕천강을 따라 흘러 , 

남덕유산 침샘을 발원으로 하는 경호강 과  남강땜에서 합류하여 남강을 이루어 낙동강으로 흐르게 됩니다 .


계곡 아래 중산리가 조망됩니다 .


천왕봉(1915.4)정상 . 정상은 사람도 많고 바람이 강하게 불고 있습니다 . 

먼저 도착한  임고문님은 일출을 보지 못하고 우리를 기다리며 추위에 떨고 있습니다 . 천왕봉은  백두대간 의 남 쪽 관문이지요 .


정상에서 조망한 지리산 주능선 멀리 노고단이 보이지만 미세먼지로 조망을 좋지 않습니다 . 백두대간의 대장정이 시작되는 시점입니다 .

여기서 많은 사진을 찍었지만 이팀장 사진기에 담아 있습니다 .


정상에서 바라본 중봉  .

이산팀장 사진 = 이유는 알수 없으나  본인이 원하지 않아 사진 삭제합니다 . 이후 완주시까지의 많은 사진이 삭제됩니다 . 유감입니다 . 

임고문님은 백무동으로 하산하기로 하고 먼저 장터목으로 떠났습니다 . 백무동이 귀경 교통이 편리합니다 .


통천문을 지나 제석봉 고사목 .

살아 천년 죽어 천년이라고 무상의 세월을 웅변하는 고사목 군락지 .

1950년대 에 숲이 울창하여 대낮에도 어두울 정도였으나 도벌꾼 들이 도벌의 흔적을 없애기 위하여 불을질러 지금처럼 나무의 공동묘지가 되었습니다 .

인간의 탐욕이 저지른 어리석음이 오랫동안 부끄러운 자취를 남기고 있습니다 .

현재 어린 구상나무(주목)를 심어 복원중에 있습니다 . 후손들에게 울창한 숲을 물려주어야 하겠습니다 .


장터목 대피소 . 장터목 이라는 명칭은 산청군 시천면 사람들과 , 함양군 마천면 사람들이 물물교환과 물건을 사고 팔던 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

장터목 대피소는 1971년 40명을 수용하는 지리산 산장이라는 이름으로 시작하여 1986년 80명 , 1997년 150명을 수용하는 규모로 확대 되었으며 ,

부대시설은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 현재 자연자원의 보호와 탐방객의 편의 및 안전을 위하여 운영되고 있습니다 .


조망이 좋고 쉬원한 장소 . 지금은 바람이 불고 미세먼지로  우리도 식당에서 밥을 먹고 나왔습니다 .


입산시간지정제 안내 . 대간 산행중 유의해야 합니다 . 국립공원에서는 이방법이 효과작인 방법이라고 하고 전국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

하지만 동전의 양면처럼 장단 점이 있습니다 . 동식물과 인간은 대자연 속에서 슬기롭게 공존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


산불방지 출입통제 공고 . 또한 유념해야 합니다 .


식수는 우측 식당칸 밑에 있으며 물은 풍부하나 물맛은 별로 입니다 .


일출봉(세석대피소 3 k )     (장터목 대피소 0.4 k )     (천왕봉 2 .1 k )


연하봉(1723.4)정상 . 오랫동안 자리를 찾이하고 있는 사람들 . 세월은 가고 사진은 영원히 남는다고 생각하는가 요 ?   맛습니다 .


촛대봉에서 본 세석대피소 . 세석평전 철죽군락지 . 특별보호구역으로 보호하고 있습니다 .


이정표 .     (거림 6 k )     (백무동 6.5 k )     (장터목 3.4 k )   식수원 주변에 늪지가 있어 식수는 충분하게 나옵니다 . 차고 맛도 좋습니다 .


칠선봉(1558) 이산팀장 .     (세석대피소 2.1 k )     (벽소령대피소 4.3 k )     (장터목대피소 5.5 k )     (천왕봉 7.2 k )


선비샘 (덕평봉 밑에 ) 물맛좋고 수량도 풍부하다 .


덕평봉에서 완만한 산행로를 따라가다보면 공터 가기전에 좌측 능선 계곡 . 나는 갈라진 계곡이라 부른다 . 법왕리로 뻗은 계곡이다 .


벽소령 대피소 .

일박지로서는 벽소령이 적당하다 . 연하천 까지 갈수는 있지만  첫날부터 무리할 이유가 없다 . 지금시간이면 어두어야 연하천에 갈수 있다 .

이팀장은 연하천에 예약을 하여 산장비는 벽소령에서 다시 부담해야 했다 .

이곳 수장은 좌측 계곡으로 약 100 m 쯤 내려가 있습니다 . 백두대간 첫날은 무난히 저물어 갑니다 .

밤중에 두어번 밖에 나가며 하늘을 보니 별빛이 쏫아지고 있습니다 . 오랫만에 보는 영롱한 별빛입니다 .

---------------------------------------------------------------------------------------------------------------------------------------

산행기록

산행거리 = 중산리탐방센타 - 3.4 k - 법계사 - 1.81 k - 천왕봉 - 1.53 k - 장터목 - 3.45 k - 세석대피소 - 6.1 k - 벽소령대피소 = 16.29 k

(이거리는 주차장에서 탐방센타거리 약2 k 빠저 있으며 시간당 평균거리는 1.57 k ) 평균거리는  42일을 통털어 3번째로 어려운 구간으로 기록한다 .

산행시간 =  03.03분 - 17.33분 = 14.30분 (이동시간: 10.38분 + 기타시간 3.52분 )

------------------------------------------------------------------------------------------------------------------------------------------ 

* 시간당 평균거리는 gps 거리로 하며 4사 5입 적용 합니다 .